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그렇군요!
가족이 함께 모임에 참석하는 모습, 저는 너무 좋은데요.
작년에 작은 동네서점에서 진행하는 독서모임에 참석했던 적이 있었는데요(지금은 그 서점 없어졌어요. 흑흑). 자매가 함께, 모녀가 함께 참석하신 분들이 계셨어요. 서로의 의견을 나란히 들으며 즐거웠던 기억이 납니다. 그리고 을지로에도 제가 애정하는 서점이 하나 있는데요. 사장님 부부가 운영하시는데, 독서모임을 열 때 두 분이 함께 오시는 날도 있거든요. 조심스럽지만 모임원 입장에서는 두 분의 의견을 직관(?)하는 게 꽤 즐거웠...(하핫)
그나저나 '한 집당 한 명만 가입한다'는 규칙이라니요. 이건 무슨 말인가, 방구인가. 언니분들의 결기에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전해드립니다.
남편분도 이 방에 계셨다면 더 재미있...(허허, 죄송합니다) 파티라는 표현도 너무 귀여우세요.
제가 다 설레네요(우리 파티하는 거예요? 꺅!).
저에게 그럴 자격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저는 두 분만 괜찮으시다면 열렬히 환영합니다.
이거야말로 제가 지향하는 아름다운 부부 동반모임이에요:)
Beyond Beer Bookclub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X다자이 오사무X청춘> 2편
D-29

연해

siouxsie
사실 혼자 갈 용기가 없어서 책 읽으라고 강요했어요. ㅎㅎ
파티 아니었나요? 드레스코드도 있었던 거 같은데요요요요요용요용

연해
하하, 이제 16일 남았는데 가슴 설레게 하는 말이네요. 책 파티다, 책 파티!
메리D
와..부부동반. 너무 멋있네요. 즈이집은 너무 취향이 달라서...일단, 남의편이 소설을 안읽습니다. ㅠ ㅠ

siouxsie
당신의 덕질을 응원한다는 비하인지 지원인지 모를 이상한 소리를 하는데 항상 함께? 합니다.

토끼풀b
남편이 가입하면 자기가 탈퇴하겠다고 들고 일어나는 언니들 왜케 웃기죠..(>ㅅ<)ㅎㅎ 그 모임에서만이라도 남편을 떼어놓고 싶은 마음인가요 ㅋㅋㅋ

siouxsie
맞아요 그때 완전 웃겼어요. 독립운동 하는 줄~술 마실 땐 잘만 데리고 나오거든요... 그 언니들과 벌써 8년째 모임중이네요 ㅎㅎㅎ

장맥주
부부 동반 환영입니다~~~. 저희도 부부가 함께 갈 거라서요.
(프랑스 혁명 구호가 아니라 저희 동네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공지사항 문구처럼 들리네요. 한 가구당 한 표! ^^)

siouxsie
그래서 드레스코드는 뭔가요? ㅎㅎ

장맥주
음... 일본 문학을 상징하는 일장기......? (위험한 드립인가...)

siouxsie
유카타? 남성분들은 진베이? ㅎㅎㅎ 진베이는 겨드랑이 뚫려 있는 것도 있어서 시원해요!!
일장기 모양은 안 그래도 광복절 담날이라 혼날 거 같으니 카무플라주로 연지곤지? 죄송합니다!!!!

김새섬
드레스코드는 그믐의 시그니처 컬러인 노랑과 검정에 가까운 진한 차콜어떨까요? (저희랑 비슷하게 꿀벌 컬러 쓰는 곳으로는 카카오톡, KB 국민은행 앱이 있습니다. ㅋㅋ) 청춘이니까 여기에 플러스 레드!

siouxsie
헉....제 옷 중에 딱 없는 색이 차콜과 노랑인데....시뻘건 옷이 있긴 한데 가을 옷이고 ㅎㅎ
(제가 잘못했습니다 엉엉)
남편옷 중에 딱 노랑+검정티가 있는데
No Kangaroo in Austria 라는 이상한 로고가 박혀 있는 옷 뺏어 입고 가야겠네요

연해
아이고, 맙소사ㅋㅋㅋ
No Kangaroo in Austria 로고에서 저항없이 터졌습니다.
이 로고 자체가 웃기다는 건 절대! 아니고요. 이 상황이...허허허
@김새섬 님의 드레스 코드 제안 아이디어에 미소가 절로 납니다(역시!). 이제 대표님까지 등장하셨으니 더더 설레고, 실감 나고 있어요(꺄아). 다만 저도 갖고 있는 옷이 별로 없어서(엉엉) 검정으로 차분히 입고 가겠습니다. 노랑으로 어떤 포인트를 하나 주고 싶어 고민 중이에요(팔찌나 펜 같은 거?). 레드는 갖고 있는 아이템이 없지만, 제가 들고 다니는 가방이 벽돌색이라 언뜻 보면 빨강 같기도 해서 살짝 묻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니면 카카오톡 인증! (주거래은행이 신한이라 파랑...)

