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심과 욕심이 만나서...ㅠㅠ
[📕수북탐독] 3. 로메리고 주식회사⭐수림문학상 수상작 함께 읽어요
D-29

최영장군
화제로 지정된 대화

김의경
벌써 수요일이네요. 뜨거운 여름날, 출퇴근 잘하고 계시나요? 저는 직장에 다니지 않는 프리랜서지만 스스로 직장인이라고 생각하고 월~금요일에 일을 하고 주말에는 쉬려고 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월요일이 되면 언제 한 주가 가나 싶고 수요일쯤 되면 이제 곧 금요일이구나, 하면서 힘이 납니다. <로메리고 주식회사>를 읽으면서 오래 전 직장생활을 했던 기억이 났고 장그래 같은 미생들, 직장인들에 대해 떠올려보게 되었습니다. 두 번째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아주 간단하고 가벼운 질문입니다.
2. 소설의 첫 장에는 “자네 등산 좋아하나?”라는 문장, 그리고 "깨달음은 출근길의 버스와도 같아서 일찍 오는 법이 없다."는 문장이 나옵니다. 이 두 문장의 의미는 복잡계의 '나비 효과(butterfly effect)'처럼 나중에 가서야 알게 되는데요. 여러분은 출퇴근 어떻게 하시나요? 출퇴근 시간이나 루트, 교통편 때문에 불편한 점은 없으신가요? 왜 그렇게 출근길의 버스는 일찍 오는 법이 없을까요?

슝슝
저는 대다수의 직장인들보다는 늦은 출퇴근 시간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옥철은 피할 수 있는데요, 그렇다고 늦은 오전 시간대에 배차 간격이 갑작스레 조정된다든지 그러면 출근길이 난감해집니다. 대개의 경우 지하철 공사의 파업이나 전장연 시위 때문이죠. 그럴 때면 7-10시가 아닌 시간대에 출근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도 알아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듭니다. ㅎㅎ
그리고 저는 책이 당첨되지 않은 줄 알았는데 배송 받아서 깜짝 놀랐습니다. 크리스마스 선물 같은 기분이 들었어요 :) 감사합니다!


최영장군
출근 시간대가 더 다양해지면, 지옥철이 연옥철로 변할 텐데....
그리고 몰랐어요. 조명과 사진의 각도 조합 때문인지 책 색감이 예쁜데요?!! 😂

김하율
방금 지하철에서 내렸는데 6~7세정도된 여자아이가 바닥에 쪼그리고 앉아있는거예요. 그 앞에 아무도 자리 양보를 안하더라고요. 마침 제가 건너편에 앉아서 카톡하다가 목격해서 아이를 불러서 안으라고 했더니 어머니가 감사하다며 애기 앉게 하시더라고요. 세상 각박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퇴근길 피곤하긴 하니까.

최영장군
아기도 세상을 좀 느꼈을 거예염~ㅋ (찡긋)
소설쓰는지영입니다
@김하율 저는 며칠 전에 조카들을 데리고 지하철을 탔는데요. 10세와 6세 아이들은 앉아 있고 저는 서 있는 상황이었는데 어떤 분께서 오시더니 너희는 어디까지 가니, 내가 다리가 아프다.... 그리 말씀하시더라고요. 두 정거장 남았고, 조카 1이 어쩔 줄 몰라하는 표정을 짓길래 양보해 드리자 하고는 일어났어요. 주변에서는 별다른 반응도 없고, 저도 당혹스러웠다가 고단함으로 뭉쳐진 세상에 대해, 무엇이 우리를 이렇게 고단하게 만드는지 잠시 생각했어요.

김의경
요즘은 사람들이 다 피곤해보여요 임신부 석에 앉은 (임산부가 아닌)사람들마저도요. 덩달아 양보하는 마음도 줄어드는것 같네요.

장맥주
요즘은 감사하게도 출퇴근을 안 하는 생활을 하고 있고, 거기에 무척 만족해요. 출퇴근이 스트레스였어서요. 회사 다닐 때는 아주 일찍 출근하는 편이었어요. 붐비는 지하철이 너무 싫어서요. 막 7시까지 출근하고 그랬어요(매일 그랬던 건 아니고요). 다른 사람들은 제가 부지런한 줄 알았지만 실은 그냥 지옥철이 싫었습니다. ^^;;;

라아비현
저는 재택 근무라 출퇴근을 하지 않습니다만 아버지가 출근할 때 일찍 출근 하시는걸 봤습니다 지금은 정녁퇴직 하셨습니다

최영장군
그 오랜 시간 출퇴근 하셨을....
바닐라
물리적 시간보다는 아무래도 심리적인 문제 아닐까요? ㅎㅎ요즘은 앱으로 도착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불편함이 크게 없는 것 같아요.
앨릿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이 가능하긴 하죠. 외국인들이 놀란다는 우리나라의 BIS시스템. 교통앱 도움 덕에 지나치지 않고 잘 내리네요.

새벽서가
저는 집에서 직장까지 1.4 마일만 가면됩니다. 자동차로 출근을 하는데, 아주 잠깐 날이 덥거나 춥지 않은 11월과 3월에는 종종 걸어서 출퇴근을 하기도 합니다.

최영장군
거리 단위로 마일이 나오니까 뭔가 (미국) 영화 장면 같은데요
모터호텔 앞에서 보안관이 내리고...ㅎ

새벽서가
한국에서는 운전면허를 따고 몇년 운전하지도 못한채 떠나왔고, 유럽에서 살 때는 대중교통을 더 많이 이용했고, 미국에서 가장 오랜 기간 운전을 하면서 살다보니 거리감은 마일로 체화되서인지 저는 킬로미터가 빨리 계산되지가 않네요. ^^;

최영장군
한국, 유럽, 미국... 노마드적인~

새벽서가
어쩌다 보니 그랬었네요. 하지만 노마드라고 하기엔… 98년도부터 중간에 잠깐 상해와 홍콩에서 살았던 걸 제외하고 미국 붙박이 신세네요. ㅠㅠ

아린
흠...저는 지하철 한번 환승해서 가는데..지옥철을 뚫고 갑니다..만......대부분은 재택입니다..
코로나때 부터 재택을 했는데..어느 정도 정착되서 그냥 재택으로 주욱..하고 미팅이나 그런 이슈가 있을 때 출근하고 있어요

김의경
저하고 비슷하네요. 저도 대부분은 재택, 특별한 날에 서울에 갑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