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 사계를 (거의) 모두 담은 책이기도 하죠. 문학의 탈을 쓴 과학책..!
[책증정] 츠지무라 미즈키의 <이 여름에 별을 보다>와 함께 진짜 별을 만나 보아요.
D-29

버터씨

김영민
다른 곳에서 나고 자란 고시가 고토에 '돌아가고 싶다'고 말한 것도 왜인지 엄청 기뻤다.
『이 여름에 별을 보다』 p 145, 츠지무라 미즈키 지음, 강영혜 옮김
문장모음 보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조영주
@모임 오늘부터 20일까지는 3장을 읽습니다.
2장을 아직 못 읽으신 분들이 hoxy 많으실까요...?
이번 주말에 많이 따라잡는 시간 되시길 빕니다.
:)

버터씨
우선 제 초능력은 29일에 비를 오지 않게 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초능력이라고 썼지만 그냥 기도하는 정도로다가 ㅋㅋㅋ)

장맥주
제 초능력도 빌려드리겠습니다! ㅠ.ㅠ
화제로 지정된 대화

조영주
@모임 중간에 쉬는 날이 있으면 주말이 참 빨리 다가오지 않습니까...? 오늘내일, 스퍼트를 내셔서 3장을 독파해 boa요!

김시작
벌써 3장 읽을 때군요. 왜 이렇게 시간이 빨리 가는지... 속도 내야겠어요.

조영주
ㅎㅎ 주말에 달립시다 화이팅입니다!

김영민
오늘 코로나 걸려서 하루종일 골골거렸네요

김새섬
저도 어제 그제 컨디션이 너무 안 좋았는데 아마도 온열질환이었던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이유가 그것밖에 없네요. 에어컨을 안 키고 일했더니 나중엔 어지럼증이...

버터씨
제 주변에도 요즘 코로나 걸린 친구들이 많습니다. 이번엔 유독 더 많이 아프다고 하는데 ㅠㅠ 무탈하게 지나가길 기원합니다!

조영주
코로나에 관한 소설을 읽는데 코로나에 걸리시다니... 무섭네요 ㄷㄷ

새벽서가
요즘 버전(?) 코로나가 또 엄청 힘들다고 하던데, 지금쯤 컨디션 회복하셨기를 바래요.

김새섬
“ 별
정진규
별들의 바탕은 어둠이 마땅하다
대낮에는 보이지 않는다
지금 대낮인 사람들은
별들이 보이지 않는다
지금이 어둠인 사람들에게만
별들이 보인다
지금 어둠인 사람들만
별들을 낳을 수 있다
지금 대낮인 사람들은 어둡다 ”
『별들의 바탕은 어둠이 마땅하다』 정진규 지음

별들의 바탕은 어둠이 마땅하다
책장 바로가기
문장모음 보기

김새섬
별을 생각하니 떠오르는 좋은 시가 있어 가져와 봤습니다. 어두움 속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별과 달이 보인답니다. ^^

버터씨
그러고 보니
책이란, 세상의 어둠 속에서 태어나는 별들 같습니다.
(감동하는 중... ㅠㅠ)

새벽서가
저도 함께 감동하는 중입니다. ㅠㅠ

새벽서가
시를 그리 즐겨읽는 편인 아닌데, 이 시는 너무 마음에 듭니다. 올려주신 책도 관심책에 곱게 담아두었어요.

버터씨
“
“그렇지. 이대로라면 여름을 맞받아칠 수 없어.”
하루나 선배가 늠름하게 말했다. “앗.” 리쿠와 아사가 거의 동시에 외쳤다. 여름을 맞받아친다! 우리 부장은 여름 활동을 포기하지 않았다. 그 사실이 그 말을 통해 고스란히 전해졌다.
“상황이 어찌될지 모르니 어른들은 올해를 ‘관망’해야 하는 해라고 정한 것 같은데, 나는 그것도 화가 나. 우리는 올해도 ‘이것을 했다’고 만족할 만한 뭔가를 반드시 만들어낼 거야. 어른들에게 여봐란듯이 보여주자.”
“네.”
“좋아요.” ”
『이 여름에 별을 보다』 179, 츠지무라 미즈키 지음, 강영혜 옮김
문장모음 보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버터씨
@모임
4장에 등장할 우주비행사 '하나이 우미카'의 모델이기도 한
일본의 첫 '엄마 우주비행사'로 알려진 야마자키 나오코 선생님 이야기를
잠시 하고 싶습니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00406029039
(일본 항공우주국에서 10년 넘게 경력을 쌓은 우주비행사를
'엄마 우주비행사'로 퉁치는(?) 것에는 불만이 있지만...)
꾸준히 커리어를 쌓은 끝에 2010년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 호에 탑승했고,
지금까지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는 모습은 큰 영감을 주었습니다.
지금 우주에는 모두 75명의 여성 우주비행사가 활동하고 있다고 합니다.
2년 전 통계이니 지금은 조금 바뀌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앞으로 더 늘어나겠지요?
야마자키 나오코는 <은하철도 999>를 읽고 우주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합니다.
또, <이 여름에 별을 보다>를 적극적으로 추천해주셨고요!
과학은 정말 재밌는데, 이야기로 접하면 완전 사랑스러운데...
이 '과학의 재미'를 많은 독자들과 함께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고 싶어지는 책입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