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이 드라마 참 좋아했었는데, 오랜만에 들으니 그냥 옛 생각에 기분이 좋아지네요.
[📕수북탐독] 3. 로메리고 주식회사⭐수림문학상 수상작 함께 읽어요
D-29

나르시스
슬하염
사주나 관상, 점성술 같은 건 안 믿는 편이에요. 옛날에 재미로 사주를 본 적 있었는데 하나도 안 맞았거든요 ㅎㅎㅎ 전 저음의 목소리를 좋아한다고 생각했는데 최근에 미성도 꽤 듣기 좋다는 걸 알았어요. 아마도 조근조근한 어조를 더 좋아하는 편이 것 같습니다. 최근엔 <히어로는 아니지만>에 나왔던 장기용 배우님 목소리가 매력적이었어요.

최영장군
저는 사주나 관상 계통 분들이 저에 대해 잘 맞히시긴 하던데, 그래도 안 믿는...ㅋㅋㅋ
말씀해 주신 배우분 한번 찾아봐야겠네요~

장맥주
음... 갑자기 배우 이야기 하니까 뜬금없이 생각나는 게... 존 윅 3를 보면서 작가님을 여러 번 생각했답니다. 그 최종 보스를 보면서... 음... 죄송합니다! (후다닥)

최영장군
아하, 그분~ 감사합니다 ㅎㅎㅎ(이 사람인지는 모르겠지만, ㅋ😄)


꽃의요정
저 분 율 브린너인 줄~ 저 그 세대 아닙니다!!!
근데 저 분 정말 멋있네여......하지만 제 마음 속 아파트엔 최영장군님이!!!
안물안궁이시겠지만, 팬트하우스엔 강동원님과 브래드 피트님이 장기 거주중이십니다.

최영장군
저는 필로티 구조 2층에...😂 😂

장맥주
이 분 맞습니다. 잘 싸우시더라고요. ^^
헤어스타일 바꾸시기 전에는 이랬습니다.


최영장군
머리 안 기르는 게 더 좋을 수도 있군요...ㅋㅋㅋㅋㅋ

꽃의요정
처음엔 옹박인가 했어요;;;

강츄베베
저는 재미로는 괜찮다고 보는데 실제로 관상과 사주 등을 믿지 않습니다. 각자의 인생이 관상과 사주로 결정되면 삶의 동기부여가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좋은 목소리는 다큐멘터리 나레이션으로 자주 등장하시는 가수 양희은님, 배철수님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분들의 목소리는 언제나 들어도 귀에 착 감기고 더욱 그 이야기에 빠져들게 하죠.

최영장군
저도 두 분 목소리가 매력적이라 생각했습니다~!!

김의경
정말요. 자꾸만 듣고싶어지는 매력적인 목소리죠.

독갑
사주카페 대목을 읽다가 무료 사주 사이트에 접속했었는데, 질문 보고 뜨끔했습니다. 저는 '관상은 사이언스'라고 믿는 사람인데 그 외에는 전혀 믿지 않습니다. 사람 얼굴에 새겨진 세월과, 그 사람이 태어난 생년월일시는 완전히 다른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나머지도 마찬가지로 통계의 영역일 수 없다고 믿습니다.
목소리 좋은 사람으로는 가수 김동률님이 바로 떠오릅니다. 그리고 박효신도 있네요. 꼽고 나니 제 연식이 탄로난 것 같습니다 ㅎ

최영장군
가끔 거리를 나서면 온통 행복한 연인들
자꾸만 왜 걸음이 바빠만지고 괜시리 울컥 화가 나는지
혼자서 영화를 볼 때나 슬픈 음악을 들을 땐~~~😂

독갑
크... 작가님도 김동률 팬이신 것으로 알고 있겠습니다 ;)

김의경
이번 모임에는 칠팔십년대 생이 많이 모인것 같네요ㅎㅎ

김준1


꽃의요정
두 사람의 기억에 어긋남은 없었다. 다만 기억된 사실에 대해 해석하는 방법이 다를 뿐이었다.
『로메리고 주식회사 - 2019 제7회 수림문학상 수상작』 290p, 최영 지음
문장모음 보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최영장군
***로메리고 주식회사 함께읽기 관련 저자의 변 3탄***
말복 지나니까 미칠듯한 더위는 조금 수그러든 것 같은데, 그래도 여전히 무더운 여름 어떻게 지내고 계신가요?
이번에는 세 가지 쌍 찾기 문제와 관련된 이야기를 드려볼까 합니다. (정답이 있는 건 당연히 아니지만, 그래도 자세히 읽은 독자분들의 이야기를 조합해서 말씀드려 봅니다)
일 년 반쯤 전이었을 거예요. 어느 북토크 시간에 한 독자분이 이런 의견을 저자인 제게 확인받고 싶어 하셨습니다. 철학을 공부하는 대학생분이었는데요. 자신은 <로메리고 주식회사>를 절반쯤 읽었을 때 "이정우와 윤기풍이 동일한 인물"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얘기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깨닫는 것은 자유인데, 그 깨달았다는 주장에 어떤 근거가 있느냐고 물었죠.
그랬더니 그 독자분이 이렇게 얘기하는 거예요.
"이정우가 혐오하는 (종류의) 인간들은 모조리 윤기풍으로부터 장풍을 맞더라."
자신은 소설 속 구조와 패턴을 발견했다고 생각하는데, 작가는 여기에 대해 어떤 입장이냐는 질문이었습니다.
저는 그때 '정답은 없다. 해석이 있고, 어떤 해석은 정교할 따름이다.'고 대답했어요. 그래도 무언가 지지든 반대든 의견을 듣고 싶어 하시길래, '레플리카' 이야기를 했죠. 주구장창 입고 다니는 레플리카가 윤기풍이 이정우의 복제된 자아일 수도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지킬과 하이드처럼요.
그리고 장자의 호접몽과 같은 꿈을 자주 꾸고, 고향이 무진인 이정우의 진본성에 대한 의문에 대한 이정우 스스로의 답변이 발터 벤야민의 아우라에 대한 독백으로 나타난다고도 볼 수 있다, 등의 이야기를 건넸던 것 같습니다.
여기 함께읽기 모임에서도 어느 회원분께서, 이정우가 레플리카를 입은 사내를 처음 만나는 장면에서 지나지게 자신을 이입하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고 하신 것 같은데, 이러한 '감각적 캐치'가 두 존재의 동일성에 대한 또 한번의 설득력이 될 수도 있다 생각합니다.
84페이지에 이정우가 희주의 오피스텔에서 유벤투스 레플리카를 입고 항의차 방문한 윤기풍을 보고, 셰익스피어 연극의 대사 "Murderer!"를 속으로 외치는 장면은 마치 거울 속 자신에게 외치는 장면과도 마찬가지라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윤기풍을 만날 때마다 이정우는 자신의 또 다른 자아와 대면합니다. 벌거벗은 두 남자가 마주하는 장면 또한 그 연장선이고, 내면의 갈등이 외면으로 표상된 장면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어쩌면 거대한 심리극 속에 살고 있는 존재인지도 모릅니다. 우리는 단일한 자아 없이 그때그때 생겨나는 의식과 기억을 붙들고 자아라는 이름으로 통합시키는 일을 하는 것일지도요.
이러한 심리적 기제는 물리적 미시세계 속 양자의 운동과도 닮은 측면이 있는 것 같아요. '그 종잡을 수 없음'에 대해서는 뒷부분에 나오는 코펜하겐 해석에 관한 문제에서 다시 다루고 이어서 두 번째 쌍 이야기(해석 예시)를 들려 드리겠습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