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믐밤] 26. 9월1일은 통계의 날, 통계에 관한 책과 재미있는 통계 이야기해요.

D-29
오, @도리 님. 환영합니다. 한국인의 생일과 관련해서 이런 흥미로운 통계가 있네요.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Id=N1004406332
ㅋㅋㅋㅋ 재밌어요!!! 저 9월생... 영미권인가... 웅? ㅋㅋㅋ
9월에 태어나셨다니 미국인이 분명합니다. 통계는 과학!! (음?)
다들 크리스마스에 뭘 하셨길래....쩝...할렐루야~! @도리 님!! 제 생일이12월인데, 우리 같이 또 파티하나요? ㅎㅎㅎ 근데 전 어렸을 때부터 다른 친구들 보다 조금씩 큰 편이고, 좀 겉늙어 보이는 스타일이어서 그런지 같은 동네에서 자란 친척동생들이 제가 12월생인지 전혀 몰랐다고 하네요. 저도 12월생이라고 딱히 작거나 학업성취(이건 생일문제가 아님)에서 엄청 뒤떨어지지는 않았던 거 같아요.
수지님 파티의 달에 태어나셨군요! 무척 잘 어울립니다. 흐흐. 한국은 사람들의 교육열 때문에 1월을 선호했으나 수지님은 상관없이 12월에 태어나 상관없이 잘 크셨네요! 좋아요!
아...저희 때는 강적인 1, 2월생이 있었어요. 모든 서열관계를 흐트러뜨리는 '빠른년생' 들어보셨나요? 그래서 12월생은 쳐주지도 않았던 거 같네요 ㅎㅎ 제가 살면서 12월생이라 불이익을 당한 적도 없는데, 저희 엄마만 태어난지 15일만에 한 살을 더 먹어서 얼마나 아쉬워하셨는지....왜 때문이죠? 엄마?! 2000년생 이후인가요? 빠른생 없어져서 갑자기 1, 2월생이 최강자가 되었죠. 예전에 수학모임 게시판 지나가면서 몇 번 보고, 외면했어요!!! 저 이과예요!!!으아악
수지님도 12월생이시군요?! 제 남동생은 크리스마스 이틀 후가 생일이라 태어난지 일주일도 안되서 두살이 되버리더라구요. 한국에선 태어나면 한 살이었잖아요. 학교에 들어가서 초등학교 저학년일 때는 어리버리하더니 지금은 만나이로 따지니 친구들보다 젊어서 좋다고 실실거려요.
오오오 제 동생은 크리스마스 3일 후예요 . 12월 28일생! 4일 후 2살!
어린이날과 크리스마스, 부모님 결혼기념일이 제일 피해야 할 생일날짜라던데, 맘대로 피할 수도 없고...ㅎㅎ 전 딱 방학 시작하기 직전이라 생일 때 대체로 재미있게 보냈던 거 같아요~
은근 12월생이 많네요. 저는 주위에서 제 남동생과 사촌동생외엔 12월생이 없거든요. 사촌은 12월의 마지막에 태어나서 만나이로 바뀌고 너무 좋아하더라구요.
아 맞네요. 우리나라 태어나면 1살 해 바뀌면 2살이죠? 전 근데 2023년에 나이정책? 바뀌고 나서 생일이 늦어서인지 3년째 같은 나이로 살고 있는 느낌이에요. ㅎㅎㅎ조삼모사지만 기분이 나쁘진 않네요.
그나저나 3년째 같은 나이로 살고 있는 느낌, 너무 부러운데요? 제가 사는 주에서는 만나이 40까지는 알콜성 음료를 살 때는 운전면허증 확인 하는데, 저 지금 마트 갔다가 장보면서 백포두주 샀는데, 운전면허증 보자는 소리 안해서 상심해서 왔어요. 흰머리 염색을 심각하게 고려해보게 됩니다.
크리스마스는 한국에서만 사랑하는 날(?)이 아니었군요. 할렐루야!
