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돌책 챌린지] 1. 한낮의 우울

D-29
561쪽, [캄보디아의 팔리 누온이 지적했듯이 사랑과 신뢰는 위대한 옹호자 노릇을 할 수 있으며, 사람들은 자신에게 일어난 일에 대해 다른 사람이 관심을 가져 준다는 사실을 아는 것만으로도 큰 힘을 얻을 수 있다]
602쪽, 농담도 적당히 해야지 이사벨 마음이 얼마나 아팠을까.
603쪽, 그래서 우울증은 제게 사형선고와도 같은 병이지요.. 저먼윙스 사고 이후 시선이 더욱 경계적으로 바뀌었을 겁니다.
최근 이번 벽돌책 주제와 관련하여 국민일보에서 나온 탐사보도를(상담시장 X파일) 흥미롭게 읽고 있습니다. 엉터리로 뿌려지는 심리상담사 자격증과 그에 관련되는 각종 사업들을 파고드는 이야기인데요. 주위에 보이지는 않지만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심리적으로 병들어 있고 치료받고 싶어하는지, 그리고 그 수요가 상술로 어떻게 이용당하는지 실태를 알 수 있었습니다. 정신적으로 고통받는 분들은 제대로 치료받을 곳을 찾는 것도 쉽지 않아보입니다.
검색해서 상담시장 X파일 기사 시리즈 찾아 읽었는데... 우와... 정말... 입이 안 다물어지네요. 21세기에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니...
그런데 기자 분들이 참 취재도 열심히 했지만 기사 문장도 재치가 있네요. ‘슈퍼마켓 이름을 ‘청와대’라고 지은 거랑 같다‘든가... 읽으며 빵빵 터졌습니다.
395쪽, [우울증은 무가치함의 추구라 할 수 있죠. 무가치한 것은 얼마든지 찾을 수 있어요. 우울증 상태에서는 자신의 무가치함을 증명할 만한 것을 계속해서 찾죠.]
401쪽, [죽음을 원하는 것과 죽고 싶은 것과 자살하고 싶은 것 사이에는 미세하지만 중요한 차이가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따금 죽음을, 존재하지 않기를, 슬픔을 넘어서기를 원한다. 그리고 우울증에 빠지면 많은 이들이 죽고 싶어 한다. 현재 상태에서 적극적인 변화를 시도하는 것, 의식의 고통에서 해방되는 것을 원한느 것이다. 그러나 자살하고 싶어 하는 것은 특별한 에너지와 특정한 방향을 띤 폭력성을 요한다. 자살은 수동성의 결과가 아닌 행동의 결과다.]
406쪽, [자살할 권리는 인간의 기본 권리여야 하며, 그 누구도 자신의 의지에 반하여 삶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
동의하십니까? 가톨릭에서는 확실히 금지하는 주장인데요. 내 생명 역시 인명이고 내 목숨을 끊는 것 역시 살인이라는 대죄로 봐야 할까요. 내 삶은 내 선택의 대상이어야 하는 걸까요. 혹은 누구도 삶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삶과 죽음을 선택하기에 충분한 지식을 알지 못하며, 자살은 어리석은 행위가 되는 걸까요.
출생은 선택하지 못했어도 마지막만큼은 제가 선택하고 싶어요. 참 미묘한 문제인 것 같아요. 어떠한 상황에 처해 있는지 불문하고 죽음을 원하는 사람 또는 자살하고자 하는 사람 모두를 어떻게든 살리고자 하는 현 시스템이요. 한국계 청년 이야기를 읽으면서 참 안타깝다고 생각했습니다.
누가 진심으로 죽음을 원하는지 타인이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요? 나중에 누군가는 말려줘서 고맙다고 하고 또 다른 누군가는 왜 방해하냐고 하겠지요.
정말 모르겠습니다. 제 지인이 육체적으로 건강한 상태에서 극단적인 결심을 하면 말릴 거 같기는 한데요.
413쪽, [현재 선의의 자살 방지 프로그램도 자살에 취약한 이들에게 자살을 떠올리게 하는 경우가 많다는 증거가 나왔으며 실제로 자살률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 이 책 나온지 20년 넘었는데... 마포대교 자살 방지 캠페인 생각나네요. 그 캠페인 진행했던 사람들이나 거기에 광고대상 줬던 사람들이나 관련 연구는 살펴보지 않았던 모양입니다.
서울시는 2012년 마포대교를 시작으로 2013년 한강대교에 자살예방 표어를 붙였지만 오히려 '각인 효과'로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앞서 서울시는 2019년 마포대교에서 자살예방문구를 철거한 바 있다 (…) 서울시에 따르면 2012년 마포대교의 투신 시도자는 15명에 불과했으나 캠페인 이후 2013년에는 93명, 2014년에는 184명 등으로 오히려 증가했다 궁금해서 찾아보니 이미 철거되었고 오히려 부작용이 있었네요. 예전 인터넷에서 해당 자살방지문구들이 희화화되어서 한동안 퍼졌던 것도 기억나네요. 조금만 더 신경써서 기획하시지..
