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원이면서도,그래서 더욱 자유를 갈망하면서도, 어쩔 수 없이 소속되어야만 했던, 저로선, 정말, 밑줄 쫙 긋고, 형광펜으로 색까지 입힌 문장이었습니다.
jay
'사무실에 도착하면 복수심에 지쳐 기진맥진해 있다. 누구를 더는 미워하기 지친 그때 슬픔이 찾아온다. 사무실 일은 슬프다. 모든 일이 그렇다. 누구나 일의 보람이나 분노, 슬픔 따위를 이야기해도 유독 슬픔에 관해서는, 그 비통함이 못된 상사나 거래처 탓이 아니라 애초 태생적인 감정임을 인정하지 못한다. 일의 슬픔은 정말이지 태생적이다.'
라는 구절이 기억에 남아요. 일에서 마주치는, 혹은 일과 관련된 사람들에 대한 분노가 점점 커지다가 한계점을 넘어서 더 커질 수 없을 만큼 커지면, 무언가 외부로 표출될 수 있는 감정인 분노가 슬픔이라는 감정으로 변한다는 고찰이 인상깊었어요. 제 생각에 슬픔이라는 감정은 분노라는 감정에 비해 느끼면 느낄수록 무언가가 자신의 내면으로 향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일에 대해 생각할수록 그 부정적인 감정-슬픔-이 내면으로 향하는 것마저 슬프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하지만 일이라는 것은 일상에서 아주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고, 사람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것이기에 '일의 슬픔' 에 대해 서술하는 이 대목을 읽으면서 화자의 깊이있는 고찰에 대한 신선한 충격과, 덩달아 암울해지는 기분을 느낄 수 있었어요.
소전서가
슬픔은 내면으로 향한다는 말씀에 동감해요. 일은 반대로 항상 밖에서 벌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쉽게 분노하고 그 방향이 남들이라 생각하지만, 감정은 또 언제나 자기 자신에게로 침잠하여 슬픔으로 돌아오는 것일까요? jay님의 시선이 이 소설의 짤막한 구절을 더 의미 있게 만들어주는 듯해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소전서가
1-2. 주인공 <나>와 <그녀>에게 받은 인상을 들려주세요. 혹시 당신 또는 당신 주변의 어떤 것과 닮은 점이 있다면, 무엇인지 말해 주세요.
밍묭
세상 무기력하고 기운없고 그 와중에 순진한 면도 없지 않아 있는 모습이 저와 닮아있어 익숙한 느낌이 들었어요.
소전서가
아, 1부 주인공 남자는 무기력하게 거리에, 전차에, 인파에 자신의 몸과 정신을 맡기죠. 주인공에게 <익숙>한 느낌이라니, 앞으로 더 소설에 이입이 잘 되실 것 같아요!
로크
주인공의 뭔가 심각-한 분위기에 영웅처럼 그녀가 등장! 한다는 인상을 받았어요, 그게 이 소설의 흐름일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소전서가
영웅! 네, <나>라는 남자는 자신의 외의 모든 것에 시달린 것 같아요! 자신도 그 상태에서 벗어나길 바랐을 것이고. 많은 이들이, 어떤 <계기>를 기다리고 있지 않을까요? 어떤 변화를 위해서 말이죠.
슝슝
고백하기 어렵지만 주인공 <나>와 같은 충동에 종종 빠지곤 했습니다. 아무에게도 섣불리 내비칠 수 없던 마음이 소설 속에서 너무도 담담하게 나와서 속마음을 모두 들켜버린 기분에 부끄러워졌습니다.
소전서가
네 맞아요, 담담하게 나왔죠. 동전의 앞면이 삶이라면, 당연히 그 뒷면이 존재한다는 것처럼요. 고양이도 기침을 하면서, 그 응축된 단어를 외치고요. 2부에서 주인공은 유일하게 <친구>를 만나 이런저런 이야기를 합니다. 그 부분이, 슝슝님에게 인상적으로 다가올 것이라는 느낌이 오네요. 꼭 읽어봐 주세요. ^^
호디에
(1-2)
제가 '그'에게서 시종일관 느낀 감정은 '외로움'이었습니다. 그 처절한 외로움을 어쩌지 못해서 고통스러워한다고 느껴졌어요. 차라리 '그녀'처럼 노트북을 산산조각 내고 뛰쳐나갈 용기라도 있었으면 좋았을텐데,라는 생각도 들었고요.
소전서가
외로움에 관해서라면, 저는 이 문장이 인상적이었어요. 56-57면에 걸쳐 있는 건데요. <아무도 말을 걸지 않는다. 나조차도 말을 걸지 않는다. 외로워 죽을 지경이다. 내게 말을 걸지 않는 자에게 말을 걸고파 죽겠다.> 아니 소설에서 이렇게 직접적인 문장을 볼 줄이야. 네, 그러나 이 소설의 화자가 이렇게 직접적으로 말하는 게, 참 신선하다고도 생각했습니다.