재밌습니다. 통계에서 그 나라 문화도 파악되네요! 보면서 통계가 될 개인정보를 어디까지 국가에게 알리는 게 좋을지 궁금해졌어요. 온라인 세상과 알고리즘의 영향력이 커져서 더 그런지 모르겠지만, 요즘엔 성별, 연령대, 직업 조사에서 개인정보 털리는 느낌이 들어서 안하고 싶기도 했거든요.
앗, 그믐 굿즈가 탐나서 신청하는 건 아니... 맞고요 >_< 통계 파트는 별로 좋아하진 않았지만.. 왠지.. 통계 이야기 & 통계 책!!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글이 중복되어 삭제되었습니다. -제가 맘대로 만든 문장-
https://kosis.kr/visual/nsportalStats/main.do 그믐밤 덕에 통계청에 처음으로 들어가봤어요. KOSIS 100대 지표라니 신기해요. 문과라 확률과 통계 수업이 재미없다는 정평 속에 대충 듣고 넘겼던 기억이 나는데요. 예상 외로 사이트가 보기 좋게 만들어져 있네요! 흥미롭습니다!
오!! 재밌는 지표가 많네요!! 타고타고 가다가 문화통계포털 웹사이트(https://stat.mcst.go.kr/portal/main) 와 2023년 국민독서실태조사(https://www.mcst.go.kr/kor/s_policy/dept/deptView.jsp?pSeq=1920&pDataCD=0406000000&pType=04) 까지 갔어요. 2023년 기준 성인의 연간 평균 독서량(종이책+전자책+오디오북)이 3.9권이래요. 그믐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 저는 더 이상 평균을 깎아먹는 1인이 되지 않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ㅠㅠㅋㅋ
지표 감사합니다. 발표될 당시에 봤는데 링크해 주셔서 다시 한번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그때도 느꼈지만 저는 종합독서율이 43%라는 것이 꽤 충격적이었습니다. 독서율 43%라고 하면 그게 뭐 어때 싶은 생각이 들 수 있어요. 책 읽는 사람이 절반 정도라는 거 아냐? 그런데 여기서 '독서율'의 정의가 중요합니다. 확률, 통계 볼 때 그 정의를 먼저 분명히 아는 것이 중요하잖아요. 종합독서율은 종이책, 전자책, 오디오북 할 것 없이 1년에 책을 한 권 만! 5권도 아니고 2권도 아님! 그냥 진짜 단 한 권만! 읽으면 독서율에 포함되거든요. 이말인즉슨 1년에 책 한 권을 안 읽는 사람이 절반이라는 건데요, 한 권은 쫌... 사람이 살다가 실수로(?) 어쩌다가(?) 나도 모르게(?) 책 한 권 정도는 읽을 수 있잖아요. 굳이 어려운 책 아니더라도 힐링 감성 에세이, 주식 투자 이렇게만 해라, 여행 가기 전에 후루룩 살펴볼 수 있는 유럽 여행 안내 책자, 이런 거 아무거나 한 권만 읽으면 되는데...T.T 그걸 안 읽는 사람들이 절반.
