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에
나는 말을 이해하고 그것이 작용하는 방식을 이해한다.고로 나는 붕괴한다.
말의 의미
기억 자극과 같은 것들을 전 잘 이해하지 못했어요
마지막 붕괴는 초지능의 붕괴일까요?
[SF 함께 읽기] 당신 인생의 이야기(테드 창) 읽고 이야기해요!
D-29
joy
소유
‘문제의 게슈탈트를 인식하는 관점을 획득했다’가 눈에 들어오네요. ‘시뮬레이터- 이 방어구조를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그랬다 그러고요. 문제에 대응하는 게 방어니까, 파괴의 언어를 이해하는 능력을 가졌고, 그렇기 때문에 (즉 그 언어를 인식(이해)했기 때문에, 알아들었기 때문에,즉 자기 것으로 접수했기 때문에) 붕괴한다는 것일까요? 여튼 이 사람은 자신이 가진 능력 자체가 파괴의 원인이 되는 것 같아요. 문제의 게슈탈트를 인식할 능력이 없다면, 문제가 문제되지 않을 테니….
소유
붕괴는 인식 능력 자체의 붕괴일 것 같아요. 그러니까 존재의 파괴..
joy
그렇군요. 작품이 심오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파괴의 언어를 이해하여 문제가 된다는 생각이 참 신기합니다. @소유 님의 설명이 너무 좋습니다.
소유
맞는지 모르겠어요 감사합니다 ㅎㅎ
소유
마지막의 역설에 다가가니, 소설이 좀 더 흥미롭게 느껴집니다. joy님 덕분!
어려운 내용이 많아서 다른 분들의 이야기도 기다려 봅니다.ㅎㅎ
joy
레이놀즈는 무엇을 하려했을까 궁금해지네요. 인류를 위한 것이 그에게는 어떤 의미였을까
라는 질문이 생깁니다.
소유
지구가 망하면 안 돼, 기후 위기를 막자, 핵융합을 막자 뭐 이런 거 아니었을까요. (103쪽 보면 그가 해온 행동들이 미생물을 이용한 유독 폐기물 처리, 실용적 핵융합을 가능케 하는 관성 봉입 기술의 개발.. 등으로 나와요.) 절대선으로 느껴지는 것이 있어서 사명감을 가지고 개입하려 하지만 이 세상은 그렇게 단순하게 접근하면 또 다른 문제가 생길 뿐인 것 같아요. 그렇게 머리가 좋아져도 그건 모르는 걸까요? 전세계의 게슈탈트를 이해하면, 알아야 할 것 같은데..ㅎ
이상주의의 타락(실패)이란 면에서 안타깝기도 하고요. 어쨌든 좋은 의도인데….
joy
아 제가 꼼꽁히 살피지 못했네요. 레이놀즈의 이상이 그런 거였네요
소유
그레코는 ‘미’를 추구한다고 나오는데, 이것도 좀 애매했어요. 그가 추구하는 미는 ‘고차원의 인식에 도달’하는 것일까요. 갑자기 아름다움을 추구한다고 나와서…. 그레코는 자신이 목격한 패턴(게슈탈트, 구조)를 아름답다고 보는 거겠죠?
joy
저도 잘 이해하지 못했어요. 무엇인가 완벽을 향해 달려간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표현을 다 할 수 있는 새로운 언어를 만든다든지 이런 행동들을 보면요.
소유
그가 호르몬k의 힘을 느끼고 더 투여하길 원하는 부분에서 저도.. 무엇인가 인간이 자신의 능력을 감지하면서 (잘 안 되는 부분이 잘 되게 되는 것을 느끼면서) 그렇다면 더 나아가 보고 싶다, 이러는 거 같았어요.(무엇인가 완벽을 향해 달려간다.) 근데 인식이 주는 쾌감은 결국 ‘미’일 수밖에 없겠다 싶네요. 레이놀즈 같은 실용주의자가 아니라면.. 보고 감탄하는 것 외에 뭐가 없는 거니까..
소유
미를 추구하는 이와 사람들의 더 나은 삶을 추구하는 자들이 서로 죽일 수 밖에 없다니, 역시 큰 능력은 파괴적이군요. 이 과정을 세세하게 설득력있게 써 낸 작가도 대단하다 싶고.
joy
어쩌면 이상을 향해 간다는 점에서 두 관점은 상통한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런데 공존할 수 없다는 것이....뭐라 표현하기 어렵네요.
파괴적인 느낌이 들게 소설에서 묘사한 이유는 무엇일지 생각해봅니다.