책스칩
<나>는 아주 무기력하면서도 아주 얇은 열망의 끈을 잡고 있는 느낌이들고 <그녀>는 누군가와 함께하고 싶어하면서도 자신은 내비추고 싶어하지 않는 느낌이였어요. 제가 본 <나>와 <그녀>는 인간이라면 내면에 하나씩 있는 성격을 인간화 시킨 모습인 것 같아요. 어느날은 타인에게 솔직하고 싶고 어느날은 타인과 거리를 두고 싶은...
소전서가
얇은 끈... 이라는 표현이 너무 적절한 듯합니다. 끊어질 듯, 도움이 필요한 듯 , 위태로운 그런 상태....
하뭇
나와 그녀 모두 명쾌하거나 선명하지 않은 느낌이에요. 곁에 있어도 잘 모를 것 같은 사람이요.
소전서가
어려운 인간들...... 명쾌하고 선명했다면 더 읽기 쉬웠을 것 같지만, 우리 인간 본연의 모습이 정말 어떠한지를 고민해 보게 되는 인물들인 것 같습니다.
위버m
그는 얼핏 지치고 무기력한 사람으로 보이지만, 실은 모든 것을 반 드시 주관대로 하고야 마는 사람 같아요. 어쩌면 뜻대로 할 수 있는 일이 굉장히 적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일에 대해서는 타협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내가 자살을 염두에 둔 건 궁지에 몰려 떨어져 죽기 전에 먼저 떳떳이 뛰어내리고 싶어서였다. 나는 누군가의 선의로도, 악의로도 무너져 내릴 수 있었다.” (p, 23)
소전서가
< 어쩌면 뜻대로 할 수 있는 일이 굉장히 적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일에 대해서는 타협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아, 아주 날카로운 발견입니다. 그러고 보니, 이 남자에게는 아주 극단적인 양면이 공존하고 있네요.
[도서 증정] 작지만 탄탄한 지식의 풍경, [출판인 연대 ‘녹색의 시간’] 독서 모임[그믐앤솔러지클럽] 2. [책증정] 6인 6색 신개념 고전 호러 『귀신새 우는 소리』[도서 증정] 《조선 궁궐 일본 요괴》읽고 책 속에 수록되지 않은 그림 함께 감상하기![책 증정] 호러✖️미스터리 <디스펠> 본격미스터리 작가 김영민과 함께 읽기[도서 증정] 『문명과 혐오』를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조지 오웰에 관하여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6. <조지 오웰 뒤에서>불멸의 디스토피아 고전 명작, 1984 함께 읽기[그믐북클럽X교보문고sam] 20. <위건 부두로 가는 길> 읽고 답해요[책걸상 함께 읽기] #7. <오웰의 장미>조지 오웰 [엽란을 날려라] 미리 읽기 모임
버지니아 울프의 네 가지 빛깔
[그믐밤] 28. 달밤에 낭독, <우리는 언제나 희망하고 있지 않나요>[서울외계인] 버지니아 울프,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읽기<평론가의 인생책 > 전승민 평론가와 [댈러웨이 부인] 함께 읽기[그믐연뮤클럽] 7. 시대와 성별을 뛰어넘은 진정한 성장,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
매달 다른 시인의 릴레이
[ 날 수를 세는 책 읽기 ㅡ9월 '나와 오기' ]
[날 수를 세는 책 읽기ㅡ8월] '내가 네번째로 사랑하는 계절'〔날 수를 세는 책 읽기- 7월〕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날 수를 세는 책 읽기ㅡ6월]
'좋음과 싫음 사이'
전쟁 속 여성의 삶
[도서 증정] <여성과 전쟁: 우크라이나 소설가의 전쟁일기> 번역가와 함께 읽어요.[책걸상 함께 읽기] #47.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밀리의 서재에 있는 좋은 책들
[밀리의 서재로 📙 읽기] 27. 데미안
좋은 스토리의 비밀을 밝혀냅니다
스토리 탐험단 8번째 여정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스토리탐험단 7번째 여정 <천만 코드>스토리탐험단 여섯 번째 여정 <숲속으로>
문화 좀 아는 건달의 단상들
설마 신이 이렇게 살라고 한거라고?그믐달자연의 일부일 뿐이라는 생각
믿고 읽는 작가, 김하율! 그믐에서 함께 한 모임들!
[📚수북플러스] 4. 나를 구독해줘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책증정 ]『어쩌다 노산』 그믐 북클럽(w/ 마케터)[그믐북클럽] 11. <이 별이 마음에 들어> 읽고 상상해요
현암사 80주년 축하해 주세요 🎉
[도서 증정] <이달의 심리학>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현암사/책증정] <코끼리는 암에 걸리지 않는다>를 편집자, 마케터와 함께 읽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