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7편의 작품 어떻게 읽으셨나요? 가장 인상적이었던 작품을 골라주셔도 좋고 전반적인 느낌을 자유롭게 들려 주셔도 좋습니다.
[책 증정] <오르톨랑의 유령>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9기
D-29
화제로 지정된 대화

비욘드

라아비현
제가 인상 깊게 본 작품은 TV 앞 입니다 저도 보는 TV프로그램이 몇개 있습니다 그 프로그램이 끝나면 허무함이 느껴질 것 같습니다
밥심
<천국>과 <TV 앞>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천국>에는 작가님의 온갖 상념들이 모두 쏟아져 나와 섞여 있는 배출구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TV 앞>은 혼자 집에서 늘 비슷하거나 똑 같은 트로트 쇼 프로그램이나 스포츠 중계를 보고 계시는 늙은 아버지의 모습이 연상되어 슬펐습니다. 오늘 날 TV는 혼자 남은 사람의 유일한 낙이 맞는 것 같습니다. <꿈 속>에서 돼지와 늑대의 관계는 <독방>에서 사형수와 처형인의 관계와 같은 걸까 하고 머리를 굴려봤습니다. 그리고 수많은 채널 중에 왜 하필 29번 채널인지는 작가님께 한 번 묻고 싶네요. ㅎㅎ
사람의 고통이 비극을 통해 정화된다는 이론은 너무 많은 비극을 한꺼번에 접하면 적용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도 해봅니다. 고통스러운 주제의 글을 여러 편 계속 읽다보니 피로도가 상승합니다. 가끔씩 읽는 독자도 이럴 지경인데 발간한 글보다 훨씬 많은 글을 썼을 것이고 또 그보다 훨씬 더 많은 이미지를 떠올리고 구상을 했을 작가님은 얼마나 정신적으로 힘들었을지 상상이 안 됩니다. 역할에 몰입하는 배우는 영화에서 우울한 역을 맡으면 촬영 기간 동안, 그리고 촬영이 끝나고 나서도 상당 기간 실제로 우울증을 앓기도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거든요. 작가님의 건필을 기원합니다.
밍묭
저는 <교실>이라는 작품이 인상 깊었어요. 본인과 비슷한 처지에 있는 아이에게 측은지심 내지는 호감을 느끼는 대신에 질투라는 감정을 내비친 앨리스가 신기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사람의 심리는 어디로 튈지 알 수 없는 것이기에 현실에서 벌어지기 아주 불가능한 상황은 아닌 것 같기도 했어요.

물고기먹이
하 읽을수록 작가의 의도를 모르겠네요
애정결핍이 있으신건지 외모지상주의이신건지 아리쏭한 느낌으로다가 계속 읽고있는데
작가님 정보가 없어서요~ 작가님은 어떤 분이세요? 미학과 심리학과가 대체 작가님한테 어떤 영향을 준거여 ㅋㅋㅋㅋㅋㅋ 미학과 나오신분의 소설을 읽어본적이 있긴하지만 이정도까지는 아니였어요ㅎㅎ
하느리
저도 물고기먹이님과 비슷한 생각입니다. 읽으면 읽을수록 미궁에 빠집니다.
게다가 1부보다 2부가 훨씬 추상적이고 막연하네요. 작가남의 무슨 의도로 쓰신 건지 정말 궁금합니다.😭😭

바다연꽃3
<천국>입니다. 감정과 달리 희노애락으로 정의되기 이전의 감정상태가 느껴집니다. 정동 이론이 생각나는군요. 언표되기 이전의 감정상태를 말하고 있다고생각해 보았습니다.

강츄베베
어떤 작품은 이해가 쉬운데 반해 어느 작품은 이해하려고 해도 도통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저는 원래 이해가 안되면 진행이 되지 않아 이해가 될 때까지 되새김질 하듯 언어들을 소화시킵니다. 하지만 몇 번을 반복해도 머릿속에는 내가 뭘 읽고 있는건지 남지 않아요. 참 힘든 책입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비욘드
5-2. 기억에 남은 문장을 적어주세요. (입력창 하단의 문장수집 기능을 이용해 공유해주셔도 좋습니다.)

라아비현
프로그램이 종영되면 그녀는 이전에 방영되었던 것을 보고, 다시 볼 것이다.
『오르톨랑의 유령』 p181 , 이우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밍묭
그러나 세계는 그녀가 없이도 세계였다.
『오르톨랑의 유령』 164, 이우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물고기먹이
천국은 불행하다. 천국에는 행복한 불행이 있다. 행복한 불행은 극심하고 달콤한 슬픔이다.
『오르톨랑의 유령』 152, 이우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반디
원하고 포기하고 원하고 포기하고 원하고 포기하고 원하고 포기하고 죽을 때까지.
『오르톨랑의 유령』 <교실> p157, 이우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느리
너무나 흉측한 것은 너무나 아름다우니까
『오르톨랑의 유령』 p.156, 이우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바다연꽃3
기다리는 것이 없다면, 기다림 끝에 아무것도 없다면, 그래도 시간은 존재할까?
『오르톨랑의 유령』 Tv앞, 이우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강츄베베
천국은 불행하다. 천국에는 행복한 불행이 있다. 행복한 불행은 극심하고 달콤한 슬픔이다.
『오르톨랑의 유령』 p.152, 이우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비욘드
5-3. 이번에는 저 클럽지기가 책을 읽으며 궁금해져 여러분과 나누고 싶은 질문입니다.
책의 작품 제목 중에서 제일 많이 등장하는 것이 <교실>이에요. 이 단편집에서 총 7개의 <교실>이라는 작품이 실려 있습니다. <교무실>과 <교실 책상>은 제외하고도요. 작가는 왜 이렇게 <교실>을 많이 다뤘을까? <오르톨랑의 유령>이라는 책 제목과 더불어 생각해 보게 되네요.
<교실> 이라는 공간은 여러분에게 어떤 곳이었나요?

라아비현
저는 교실이 친구들을 사귀는 공간이라고 생각합니다 같은 반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함께 웃고 울었습니다
밥심
오래 전이라 가물가물하지만 정말 다양한 군상의 아이들이 모인 곳이 교실이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교실 이야기가 많은 것은 아무래도 작가님께서 학창 시절에 사춘기 특유의 감수성으로 교실 안에서의 권력 관계를 상당히 세심하게 관찰할 기회가 있지 않았을까 짐작해봅니다. 글쓰기의 괴로움이나 누구나 맞이하게 될 죽음은 어느 작가에게든 좋은 쓸거리이지만 교실에서의 소외나 학교 폭력은 단순히 신문 기사나 책, 드라마 등만 접하고서 이 정도로 공감하고 동화되어 쓰기는 어렵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미국에서는 또 학교에서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했네요. 학교란, 교실이란 참 여러 감정이 스며드는 곳인 것 같습니다.
밍묭
교실은 희비가 있는 곳이라고 생각해요. 새로운 친구들을 만나며 다양한 것을 경험하는 장소이긴 하지만, 특히나 오늘날에 많이 발생하는 학교 폭력도 있는 곳이죠. 작품에서 다루는 단편들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보았을 때, 교실은 다양한 이야기가 오갈 수 있는 최적의 주제가 아닐까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