김새섬
저는 이런 식으로 제 맘대로(!) 이해(!)했어요.
그레코 : 초월적 가치 (완전 무결한 참된 진리)를 중시함. 인간을 미워한다기보다 인간은 진리와 무관한 존재이기 때문에 인간에게 냉담함. 마치 사람이 길바닥의 벌레를 미워해서 일일이 찾아 내 밟고 가는 것이 아니라 있는지도 모르고 밟게 되어 결국 벌레를 죽이게 되는 것처럼요.
레이놀즈 : 휴머니즘 중시. 인간을 위하지 않는다면 그렇게 수련하여 얻은 가치가 무슨 의미인가. 벌레의 마음을 이해한다면 우리는 벌레를 밟을 수 없다.
소유
이런 정리 재밌네요. 확 와닿습니다.ㅎㅎ 근데 인간을 위하지 않는 가치가 무슨 소용인가, 라고 하는 레이놀드가 앞으로 인간을 계속 해치며 자신의 가치를 실현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그들 중 몇몇은 그에게 위협적인 존재가 될 것이다’(107쪽), ‘그의 계획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죽음을 피할 수 없다.(114쪽)) 인간에게 냉담하지 않은, 벌레의 마음을 아는 레이놀즈가 오히려 살인을 하게 되는 역설이 있네요.
- 새섬님의 두 사람 비교 정리 글에 대한 답글인데 이상하게 올라가졌어요...-

김새섬
저도 레이놀즈가 좀 실망스러웠어요. ㅎㅎ
‘그들 중 몇몇은 그에게 위협적인 존재가 될 것이다’(107쪽) => 인류 역사에 히틀러가 다시 등장한다면 레이놀즈가 그를 죽일테고, 그레코같은 이도 다시 등장할테니 그도 없애겠네요.
‘그의 계획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죽음을 피할 수 없다.(114쪽)) =>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을 떨어뜨리는 마음일까요?
공리주의 위에 우리의 세계가 서 있고 이 때 매번 등장하는 트롤리 딜레마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가 궁금했는데 초지능인 레이놀즈도 별반 이에 대한 해결책이 없는 것 같았어요.
소유
트롤리 딜레마, 처음 들었는데 덕분에 알았습니다. 진짜 레이놀즈는 딱 이 경우군요. 인류(다수)를 위해 그레코를 없애겠다.. 트롤리 딜레마는 결국 양으로 인간의 생명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느냐인데, 한 명이라도 그런 이유로 버릴 수 있다면 그 한 명으로 버림이 끝나지 않을 것 같은…. 오후에 계속 생각해 보는 딜레마였습니다.
소유
그나저나 일반 인간을 해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초지능 인간끼리는 ‘이해’를 통해서만 해칠 수 있으니, 이 소설의 주제는 다른 무엇보다, ‘이해’ 또는 ‘언어’인 것 같아요.

흰벽
정말로 무엇보다 언어, 그리고 언어를 통한 이해가 주요 화두인 소설인 것 같아요. 그런데 이 소설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언어들이 정확히 어떤 것인지 그리기는 어렵더라구요. 상상력의 한계..
리언(그러니까 그레코)은 새로운 언어를 설계하려고 하고(86쪽~) 그 시도에 한계를 느껴 네 번째 앰풀을 쓰죠. 언어가 사고를 표현하지만 동시에 사고가 언어를 제한하기 때문에 사고의 확장은 언어의 변화를 추동하게 된다는 건데, 이런 언어관이 이 소설집 전반에 깔려 있다는 생각을 여기 실린 다른 소설들을 읽으면서도 했었어요.
그리고 마침내 ‘과거에 상상했던 그 어떤 것보다 더 풍부한 표현력을 가진 언어’를 알게 되고 이게 전반적인 이해의 확장? 업그레이드? 로 이어지고, 아마도 그래서 마지막에 죽게 되는 거겠죠? 레이놀즈의 자기파괴적 커맨드를 이해하는 것이 가능했으므로. ( @김새섬 님의 네덜란드 비유, 정말 찰떡!)
두 사람이 대화할 때 ‘일상적인 신체 언어의 단축 버전’을 쓴다고 하는데(105쪽) 이건 약간 텔레파시 같은 건가? 싶기도 했지만 어차피 텔레파시도 써본 게 아니니 모르고 ㅎㅎ
114쪽 그는 손가락으로 위를 가리키며 말한다. “이해해”
이 장면도 뭘 의미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그런데 계속 보다보니 레이놀즈가 말하는 자기 파괴 커맨드는 실제로 그런 게 존재한다기보다 그게 존재한다는 생각을 심어줌으로써 작동하게 되는 건가? 이런 생각도 드네요.
여하튼 참 읽으면 읽을수록 더 어려워지는 소설이네요 하하하;;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