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왜 갑자기 이 노래를 흥얼거리죠.
별 보러 가세~ 별 보러 가세~ 우리도 한 번 별 보러 가세~
... ... 응? 원곡이 이게 아닌데?
[책증정] 츠지무라 미즈키의 <이 여름에 별을 보다>와 함께 진짜 별을 만나 보아요.
D-29

조영주

버터씨
부작용: 원곡이 기억 안 남 😇😇😇

김시작
1장 읽었는데 코로나 때 줌 수업이 생각나네요. 우리나라 교육 최초 온라인수업, 마스크 등교, 거리두기, 발열체크, 실내체육금지 등 평범한 일상의 소중함을 느꼈던 시간이었는데 그게 벌써 4년전이라니... 다시 일상을 당연하게 여기고 있던 마음을 되돌아보게 되네요.

조영주
와 벌써 1장까지 읽으셨군요! 그렇다면 눈치채셨죠?! 1장 속지의 그림은 1장의 내용이다, 두둥!

버터씨
그림 넘 예쁩니다

김시작
오, 그렇군요. 스치듯 지나쳤는데... 이젠 더 꼼꼼히 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

버터씨
답답하면서도 모든 게 ‘임시로’ 였던 시절…!

나몽
신기술로 책 잘 받았습니다!!!! 어제 택배를 못뜯어 오늘 저녁에 사진 찍고 1장 읽어볼게요!!

버터씨
목차 페이지부터 구석구석 숨어 있는 즐거움이 있습니다. 꼭 찾아봐주세요!

조영주
인증샷 기대합니다! ㅎㅎ

나르시스
1장을 읽으니 코로나 시국이 늦은 학기의 시작 등. 여러 가지 어수선했고, 안전한가 안전하지 않은가? 수업을 이대로 해도 되는지 등. 학교에 한명의 코로나 확진자가 생기면 온 학교가 마비되었던 그 시절이 기억이 나네요. 그래서인지 1장을 읽을 때 너무 쉽게 공감하면서 술술 읽었습니다.

버터씨
저는 어른인데도 늘 불안하고 어수선했는데 청소년들에게는 더욱 그 불안이 크게 다가왔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그 시간도 그냥 지나가는 시간은 아닌 거죠! 왜냐면… (스포방지)

조영주
코로나 때 학교를 다닌 친구들은 정말 힘들었을 것 같습니다. 혼돈의 카오스...
화제로 지정된 대화

조영주
@모임
8월 9일~ 8월 11일까지는 프롤로그와 1장을 함께 읽습니다. 아직 책이 도착하지 않은 분들도 계실 것 같은데요, 2장을 읽는 시간을 길게 잡았으니 조금 느긋하게 보셔도 될 듯합니다.
프롤로그에 이은 1장에서는 주요 등장인물을 소개합니다. 등장인물들은 각기 다른 환경에서 코로나를 맞는데요, 여러분 역시 그러하셨을 듯합니다.
질문 1) 여러분께서는 코로나가 시작되었을 때엔 어떤 상황이었을까요? 서로의 이야기를 공유해보아요.
질문 2) 등장인물들 중 가장 공감한 인물은 누구일까요? 공감하지 않았다면, 가상의 인물을 만든다면 어떤 인물이 좋을까요?

버터씨
처음엔 마도카! 나중엔… 비밀입니다

버터씨
저는 코로나가 시작되었을 때 매일 가던 요가원을 가지 못하게 되어서 힘들었어요. (저희 원장님은 고민 끝에 요가원을 닫으셨지만 엔데믹과 함께 옆동네에 다시 여셨습니다!)
그리고 전 원래 입버릇처럼 “여행 싫어”라고 말하는 사람이었는데, 코로나가 시작되고야 알게되었어요. 안 가는 것과 못 가는 것은 다르다는 사실을!!! 🫠🫠🫠 나중과 다음이라는 게 없을 수도 있다는 걸 갑자기 깨닫는 시간이었습니다.
흰돌현서
맞아요 안가는 것과 못가는 것은 천지 차이죠.^^
흰돌현서
알차게 모임을 이끌어주시는 천재조영주작가님.

김무맹
저는 코로나 시기에 타지에서 기숙사를 다니고 있었습니다. 코로나가 터진 초기에 한창 몇번째 감염된 사람이니 뭐니 이동경로가 다 떴던 게 기억나시나요? 그런 경로가 뜰 때면 나도 무증상이라서 막 돌아다니다 사람들한테 욕먹는거 아닐까, 하고 종종 들리는 편의점마저 신경쓰여서 참았다가 나가곤 했어요. 평소에도 건강염려증이 심한 터라 걱정스러워서 밖을 나가질 않으니 무척 우울했던 기억이 납니다..

김무맹
타지에서 기숙생활을 한 건 '무토'랑 비슷하지만 공감가는 건 '아사'에요. 사실 저도 꽤나 혼자 노는 걸 좋아하고 자발적으로도 방콕하는 편이거든요. 그런데도 코시국이 꽤나 고달팠는데, 그런 심리가 휴교한다고 했을 때 조금 신났다가도 학교가고 싶어서 우울해 한 아사랑 비슷하다고 느꼈습니다!
역시 방콕은 자발적으로 해야 즐거운 거지, 남이 시켜서 하는 건 감금이니까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