427쪽, 수많은 자살 방법들. 엄청나군요.
그리고 마켓 종업원은 청와대에서 근무한다고 말하는 거죠. 기자분 필력이 보통이 아니셔요. 다음편도 기다리고 있습니다.
취재는 여러 사람이 하고 어떤 한 분이 대표 집필하는 거 같은데 정말 맛깔나게 잘 쓰시네요. 종이 신문에 이렇게 긴 기사를 쓸 수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아예 처음부터 인터넷용으로 기사를 쓴 걸까요? 저도 다음편 기다립니다. 재미있는 기사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저랑 아내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써서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에 등록해두었습니다. 벌써 3년이 되었네요.
ㅎㅎ 저도 지갑에 가지고 다녀요. 제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 :)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한겨레출판/책 증정] 《쓰는 몸으로 살기》 함께 읽으며 쓰는 몸 만들기! 💪[도서 선물] <알고리즘 포비아> 현 인류에게 꼭 필요한 질문, 편집자와 함께 답해요🤖[책증정] 더 완벽한 하루를 만드는『DAY&NIGHT 50일 영어 필사』함께 읽고 써요[김영사/책증정]수학자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다《세상은 아름다운 난제로 가득하다》함께 읽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극단 '피악'의 인문학적 성찰이 담긴 작품들
[그믐연뮤클럽] 8. 우리 지난한 삶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끄는 여정, 단테의 "신곡"[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그믐연뮤클럽의 서막 & 도박사 번외편]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이반과 스메르자코프"
10/15(수) 오후 7시 30분! 김준녕 작가님과 라이브채팅 Go Go
김준녕, 오컬트도 잘합니다. [다문화 혐오]를 다루는 오컬트 호러『제』같이 읽어요🌽
같이 읽고 싶은 이야기_텍스티의 네버엔딩 스토리
김준녕, 오컬트도 잘합니다. [다문화 혐오]를 다루는 오컬트 호러『제』같이 읽어요🌽[텍스티] 텍스티의 히든카드🔥 『당신의 잘린, 손』같이 읽어요🫴[텍스티] 소름 돋게 생생한 오피스 스릴러 『난기류』 같이 읽어요✈️[책증정] 텍스티의 첫 코믹 추적 활극 『추리의 민족』 함께 읽어요🏍️
10월 20일, 극단 '족연'이 돌아옵니다~
[그믐밤] 40. 달밤에 낭독, 체호프 1탄 <갈매기>[그믐밤] 38.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4탄 <오셀로>[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모두를 위한 그림책 🎨
[도서 증정] 《조선 궁궐 일본 요괴》읽고 책 속에 수록되지 않은 그림 함께 감상하기![그믐밤] 27. 2025년은 그림책의 해, 그림책 추천하고 이야기해요. [책증정] 언제나 나를 위로해주는 그림책 세계. 에세이 『다정하게, 토닥토닥』 편집자와함께"이동" 이사 와타나베 / 글없는 그림책, 혼자읽기 시작합니다. (참여가능)
각양각색! 앤솔로지의 매력!
[그믐앤솔러지클럽] 1. [책증정] 무모하고 맹렬한 처음 이야기, 『처음이라는 도파민』[그믐미술클럽 혹은 앤솔러지클럽_베타 버전] [책증정] 마티스와 스릴러의 결합이라니?![책나눔] 어딘가로 훌쩍 떠나고 싶을 때, 시간을 걷는 도시 《소설 목포》 함께 읽어요. [장르적 장르읽기] 5. <로맨스 도파민>으로 연애 세포 깨워보기[박소해의 장르살롱] 20. <고딕X호러X제주>로 혼저 옵서예[그믐앤솔러지클럽] 2. [책증정] 6인 6색 신개념 고전 호러 『귀신새 우는 소리』
사랑은 증명할 수 없지만, 증명하고 싶어지는 마음이 있다
[밀리의 서재로 📙 읽기] 29. 구의 증명최진영 작가의 <단 한 사람> 읽기[부국모독서모임] 최진영의<구의 증명>, 폴 블룸의<최선의 고통>을 읽고 책대화 해요!
더 나은 내가 되기 위한 레슨!
[도서 증정] 『안정감 수업』 함께 읽으며 마음을 나눠요!🥰지금보다 나은 존재가 될 가능성을 믿은 인류의 역사, 《자기계발 수업》 온라인 독서모임
한국의 마키아벨리, 그의 서평 모음!
AI의 역사한국의 미래릴케의 로댕최소한의 지리도둑 신부 1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노벨문학상 수상자,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 축하합니다!
[이 계절의 소설_봄] 『벵크하임 남작의 귀향』 함께 읽기[이달의 소설] 1월 『벵크하임 남작의 귀향』 함께 읽어요(신간읽기클럽 )1. 세계는 계속된다/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
공룡 좋아하는 사람들은 여기로!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7. <경이로운 생존자들>[밀리의 서재로 📙 읽기] 10. 공룡의 이동경로💀《화석맨》 가제본 함께 읽기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