바람은 과연 안 피웠을까요? (아니면 말고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2. <세상이라는 나의 고향>
D-29

YG

장맥주
어우... 근거 없는 의혹 제기... (대환영입니다. ^^)
그런데 확실히 여성들에게 인기는 많았던 거 같죠? 동료들과 그렇게 결혼한 건 어떻게 해석해야 하려나요? 적극적으로 이성을 만나고 다니지는 않았다? 대화가 통하는 여성을 좋아했다?

YG
네, 센 선생님이 연애 이야기에 초점을 맞춘 회고록을 한 편 써주셨으면 좋겠어요. 하하하!

장맥주
그 회고록이 영화화되고 그 영화의 주연 여배우를 센의 딸이 맡고... 그런 장면을 상상해봤습니다. 아버지의 세번째 아내 역을 맡은 딸... 좀 기괴한가요? ㅎㅎㅎ

borumis
장맥주님이 너무 후하게 봐주시는 거 아닙니꽈~? ㅎㅎㅎ

장맥주
와... 저 정도면 정말 아름다운 이혼 관계인 거 같은데 제가 소수의견인가 보네요. ^^;;;

Beaucoup
어후 ㅎㅎㅎ 아주 엄청난 욕을 들으셨네요 ㅎㅎㅎㅎ

유니크
나중에 작가님의 일대기를 보니 부인이 3명이더라구요. 2,3번째 결혼은 언급도 안된 상황이라서 . . . 결혼, 이혼 살아봐야 안다고들 하지만, 한편으로 성 평등 의식을 가진 분들이 성적 자유에 적극적이어서, 결혼의 굴레에 종속되지 않는 용기가 있는 것 같아요.

YG
그런데 이 책에 교묘하게 언급이 되어 있긴 해요. 일단 헌사가 세 번째 부인이고, 두 번째 부인 추모사가 앞 부분에 일화로 언급되고, 뒷 부분에서는 첫 번째 결혼 이야기가 나오고요. :)

장맥주
너무 교묘한데요...? (서로 기분 나쁘지 않게 하기 위한 배려...? ㅎㅎㅎ)

borumis
맞아요, 그래서 첨엔 좀 헷갈렸어요..;; 어느 부인 얘긴가해서..

장맥주
결혼을 세 번 하신 걸 보면 결혼이라는 제도를 매우 마음에 들어하셨던 거 아닐까요? ^^

장맥주
24장, 조앤 로빈슨과 제임스 미드의 논쟁이 벌어지는 현장에 있었다면 저는 쭈구리가 되어 이쪽저쪽 눈치만 봤을 듯해요. 세계적인 경제학자들의 모임도 분파적이고 부족주의적으로 흐르는구나 싶어 우습기도 하고 씁쓸하기도 했네요. 그람시에게 막연하게 관심이 있었는데 저도 제대로 읽어볼까 하는 마음이 좀 듭니다.

borumis
헐;; 옥중수고1은 있는데 옥중수고2는 절판되었나보네요;; 이런;;

유니크
18장 어떤 경제학인가?
자신이 쓰는 자기 일대기는 이렇게 쓰는 것이구나 싶은 부분이었습니다. 자기가 좋아하고 연구하는 분야, 자신에게 영향을 미친 여러 사람들의 이론, 논리, 그 속에서 자신의 입장을 정리하는 것이 전체적으로 멋진 서술이었습니다. 특히 18장은 자신이 지도교수와 다른 입장에서 박사학위 논문을 쓰게 되면서 어떤 계기로 어떤 사람들의 영향과 도움으로 학문을 이뤄나가는지 설명했는데 . . . 덕분에 경제사와 경제학의 서로 다른 입장들이 무엇을 근거로 나눠지는지도 알게 되는 내용이었고 . . . 역시 경제와 관련된 역사, 정치, 철학 등등 여러 방면의 공부과정이 필요하다는 것도 . .. 결국 한 분야에 거장이 되려면 관련 분야에 대한 공부도 만만치 않게 알아야 한다는 것도 알려주는 챕터였습니다.
개와고양이
현실에서는 (자칭 타칭) 거장이라고 하는 사람들은 관련 분야를 깊이 파는 경향이 더 많지요. 센처럼 여러 학문 분야를 융합/통섭하여 학문의 세계를 닦아나가는 사람이 진정한 거장이라는 데 동의합니다.

유니크
저두 동감해요. . . 그래서 우리가 전문가라고 말하는 개념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요. 자기 분야만 아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 . .

borumis
어쩌면 센은 어렸을 때부터 길러온 호기심과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의견에 열려 있는 토론과 독서의 습관, 사교적인 성격과 사회에 대한 관심과 참여정신이 모두 섞여서 그런 전문가가 된 것 같아요.^^ 상아탑에만 갇혀 혼자 파고드는 학문에는 결국 한계가 있겠죠, 그것도 경제학처럼 사회적인 학문이라면...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