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외부 교정자의 힘을 좀 빌렸습니다..! 정리된 원고 보시면 아마 너무 잘 읽혀서 깜짝 놀라실 거예요. ㅎㅎ 요새는 교정을 외부로 많이 빼는 추세이긴 해요. 내부 편집자는 그 시간에 기획과 책 포장에 힘쓰라는 경향이 점차 커지는 것 같아요. 근데 또 외부로 뺀다 해도 원고 파악하려면 열심히 들여다봐야 하니까 시간이 엄청 줄어드냐 하면 그것도 아니라서 ㅠㅠ 저는 웬만하면 제가 보려고 합니다 ㅎㅎ
[자기계발의 10가지 진실] 미리 읽기 모임
D-29

이지은

장맥주
『편집자의 마음』을 읽으며 궁금한 것들이 여럿 있었지만 사석에서 기회 되면 여쭤보기로... 그 런데 『내 인생도 편집이 되나요?』와 같은 저자가 쓴 책으로 생각하는 독자들이 있지는 않나요? 왜 이 저자는 같은 소재로 책을 두 권이나 쓰는 거야 하면서...? 두 저자 분들은 은근히 서로 판매지수나 댓글 수 같은 거 의식하진 않으세요? ㅋㅋㅋㅋ

이지은
제가 책을 1년 먼저 출간해서 그런 말 들은 적은 없는데 창비 은씨는 어디 강연 가면 <편집자의 마음> 이지은 편집자 아니냐는 말 종종 듣는다고 하더라고요 ㅋㅋ <내 인생도 편집이 되나요> 나왔을 때 저는 <들어봐 우릴 위해 만든 노래야> 막 출간했던 때라 분야가 달라서 서로의 책에 경쟁을 느끼진 않았어요. 요새는 제가 축구에 미쳤는데, 은씨에게 같이 축구하자고 꼬드겨서 요즘 같이 놀거든요. 그러다 보니 캐릭터 좀 겹쳐서 남들이 헷살려하는 것 같긴 합니다..ㅋㅋ

김새섬
219쪽, [만일 우리가 인정에의 욕구에 사로잡혀 있다면, 우리가 다른 사람들에게 관심을 갖는다 해도 그 관심은 다분히 피상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실제로는 전혀 다른 사람들에게 관심을 두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들은 우리의 자기중심의 게임에서 그저 인질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인질이라는 워딩이 참 강력하네요. 다른 사람들을 위하는 척하면서 나를 돋보이려는 수많은 게임들...물론 저 역시 그 중에 한 명입니다. 가끔 소름 돋아요. 왜 이렇게 나는 '나'밖에 모를까요?

김새섬
223쪽, [셀리그먼은 자기보다 앞서 아들러와 프랑클이 그랬던 것처럼, 우리가 소중히 여기는 자기 자신은 “의미가 깃들기엔 너무나 가난한 장소”라고 결론을 내린다.] 아직 책을 끝까지 읽어봐야 겠지만 여태까지 저에겐 제일 와 닿는 문장이네요. 요즘 세상은 내가 나를 사랑해야 한다고 그렇게 외쳐 대는데, 인생의 의미를 나에게만 두면 정말 가난하고 얄팍한 삶이 될 거 같아요.

김새섬
물론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기 위해 노력은 해야겠지만 나를 싫어하는 사람들 마음 그거 하나하나에 멘탈 부서지지 말고 계속 앞으로 나가자. 이렇게 받아들였어요. 그런데 지은님 얘기 읽고 생각해 보니깐, 그 전까지는 음지에서 이기적인 주장들을 다소 부끄러워하면서 꺼내 놓았다면 이제는 대놓고 '난 이기적이야, 니가 날 어떻게 생각하건 말건' 이런 식으로 각자의 이기주의에 대해 당당한 마음과 분위기를 다소 조성하게 된 점이 있었구나 싶은 생각도 드네요.

