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기부를 해지할 때도 비슷한 경험을 했던 기억이 떠올라요.
분명 선한 일이지만, 강요된 선함은 과연... 제가 속해있는 분야가 소셜섹터라 길거리 모금에 대해서도 할 말이 참 많은데, 다양한 이면이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좋은 일을 하는 사람들이라고 해서 꼭 좋은 사람들은 아니라는 나름의 가치관도 생긴 것 같고요.
[📕수북탐독] 4. 콜센터⭐수림문학상 수상작 함께 읽어요
D-29

연해

김의경
기부를 해지할 때도 쉽지 않군요. 기부는 자발성에 기반하고 있어야 의미가 있을 텐데요..

연해
오, 이 영화 올해 개봉한 영화네요! 전혀 몰랐던 영화라 호기심이 생기고 있습니다.
상류와 하류에 대한 비유가 너무나 적절하네요. 나몰라라 하는 태도는 하나의 상황에만 국한되는 게 아닌 것 같아 더 씁쓸하게 느껴집니다. 싸우는 사람은 계속 싸우고, 위에서는 관심도 없는 잔인한 생태계...

꽃의요정
이장님 말씀이 중심내용은 아니었지만, 지금 콜센터를 읽고 있어서인지 저 말씀에 뙇 꽂혔어요. '드라이브 마이 카' 보고도 영화 잘 만든다고 생각했는데, 이 영화 보고 신뢰가 생겨서 이 감독님 영화 다 보려고 해요.

연해
저 @siouxsie 님 말씀듣고《드라이브 마이 카》도 방금 찾아봤는데, 줄거리가 흥미롭네요. 이 감독님에 대해서도 전혀 몰랐는데, 유 명한 분이셨다는 것도 알았습니다. 덕분이에요:)
영화도 좋아하시는 것 같아서 tmi지만 저는 오늘 충무로에 있는 오!재미동에 갈 예정인데요. 지하철 역사 안에 있는 영화관이라 작긴 한데, 매월 다양한 단편영화와 독립영화를 무료로 상영하는 곳이랍니다.

드라이브 마이 카누가 봐도 아름다운 부부 가후쿠와 오토. 우연히 아내의 외도를 목격한 가후쿠는 이유를 묻지 못한 채 갑작스럽게 아내의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2년 후 히로시마의 연극제에 초청되어 작품의 연출을 하게 된 가후쿠. 그는 그곳에서 자신의 전속 드라이버 미사키를 만나게 된다. 말없이 묵묵히 가후쿠의 차를 운전하는 미사키와 오래된 습관인 아내가 녹음한 테이프를 들으며 대사를 연습하는 가후쿠. 조용한 차 안에서 두 사람은 점점 마음을 열게 되고, 서로가 과거의 아픔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을 알게 된다. 그리고 눈 덮인 홋카이도에서 내면에 깊숙이 자리 잡은 서로의 슬픔을 들여다보게 되는데….
책장 바로가기

꽃의요정
드라이브 마이카는 하루키의 '여자없는 남자들'이었나? 그 책을 모티브로 만들었다는 거 같은데 하루키 팬들에겐 죄송하지만 전 영화가 훨씬 좋았어요. 단편을 한 데 모아서 꽤 괜찮은 영화릉 만들었더라고요.
재미동이라고 하셔서 동네이름이 참 재미있네 했다가 아니란 걸 알고 혼자 피씩했어요. 좋은 공간이 있네요~ 앞으로ㅠ검색해 보고 하번씩 가 봐야겠어요.

연해
오,「여자 없는 남자들」은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제목이 흥미로웠던 기억이 납니다. 독서모임에서 다른 분이 소개하시는 걸 들었던 적도 있고요. 영화의 원작이 이 책이었군요. 근데 찾아보니 같은 제목의 저자로 하루키와 헤밍웨이가 있네요. 제가 알고 있는 책은 하루키의 책입니다.
네, 지인 덕분에 우연히 알게 된 곳인데 역사 안에 있다는 게 신기했어요. 저는 말씀드린 대로 '단편 영화 개봉 극장'을 지난 토요일에 다녀왔는데, 공간 정말 좋더라고요. 관객도 소수만 모집하고.
다만 영화를 보는 중간중간 지하철의 흔들림이 느껴집니다, 하하.
@siouxsie 님도 혹 가게 되신다면 좋은 경험이 되시길 바라요:)

그래서
오 얼마전에 '여자없는 남자들'을 읽었는데.... 왠지 맥이 빠지는 느낌이 있었어요... 영화가 더 좋았다니.. 꼭 찾아보고 싶어지네요

꽃의요정
하루키 팬분들이 많아서 조심스러운데요. (저도 재미없었어요. ^^;; 그래서 영화를 그렇게 만든 감독님이 더 대단하게 느껴졌습니다. 심지어 내용을 짬뽕해서....)

