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먹이 님도 그렇고, @하느리 님까지!
이 책을 읽고 계신 분들이 이 공간에도 있다니 반가워요:)
저는 어제 남은 부분을 마저 다 읽었는데, 오래 기다려왔던 만큼 정말 좋았습니다.
[📕수북탐독] 4. 콜센터⭐수림문학상 수상작 함께 읽어요
D-29

연해

연해
지금의 저는 하나의 명사로 꿈을 정의하기보다는 원하는 삶의 형태만 잔잔히 그려가는 것 같아요. 조건적인 것보다는 삶을 바라보는 자세에 더 가까울 것 같고, 이왕이면 그 자세 안에서 제가 하고 싶은 것들을 경제적인 것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풀어나갔으면 좋겠어요.
저는 읽고, 걷고, 쓰는 이 세 가지를 가장 좋아하는데, 나이가 들어도 이 세 가지 동사만큼은 꾸준히 할 수 있는 건강과 환경이 주어진다면 충분히 행복할 것 같아요(이 세 가지를 묶어 창작물로 풀어낼 수 있다면 그 또한 기쁠 것 같고요). 불안정한 현재는, 지금 저에게 주어진 환경이라기보다는 그냥 세상이 전반적으로 (어지럽고) 그래 보이는데, 그 안에서 제가 어떻게 제정신으로(ㅋ) 잘 살아갈 수 있을까를 자주 생각하며 그려보고 있습니다.

선경서재
엉뚱한데... 저는 건강한 삶을 꿈꾸고 노력하고 있는 요즘입니다. 얼마 전 남편이 꿈을 꾸었는데, 자기 마지막 모습이었데요. 저는 보이지 않고 가족들 사이에 아들이 교복을 입고 있더래요. 그 모습이 잊혀지지가 않아서 아침에 일어나면서 다짐했다고 하네요. 건강하게 더 오래 옆에 있어줘야겠다. 부모의 역할이 '존재'일 수 있다는 생각을 들었어요. 저도 더불어 몸도 마음도 건강해지려고 노력하는 중입니다. 물리적 상황은 힘들고 불안정한 현재이지만, 오늘은 행복한 기억으로 만들 수 있는 건 할 수 있을 테니까요.

강츄베베
꿈이 있다는 것은 불완전한 현실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게 해 주는 아드레날린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허황된 꿈 같은 거 말고요😁 돈을 열심히 벌어서 30평대 아파트 장만을 하겠다. 혹은 평소에 글을 조금씩 써서 책을 출간하겠다라는 정도의 꿈은 괜찮은 것 같습니다.
저에게 있어서 사실 현재 모습에 만족하고 있고 아직 아이는 없지만 부부가 서로 긍정적으로 바라보려고 하고 이해하는 마음 이 점차 생기는 것들이 감사합니다.
내가 가질 수 없거나 이루어지기 어려운 현실에 점차 간극이 벌어질 때 마다 그 꿈을 갈망하는 마음에서 우리가 점차 가난해짐을 느낍니다.
GoHo
나라는 존재가 깎여 나가는 것 같아. 그리고 다시는 깎여 나간 것들을 보충할 수 없을 것 같아. 180
『콜센터 - 2018 제6회 수림문학상 수상작』 김의경 지음
문장모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