김새섬
이거 직접 읽으니까 너무 웃기네요. ㅋㅋ

김새섬
이 글에 대한 대답이었는데 제대로 반영이 안되었어요.

김새섬
늑대가 엄청 멋있는 동물로 나오네요. 대체 늑대에게 부족한 품성이 뭔지... 좀 너무 과찬만 나온 거 아닌가 싶기도 하고

김새섬
전 지금 270쪽 읽고 있습니다. 전체 분량이 500쪽 약간 넘어가니까 지금 저는 중간 정도 왔네요. 장맥주님이 워낙 빨리 읽으셔서 그렇지 저도 모임 끝날 때까지 완독은 충분히 할 수 있을 거 같애요.

장맥주
화이팅~~~

김새섬
278쪽, [옛날에는 의사소통과 운송의 과정이 시간을 절약하기 위한 의도로 이루어졌다. 시간을 아껴 남는 시간을 더 중요한 것을 위해 써야 하는 낙관주의적 전제가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새롭게 해방된 시간의 대부분을 아무 의미 없이 온라인에서 죽이고 있다] 기껏 시간 아껴서 그 시간으로 유튜브 보고 쓸데없는 인터넷 사이트 링크 타고 또 타고...흠, 남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장맥주
어린왕자의 한 장면이 생각나네요.

연남도령
지난 주 연차 하나 쓰고 꽤 긴 연휴를 보내고 왔더니 어마어마하게 대화가 쌓여 있군요 +_+

김새섬
여기 철저하게 비즈니스 관계인가요? ㅋㅋ 연남도령님의 이야기를 기다렸다구요. 툴툴툴. 이제 혼자 읽고 있는데 외롭..

연남도령
@고쿠라29 지난 주에 신간 때문에 조금 바빴는데 아주 조금 숨 돌렸으니 다시 원고 읽으면서 대표님 외롭지 않게 하겠습니다 헤헤

연남도령
@장맥주 팬으로서 작가님 추천사를 학수고대하고 있습니다 ㅎㅎ (부담드리는 건 절대 아닙니다. 절대 네버)

연남도령
라고 썼는데 보내주셨네요 ㅋㅋㅋ 설레발 죄송합니다...

김새섬
그런데 여기 명색이 자기계발 모임(?) 인데 서로의 자기계발 이야기를 안 했네요. 저부터 말씀드리자면 그래도 제법 오랫동안 해온 거 하나는 영어입니다. 따로 공부를 하지는 않았고 미드를 열심히 봤습니다. ㅎㅎㅎ HBO 더 와이어 이런 거 볼 때는 과연, 영어공부를 한다고 하고 이래도 되는 걸까? 싶은 의구심이 들기도 했는데 아무튼 스스로에게 이건 다 영어공부를 위한거다 라고 하며 많은 미드를 봤네요. 미드만 본 건 아니고 영어책도 꽤 읽었습니다. 특히 영미권 소설을 좀 읽었는데 로렌스 블록, 리 차일드, 할런 코벤 등 좋아해서 많이 읽었어요. 그런데 확실히 드라마보다는 책이 언어에 도움이 많이 되더라구요. 이렇게 다시 또 깔때기처럼 돌아오는 책사랑 ㅋㅋㅋ @연남도령 @이지은 @장맥주 자기계발 하시는 거 있으시면 알려주세용. 궁금해요.

장맥주
조금 부끄럽지만 제 자기계발은 독서인 거 같아요. 취미도 독서, 자기계발도 독서인 참으로 따분한 인간입니다. 그런데 진지하게, 독서만 한 자기계발도 없다고 봅니다. 제가 언론인 출신이고 칼럼을 쓰다 보니 더 그렇게 느껴요. 책 많이 읽는 기자랑 책 안 읽는 기자랑 젊을 때에는 사실 큰 차이 없거든요. 그런데 점점 연륜이 쌓일수록, 특히 칼럼에서 그 내공 차이가 벌어지더라고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