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성북구 비문학 한 책 최종후보도서를 함께 읽습니다.
키 센텐스 "우리 골목을 광장으로 만드는 법"
『미래를 먼저 경험했습니다』를 통해 세 번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성북구 비문학 한 책] 프로젝트는 성북구립도서관과 ‘그믐’이 함께합니다.
성북구립도서관에서는 작년에 이어 성북구민을 비롯한 여러분들과 ‘비문학’ 도서를 선정해 함께 읽는 [성북구 비문학 한 책]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성북구립도서관은 2011년 이래로 문학과 어린이 책을 중심으로 매년 한 권의 책을 선정해 함께 읽는 여정을 걸어왔습니다. 그동안 문학과 어린이 책에 한정하지 않고 알려지지 않은 좋은 비문학 도서를 발굴해 함께 읽기를 소망하는 목소리들이 있어왔습니다. 도서는 오늘 날 우리 지역에 밀접한 문제를 다룬 책들로 선정하려 하며 또한 그 과정에서 최대한의 주민 참여를 이끌어 내어 좋은 책을 함께 살펴보고 함께 고르고 함께 읽으려 합니다.
성북구 한 책 읽기 사업 소개 링크
https://www.sbculture.or.kr/culture/main/contents.do?menuNo=50002
2024 성북구 비문학 한 책 최종후보도서를 함께 읽습니다. 신청자 중 10분을 뽑아 책을 보내드리는 이벤트도 함께 합니다.
세 번째 함께 읽기, 『미래를 먼저 경험했습니다』 (김영화 | 메멘토| 2024)
■ 『미래를 먼저 경험했습니다』 추천글
이미 다문화 시대로 접어든 대한민국이지만, 잘 안 보이는 그들, 특히 난민에 관해 생각해볼 수 있게 해주는 책.
- 그믐 책추천 모임에서 ‘하릅민규‘님의 추천사 중
■ 『미래를 먼저 경험했습니다』 출판사 책 소개
『미래를 먼저 경험했습니다』는 2021년 8월 ‘미라클 작전’으로 카불에서 구출한 아프간 특별기여자 가족(총 391명) 중 울산에 정착한 157명과 그들을 이웃으로 받아들인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한국은 올해(2024년) OECD 기준으로 이주 배경 인구가 5퍼센트를 넘어설 전망이니 이제 다문화 국가인 셈입니다. 각종 지표는 한국 사회가 도달할 ‘격변기’를 가리키는데도 새로운 이웃과 어떻게 공존할지에 대한 노하우는 좀처럼 쌓이지 않습니다. 이주민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도, 난민 정착을 돕는 '매뉴얼’도 없는 상태에서 울산 동구는 어떻게 아프간 가족을 받아들였을까요?
김영화 저자(《시사IN》기자)는 울산시교육청, 학교, 현대중공업, 다문화센터 관계자, 통역사, 지역 주민 등 한국인 30여 명을 인터뷰했고, 이를 바탕으로 이방인을 마주하면서 당황했던 사람들이 각자의 자리에서 이들을 환대하고 도운, 뭉클하고도 감동적인 이야기를 길어냅니다. 서로의 이견을 적대시하지 않으면서 합의점을 찾던 순간들, 공존의 노하우가 이 책에 담겼습니다.
■ 『미래를 먼저 경험했습니다』 도서 증정 이벤트 신청 안내
-신청 방법
① 온라인 독서모임 플랫폼 ‘그믐’에 회원 가입하기
② [모집 중]에서 2024 성북구 비문학 한 책 ③ 『미래를 먼저 경험했습니다』 ‘참여 신청’ 누르기
③ 참여 신청 버튼 누른 후 ‘추가 정보 입력’ 클릭하여 정보 작성 및 제출 (책은 개별적으로 구하고 독서모임 참여만 하실 분들은 ‘추가 정보 입력’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활동 안내
• 모임지기가 던지는 질문에 답글을 남기며 대화에 참여합니다.
• 활동 기간 중 모임에 관한 소식을 그믐 레터(이메일)와 문자로 안내 드립니다.
• 활발히 활동해 주신 분들께는 활동 기간이 끝난 후 ‘수료증’을 발급드립니다.
- 활동 기간: 8월 1일(목) ~8월 29일(목) 29일간
*당첨자 발표일: 8월 1일 (문자 안내 예정, 당첨자 10분께 책을 보내드립니다. 혹여 당첨이 되지 않으신 분들도 도서관에서 책 대여, 자체구입 등으로 함께 하여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모든 신청자에게는 그믐 알림과 이메일로 독서모임 시작을 알려드립니다.
※ 모임에서 나눈 책 이야기는 <미래를 먼저 경험했습니다>도서와 성북한책 홍보 소재나 콘텐츠 제작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독서 모임이 만족스러우셨다면 추후 온라인서점 및 개인 SNS에 서평 또는 감상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 밖의 궁금한 사항은 memento@mementopub.kr로 문의해주세요. 또는 아래 ‘모임 전 수다’에 남겨주세요.
2024 성북구 비문학 한 책 ③ 『미래를 먼저 경험했습니다』
D-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