연해
@GoHo 님도 이 영화 보셨군요. 저도 작년에 이 영화보면서 화도 나고, 속상해서 많이 울었던 기억이 납니다.
콜센터 실습 중 자살한 특성화고 재학생의 실제 사건을 모티프 삼은 영화라는 점에서 더 슬펐어요.
하느리
실화 바탕이였군요! 보고 싶었는데 보는 내내 많이 울 것 같아 아직 못 봤거든요. ㅜㅜㅜ

김의경
이 영화는 진짜 눈물없인 못봐요.. 가슴이 아파서 두번보고 싶진 않네요ㅜ

여랑
앗 안녕하세요? 제가 중고책을 겨우 구하고 바로 해외로 출장을 나오는 시기가 북클럽 시작 기간에 겹쳐서 이제야 들어왔어요. 많이 늦었지만 이제라도 부지런히 들어오겠습니다.

김의경
여랑님 어서오세요, 책을 힘들게 구해서 참여해주셔서 감동입니다..^^

여랑
반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작가님~!
화제로 지정된 대화

김혜나
안녕하세요~ 오늘은 9월 5일 목요일, 111쪽 우용희 편을 읽어볼까 합니다.
그 전에 우선, 어제 드린 질문에서 정말 하룻밤 사이 많은 답변을 달아주셨네요! 가장 놀라운 점이 화덕이를 좋아하는 분들이 많으셨다는 거였어요! 저도 화덕이 별명도 외모도 다 정말 짠하면서도 사랑스러운 캐릭터라서 마음에 들었어요. 그래도 챕터 제목으로 등장하는 인물들 위주로 답변들 해주실 거라 예상했는데, 어쩌면 화덕이는 소설에서조차 주변인물로 존재하고 있어 더 마음이 쓰이기도 했던 게 아닐까 싶습니다.
더하여 제가 가장 좋았던 캐릭터는 하동민이었답니다. 앞이 보이지 않는 캄캄한 터널 같은 청춘의 시기에 동민은 좌고우면하지 않고 자기가 원하는 길을 가기 위해 묵묵히 준비하고 노력하는 모습이 마음에 들었어요.
그럼 어제의 '강주리' 편 그리고 오늘의 '우용희' 편에 대해서도 이야기 나눠볼까요? 이 부분에서 소설 <콜센터>의 배경이 변화하죠. 진상고객들에게 지치고 상처입은 중심인물들이 드디어 부산 해운대를 향해 떠나기로 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 최영 소설가께서 던져주신 질문 올려봅니다. 자유롭게 댓글 남겨주시고, 인상 깊은 구절이나 질문이 있다면 또 올려주세요~!
Q. 104페이지를 보면, 콜센터 청춘들이 해운대로 가게 된 이유가 나오는데요. 대기업 부장이라고 뻥치던 진상 손님이 부산 해운대에서 핸드폰 대리점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기에 그리로 가서 복수를 하려 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소설가라서, 이들이 진상 손님에게 복수하려는 계기 없이, 순전히 콜센터 청춘들을 바닷가로 한번 데려가 주고 싶다면 어느 바다로 데려가 주고 싶으신가요?
GoHo
일정대로 하루에 한 명씩 만나고 있는데..
저는 오늘 73쪽의 우용희..를 만나는 날입니다.. ^^??
하느리
저도 이렇게 알고 있었는데😅
GoHo
그쵸.. 모임지기님 5일치 일정 차질 생기실 듯..^^;
바닐라
콜센터 청춘들이 파티션을 벗어나 해운대로 떠날 때 저도 속이 참 시원했습니다!!
분명 배경이 겨울인데, 왜 8월의 크리스마스처럼 느껴지는지... 이게 청춘의 힘인가? 어린 학생들 주위에만 있어도 나도 밝아지는 그런 활기찬 기운이 전해졌어요. ^^
얼마전에 저도 8월의 마지막 해를 보러 바다를 보고 왔는데요. 끝없는 수평선에 펼쳐진 반짝이는 윤슬을 보고 있으니 잡생각도 사라지고 마음이 평온해지더라고요. 갈매기보다 더 시끄럽게 노는 청춘들도 구경했어요 ㅋㅋ 따뜻한 바닷물이 시원하지도 않은데 너무 재밌게 노는 걸 보면서 콜센터 청춘들이 생각났어요 ^^
참! 질문의 답은.. 저는 강원도 고성의 바닷가를 추천하고 싶어요. 그 중에 북 쪽에 가장 가까운 바다들이 예쁜데요. 거진 해변 추천합니다. ^^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