자료에 따르면 하루 독서 시간이 평일 종이책 10.4분 전자책 6.8분 이네요. 기사로 찾아본 한국인 유튜브 이용 시간은 하루 청취 약 1.8시간.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40304/123811435/1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40627/125647459/1 그래도 나름 하루 독서 시간은 그렇게 짧지 않은 것 같이 느껴지기도 하네요. 매일 10분 이상 읽을 경우 일주일이면 1시간이 넘어가니까요. 그래봐야 하루치 유튜브 시간도 안 되긴 합니다만... 그런데 유튜브 정말 매체 파워가 대단하네요. 사람이 어떤 일을 하루에 2시간씩 매일 할 수 있다니...그런데 생각해 보니 그 전엔 TV가 있었군요. 저도 청소년 기에 TV 2,3시간씩 매일 기본으로 봤던 것 같애요.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책 나눔] 송강원 에세이 <수월한 농담> 혼자 펼치기 어렵다면 함께 읽어요! [아티초크/책증정] 윌리엄 해즐릿 신간 『영원히 살 것 같은 느낌에 관하여』와 함께해요![📚수북플러스] 6. 우리의 연애는 모두의 관심사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책 증정]2020 노벨문학상, 루이즈 글릭 대표작 <야생 붓꽃>을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극단 '피악'의 인문학적 성찰이 담긴 작품들
[그믐연뮤클럽] 8. 우리 지난한 삶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끄는 여정, 단테의 "신곡"[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그믐연뮤클럽의 서막 & 도박사 번외편]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이반과 스메르자코프"
10/15(수) 오후 7시 30분! 김준녕 작가님과 라이브채팅 Go Go
김준녕, 오컬트도 잘합니다. [다문화 혐오]를 다루는 오컬트 호러『제』같이 읽어요🌽
같이 읽고 싶은 이야기_텍스티의 네버엔딩 스토리
김준녕, 오컬트도 잘합니다. [다문화 혐오]를 다루는 오컬트 호러『제』같이 읽어요🌽[텍스티] 텍스티의 히든카드🔥 『당신의 잘린, 손』같이 읽어요🫴[텍스티] 소름 돋게 생생한 오피스 스릴러 『난기류』 같이 읽어요✈️[책증정] 텍스티의 첫 코믹 추적 활극 『추리의 민족』 함께 읽어요🏍️
10월 20일, 극단 '족연'이 돌아옵니다~
[그믐밤] 40. 달밤에 낭독, 체호프 1탄 <갈매기>[그믐밤] 38.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4탄 <오셀로>[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모두를 위한 그림책 🎨
[도서 증정] 《조선 궁궐 일본 요괴》읽고 책 속에 수록되지 않은 그림 함께 감상하기![그믐밤] 27. 2025년은 그림책의 해, 그림책 추천하고 이야기해요. [책증정] 언제나 나를 위로해주는 그림책 세계. 에세이 『다정하게, 토닥토닥』 편집자와함께"이동" 이사 와타나베 / 글없는 그림책, 혼자읽기 시작합니다. (참여가능)
각양각색! 앤솔로지의 매력!
[그믐앤솔러지클럽] 1. [책증정] 무모하고 맹렬한 처음 이야기, 『처음이라는 도파민』[그믐미술클럽 혹은 앤솔러지클럽_베타 버전] [책증정] 마티스와 스릴러의 결합이라니?![책나눔] 어딘가로 훌쩍 떠나고 싶을 때, 시간을 걷는 도시 《소설 목포》 함께 읽어요. [장르적 장르읽기] 5. <로맨스 도파민>으로 연애 세포 깨워보기[박소해의 장르살롱] 20. <고딕X호러X제주>로 혼저 옵서예[그믐앤솔러지클럽] 2. [책증정] 6인 6색 신개념 고전 호러 『귀신새 우는 소리』
사랑은 증명할 수 없지만, 증명하고 싶어지는 마음이 있다
[밀리의 서재로 📙 읽기] 29. 구의 증명최진영 작가의 <단 한 사람> 읽기[부국모독서모임] 최진영의<구의 증명>, 폴 블룸의<최선의 고통>을 읽고 책대화 해요!
더 나은 내가 되기 위한 레슨!
[도서 증정] 『안정감 수업』 함께 읽으며 마음을 나눠요!🥰지금보다 나은 존재가 될 가능성을 믿은 인류의 역사, 《자기계발 수업》 온라인 독서모임
한국의 마키아벨리, 그의 서평 모음!
AI의 역사한국의 미래릴케의 로댕최소한의 지리도둑 신부 1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노벨문학상 수상자,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 축하합니다!
[이 계절의 소설_봄] 『벵크하임 남작의 귀향』 함께 읽기[이달의 소설] 1월 『벵크하임 남작의 귀향』 함께 읽어요(신간읽기클럽 )1. 세계는 계속된다/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
공룡 좋아하는 사람들은 여기로!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7. <경이로운 생존자들>[밀리의 서재로 📙 읽기] 10. 공룡의 이동경로💀《화석맨》 가제본 함께 읽기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