siouxsie
전 첨에 잘못 읽고 꿀벌처럼 입고 가야 하나 했어요 ㅎㅎ
저 티는 근데 오스트리아 갔다 오시는 분들이 기념품으로 많이들 사오시는 아이템이래요^^ 검색하면 나와요 ㅎㅎ


연해
앗, 이미지까지!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네요. 꼭 꿀벌 같아요(귀엽다).

도리
노란 옷이 있는데 입을 일이 없고, 상태는 썩 나쁘지 않아서 버리지도 못하고 옷장 에 박혀있었는데요! 이때다 싶습니다!! 그믐을 위해 옷장에서 기다리고 있었나봅니다! 와하하! 인간 그믐으로 입고 갈게요!!!

토끼풀b
헉! 드레스코드 저는 다들 재미로 말씀하신거라 생각했어요!! 어떡해요 저는 여름옷은 노란색도 차콜도 심지어 빨간색도 없어요(+_+) ㅋㅋ 비상이다아~~

장맥주
https://www.youtube.com/watch?v=33Raqx9sFbo
《마이너리티 리포트》에 나오는 UI 입니다. 2002년에는 굉장히 혁신적으로 보였는데, 이후에 《아이언맨》 같은 영화들에서 봐서 이제는 그렇게까지 대단해 보이지는 않네요.
저는 연해님과는 반대예요. 머릿속에서는 정리되지 않은 문장들이 펜을 쥐고 글자를 적거나 자판을 두드릴 때 비로소 풀릴 때가 있거든요. 어느 정도는 글을 ‘손으로 쓴다’고 말해도 될 듯해요. 그래서 그 ‘손의 감각’이 중요해요. 그걸 타자감이라고 부르든 뭐라 부르든. 지금 판매되는 레이저 키보드는 그런 걸 구현한 물건은 아닌 거 같죠.
휴대폰 회사들은 고화질의 디스플레이와 3D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빠르게 구현할 수 있는 칩을 만드는데 몰두해 있는 것 같아요. 모바일 게임 플레이어들이 자기 소비자임을 잘 알고 있어서 그렇겠죠. ^^

연해
오, 영상 굉장히 흥미롭습니다!! 2002년도에 만들어진 영화인데도 혁신적... 이라고 쓰고 싶은데, <아이언맨> 같은 영화들 덕분에 대단해 보이지 않으셨군요(하핫). 저는 <아이언맨>을 보지 않아서 이 영화도 충분히 혁신적...! (이라고 말했다)
글을 '손으로 쓴다'라는 말씀도 인상 깊습니다. 사실 저는 그냥 끄적이는 정도이니 감히 작가님과 쓰는 감각을 나눌 수 있나 조심스럽긴 한데요. 그럼에도 '손의 감각'에 대한 의견을 마음껏 나눌 수 있는 사람(?)이 있다는 게 즐거워요(이 대화를 이어가주셔서 감사합니다). 펜을 쥐고 글자를 적거나 자판을 두드릴 때 비로소 풀릴 때가 있다는 말씀, ㅁㅓ...멋있... (메모메모) 저는 잡생각이 많아서 길을 걷거나 씻거나 멍 때릴 때 이런저런 생각이 많아지는데, 오히려 그때 막 놓치는 것 같아요. 다시 쓰려고 하면 아까 생각했던 단어와 문장들이 이미 훨훨 날아가 버리곤 하지요(돌아와, 총명함).
그리고 말씀하신 것처럼 타깃층이 누구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 같아요. 휴대폰은 확실히 쓰는 사람을 위한 도구(?)는 아닌 것 같고 말이죠. 어제 오프라인 독서모임에서 '인공지능과 로봇기술이 인간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라는 질문을 던졌던 기억도 나는데요. 참석하신 모임분들 중에 개발자로 일하고 계신 분의 말씀을 듣고 낙담했지요. 뭐 이런 답은 이제 다들 익숙해지셨겠지만 지금의 기술은 잘 사는 사람이 더 잘 살 수 있게, 소외되는 사람은 더 소외되게 개발되는 것 같다고 하시더라고요(윤리적인 관점에서도 할 말이 많다고). 말 그대로 생산자 입장에서도 '돈이 되는 기술'을 개발시켜야 하니까요. 읽고 쓰는 사람들이 주소비자가 된다면 조금 달라지려나 싶고,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