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료증을 발급해보려고하니 대화가 100개 이상이어야 해당 기능이 가능하네요. 대화를 늘리기 위해 어뷰징 같지만 발췌한 텍스트를 좀 도배해보겠습니다.
[작법서 읽기] Story :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함께 읽기
D-29

메롱이

메롱이
뭔가 대화를 100개 채운 거 같긴 한데 모임지기가 남긴 대화는 대화에 카운트가 안 되네요. 수료증을 발급 못드려서 죄송합니다.

메롱이
아 모임지기 글도 카운트는 되는 거 같네요.

메롱이
마지막 어뷰징에도 불구하고 100개를 다 못 채웠던 거 같습니다.

메롱이
올해 초부터 로버트 맥키의 캐릭터를 시작으로 맥키의 글을 내내 읽었습니다. 작법서들이 여러 스타일이 있는데 이론과 개인적은 사견 사이의 비율이 있는 거 같아요. 스티븐 킹의 유혹하는 글쓰기는 에세이에 가깝고 사샤 블랙의 책들이나 크리스토퍼 보글러는 이론서에 가깝고 맥키의 책은 둘 사이의 중간쯤 포지션인 거 같습니다.

메롱이
그러다보니 흐름이 중구난방에 샛길로 빠지는 흐름이 많긴 합니다만 뭐 이런 게 이 책의 매력 같기도 하고 맥키 강의의 차별점인 거 같기도 하고요. 배우부터 시나리오 닥터와 작가로 영화 주변을 맴돌았지만 정작 이거다 싶은 결과물은 내지 못했던 저자의 잡다한 인생의 여정이 반영된 부분같기도 하네요.

메롱이
맥키 강연 마지막 날 카사블랑카 이야기를 하면서 70살 먹은 노인이 울었던 기억이 있는데 수 천 회 같은 내용을 강의했을 텐데 이렇게 감정적으로 격해질 일인가 싶으면서도 새삼 이분은 영화라는 장르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갖고 있구나 싶었습니다.

메롱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10년 후 로버트 맥키의 사후에도 이 책이 클래식으로 남을 수 있을 진 모르겠네요. 오늘날 영화라는 매체도 변했고 무엇보다 작품 예시들이 현세대의 창작자들이 접하기엔 너무 오래되기도 했고요.

메롱이
어쨌든 무리했지만 잡다한 글의 쓰레드로 100개를 채우고 수료증 발급이 가능해진 거 같네요.
밥심
에구구. 전 수료증 안 중요합니다. 발급 못 받아도 상관없으니 개념치 마십시오. 애써주셔서 감사합니다.

메롱이
인간의 본성은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다.
『Story :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453, 로버트 맥키 지음, 고영범.이승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메롱이
“ 극 안에 융화된 해설은 두 가지 목적에 부합된다. 첫째, 가장 중요한 목적은 당면한 갈등을 심화하는 것이다. 두번째 목적은 정보 전달이다. 조급한 초보자는 이 둘의 순서를 뒤바꾸어 극적인 필요보다 해설적인 기능을더 앞세운다. ”
『Story :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474, 로버트 맥키 지음, 고영범.이승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메롱이
첫째 관객이 이성적으로 쉽게 추측할 수 있는 일은 절대 포함시키지 않는다. 둘째, 몰라서 환란이 생기는 경우가 아니라면 절대로 해설을 그냥 전달하지 않는다.
『Story :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로버트 맥키 지음, 고영범.이승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메롱이
476 캘리포니아 식 장면들이란 서로 거의 모르는 두 인물이 마주앉아 커피를 마시면서 곧바로 자기 삶의 깊숙하고 어두운 비밀들을 속살거리기 시작하는 장면들을 일컫는다.
『Story :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로버트 맥키 지음, 고영범.이승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메롱이
480 이야기에 갈등이 부족할 때는 작가가 어쩔 수 없이 지루한 해설을 나열한다.
『Story :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로버트 맥키 지음, 고영범.이승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메롱이
481 그리하여 이렇게 극적인 동기가 없는 지루한 해설을 일명 먼지털이식 해설이라 부르기도 한다.
『Story :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로버트 맥키 지음, 고영범.이승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메롱이
“ 485 시나리오는 소설이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 소설가들은 인물의 감정과 생각에 직접 침투할 수가 있다. 하지만 시나리오 작가는 그럴 수 없다. 소설가들이 자유 연상의 기쁨을 누릴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
『Story :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로버트 맥키 지음, 고영범.이승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메롱이
“ 488 말하지 말고 보여줘라라는 격언은 예술적인 재능과 훈련을 요구하는 말이 다. 나태함에 항복하지 말고 상상력과 땀을 최대한 요구하는 창의적인 제한을 스스로 정하라는 권고인 것이다. ”
『Story :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로버트 맥키 지음, 고영범.이승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메롱이
497 서스펜스에서는 관객과 인물이 똑같은 정보를 알고 있다.
『Story :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로버트 맥키 지음, 고영범.이승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메롱이
“ 524 위대한 이야기꾼들은 말하지 말고 보여주는 게 창작의 궁극적인 과제임을 언제나 알고 있었다. 순수하게 극적이고 시각적인 글쓰기, 인간의 자연스러운 행위가 들어있는 자연스러운 세계를 보여주는 글쓰기 말하지 않고 삶의 복잡성을 표현하는 글쓰기 말이다. ”
『Story :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로버트 맥키 지음, 고영범.이승민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