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학생>
이 작품은 읽는 내내 불편했어요. 다자이 오사무는 여학생이라는 존재 자체를 싫어하는 것일까요? 아니면 학창 시절에 어떤 여학생에게 호되게 당한 경험이 있었나? 싶을 정도로, 여학생이라는 주인공을 앞세워 여학생들을 통틀어 멸시(?)하고 있다는 느낌마저 들었습니다. 불결하다, 더럽다, 교활하다, 진중하지 않다, 여자는 제 운명을 결정짓는 데 미소 한 번으로 충분하다, 여자가 싫다, 내가 여자라서 그런가라는 표현들. '젊은 여성의 결점'이라는 잡지에 대한 글을 언급할 때도, 부정적인 단어를 나열하고 그 끝에 "정말 읽다가 정신이 번쩍 드는 순간이 많았다. 결코 부정할 수 없다."라는 문장. 여성들이 별로라는 문장을 여학생 스스로가 부정하지 않게 함으로써 다시 한번 여학생 스스로를 깎아내리는 느낌이랄까요.
보통 개그라는 걸 할 때요. 남을 깎아내리지(비하하지) 않고, 자기 자신을 깎아내리는 개그를 위트 있게 잘 하시는 분들을 보면 센스 있다고 느낄 때가 많은데요. 이 소설은 반대 같았습니다. 여학생 스스로가 자신을 하대하듯 묘사하는데, 그 여학생이 실은 다자이 오사무가 상상하는 여학생의 모습일 뿐이고, 막상 여학생 시절을 겪어온 제 입장에서는 하나도 공감되지가 않았어요. '참나, 잘 알지도 못하면서? 흥'이라는 비뚤어진 생각만 가득했죠 뭐.
이 소설과는 무관하지만, 제가 읽었던 소설 중에 '와 이건 마치 내 이야기 같은데'싶었던 소설이 하나 있는데요. 여학생들의 미묘한 심리전(?)을 소름 끼치도록 잘 묘사한 작가님의 필력에 스산한 기분마저 들었습니다. 학창 시절을 다시 겪는 줄 알았어요. 그 책도 살포시 놓아두고 갑니다. 안담 작가님의 『소녀는 따로 자란다』라는 책이에요. 책 소개 독자 평 중에 “섬뜩할 정도의 묘사에 교실 마룻바닥 위에 터진 우유 냄새가 떠올랐다”라는 평도 있는데, 저도 읽으면서 정말 그런 느낌이 들었어요.

소녀는 따로 자란다위즈덤하우스 단편소설 시리즈 위픽 역대 조회 수 1위, 공개와 동시에 화제에 올라 “섬뜩할 정도의 묘사에 교실 마룻바닥 위에 터진 우유 냄새가 떠올랐다” “마치 초등학생으로 돌아간 듯한 느낌을 받았다” “모든 대사가 내 마음 같았다”는 독자 평을 받은 안담의 첫 소설 《소녀는 따로 자란다》가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책장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