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멘토에 <우리 안의 인종주의>라는 책도 있는데, 이 책 저자가 국제결혼 당사자예요. 이분 말씀으로 '다문화'라는 말이 국제결혼 가정 아이들을 하나의 틀로 규정해서 차별과 배제를 부추기는 경향이 있다고 하더라고요. 당사자들이 너무 싫어 하는 말이라고 해요.
2024 성북구 비문학 한 책 ③ 『미래를 먼저 경험했습니다』
D-29

메멘토출판사

김새섬
그렇군요. 그렇게 싫어하는지 잘 몰랐습니다. '다양한 문화' 라는 말의 줄임말인 줄 알고 그냥 괜찮다고 생각했었어요.

장맥주
아, 당사자 분들이 다문화라는 단어를 싫어하시는군요. 더 안 써야겠네요.
저는 탈북민 단체에 지원을 10년째 해오고 있는데요, 한때 ‘탈북자’를 ‘새터민’으로 바꾸자는 캠페인이 있었어요. 그런데 당사자인 탈북자들은 ‘탈북자’라는 단어를 그렇게 싫어하지 않았고 오히려 ‘새터민’을 싫어하시더라고요. 그런데 저 캠페인 때문에 ‘탈북자’라는 단어도 그냥 사용하기 애매하게 되어 버려서, 요즘은 ‘탈북민’이라는 단어를 많이 쓰게 되었어요. 새터민은 거의 쓰지 않는 단어이고요.

메멘토출판사
'새터민'이라는 단어를 싫어하는군요. 몰랐던 내용이에요.. 작가님 인터뷰집 <팔과 다리의 가격>이 탈북민 지성호 씨 이야기더라고요. 사서 읽어 볼게요! (전자책이 안 나왔네요^^;;)

메멘토출판사

팔과 다리의 가격 - 지성호이 사람 시리즈. 이 시대 가장 첨예한 현실의식을 가진 작가 장강명이 소년 지성호 이야기를 토대로 쓴 논픽션이다. 그는 그저 눈을 감고 수많은 사람들이 잘못 없이 굶어 죽은 비극에 대해 더 슬퍼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썼다.
책장 바로가기

장맥주
헛. 감사합니다~~~. "팔과 다리의 가격" 인세는 전부 탈북민지원단체 NAUH에 지원됩니다. ^^

나무가되고싶은늘보
저도 구입했어요!^^

장맥주
엉엉 감사합니다. ㅠ.ㅠ

하뭇
다문화도 당사자들이 싫어하고 새터민도 당사자들이 싫어하고 장애우도 당사자들이 싫어하고.ㅋ 근데 굳이 이런 단어들을 새로 만드는 이유는 뭘까요?
참고로 제 남편이 장애인인데, 장애인이 아닌 사람을 비 장애인이라고 부르는 것도 이상하대요.ㅋ (남편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꽃의요정
한국어는 외워야 할 단어도 많은데, 당사자들이 싫어하는지 좋아하는지까지 가르쳐야 하다니...느무 어렵네요 ㅜ.ㅜ
약간 벗어나는 이야기인데, 하뭇님은 한국어 선생님인 걸로 알고 있는데, 영어의 Stepmother, stepfather 등을 어떻게 가르치시나요? ^^;;
특히 외국은 가정이 합쳐졌을 경우가 많은데, 새엄마 새아빠란 단어도 계모 계부도 다 사용하기 좋은 말들은 아니라서요(친엄마 친아빠가 헌엄마 헌아빠도 아니고).
"이 분은 내 의붓어머니야." 등등 너무 이상하죠? 왠지 속삭여야 할 것 같고...
아빠와 함께 온 언니나 오빠 등은 '배다른'도 아니고, 이런 단어들이 대부분 다 부정적인 어감이 있어서요.
이젠 재혼 가정도 많은데 당당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단어가 생겼으면 좋겠어요. 엄마가 두명이든 세명이든 아빠가 네명이든 다섯명이든요. 그냥 우리 엄마야 아빠야라고만 설명하기엔 좀 부족해서요.

하뭇
오잉? 제가 제 일을 이야기한 적이 있었나요? 일부러 안 하려고 했는데ㅋㅋㅋ
근데 지금까지 그 단어를 가르칠 학습상황이 없었어요. 교재에도 없고, 물어보는 학생도 없었고. 그냥 아버지 어머니 아빠 엄마 등의 단어만 가르쳤지 새아빠, 새엄마는 써본 적이 없네요.
한국의 언어습관상 친족이 아닌 사람에게도 친족 어휘를 쓰는 일이 많아서, 그것과 구분하기 위해 진짜 형제자매를 칭할 때 '친'을 붙인다는 얘기는 한 적이 있어요. 우리는 이름을 안 부르고 나이에 따라 언니 오빠 형 누나로 부르는 사람이 많으니 진짜 형제자매는 친언니, 친오빠...라고 한다고요.

꽃의요정
ㅎㅎ 어디서 봤는지 모르겠는데 그렇게 기억하고 있어요. 저 무섭쥬? ㅎㅎ
친절한 답변 감사드려요.
요샌 가족관계가 복잡한 시대인데, 아는 한국어 선생님들이 그럴 경우에 너무 곤란하다고 하시는 걸 들어서요. 심지어 초급일 때 배우는 거라 그룹 수업이면 자세한 설명도 못한다며....
세상에 뿌려진 차별언어가 많네요~

라아비현
저도 이 문장에 매우 공감하는 바 입니다
클레이
방금 끝까지 다 읽었습니다.^^

메멘토출판사
와 완독 축하드립니다!
클레이
초.중.고등학교 재적 다문화 학생 수는 16만 8645명으로 전체 학생의 3.19퍼센트다. 다문화 학생 관련 교육 통계 조사가 시작된 2012년에 다문화 학생 수 가 4만 6954명이었는데, 10년 만에 10만 명 넘게 증가한 것이다.
전체 학생 수는 2.4퍼센트 줄었는데 다문화 학생 수는 연평균 13.6퍼센트 늘었다.
이주 노동자, 외국인 유학생, 결혼 이주민과 이들의 자녀가 '새로운 한국인'을 구성하고 있다.p.201
클레이
미국의 비영리 연구 기관 센추리재단의 보고서는 "다양성이 우리를 더 똑똑하게 만든다."고 말했다. p238
클레이
저는 다 읽고나니 어른보다도 어른 같은 다온이의 말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뭐든지 존중하는 마음이 제일 큰 것 같아요."
"이왕 왔으니까 서로 존중하면서 조화롭게 사는게 어떨까, 다들 마음을 좀 넓게 생각해 주면 좋겠어요." p238

메멘토출판사
다온이 말이 백번천번 맞아요 ㅎㅎ

희망
상대적 평등이라는 관점에서 난민에 대한 지원은 당연하다고 봄. 저소득의 경우 기초생활수급제도가 있듯이 말이죠.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