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휴. 휴 그랜트 저 건들건들 걷는 폼 하며... ㅋㅋㅋ 근데 정말 꽃미남이었군요. 왠지 다 용서해주고 싶습니다(응?).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4. <메리와 메리>
D-29

장맥주

오구오구
“ 메리는 질문을 던졌다. 문명의 허식을 떼어낸 본연의 인간은 누구인가? 우리 자신을 다스리려면 어떤 법이 필요한가? 남성과 여성은 본질적으로 다른가? 이 마지막 질문에 모든 남성 사상가들은 소리 높여 그렇다고, 여성은 인간발달의 모든 영역에서 열등하다고 답했다 ”
『메리와 메리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메리 셸리, 열정과 창조의 두 영혼』 232,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메리는 진짜 문제는 여성이 아니라 남성이 원하는 여성의 모습이라고 말했다. 여기서 메리는 루소를 인용했다. 메리는 루소의 자연법 이론과 감정이 중요하다는 주장을 여전히 존중했지만 여성에 대한 루소의 생각에는 계속 분개했다. 루소의 교육 방식은 특히 유해하게 느껴졌다.
”
『메리와 메리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메리 셸리, 열정과 창조의 두 영혼』 233,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여성의 행동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꾼다면, 세상이 개혁될 것, 이라고 메리는 열기를 더해 외쳤다.
『메리와 메리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메리 셸리, 열정과 창조의 두 영혼』 235,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와, 입이 딱 벌어집니다. 엄마 메 리가 얼마나 대단한 여성이었는지....
고드윈, 스스로 정한 규칙, 매일 다섯시간의 글쓰기, 두시간의 독서, 한시간의 산책.. 이런 루틴 좋아합니다 ㅎ
특파원이 되어 프랑스혁명의 중심가로 홀로 떠나기로 한 메리, 이 시대에 이런것이 가능했군요. 메리///
그러믄요
저도 이 메리의 용감함에 감동했어요. 찌질한 동생들도 챙기면서 본인의 신념을 밀고나가는 이 젊은 여성, 어느 시대에도 보기 힘든 인물이네요

borumis
지금 생각하면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이나 가자 지구 등 가장 위험한 지역으로 뛰어들어간 종군기자같네요.

오구오구
맞아요. 이 시대 여성들의 의상을 생각하면, 저런 옷을 입고 종군기자라니... ㅋㅋ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밖에 안드네요.

borumis
또다른 메리인데 메리 에드워즈 워커라고 유일하게 여의사로 졸업하고 미국 남북전쟁에 군의관으로 참여하고 싶었으나 거절당했던 Dr Mary Walker가 그 당시 파격적인 패션으로 바지를 그냥 입거나 치마 밑에 바지를 입었는데요. 이분은 한참 후인 19세기 중후반에 활약하셨는데 남자 옷을 입는다고 체포 당한 적이 많대요. 그것에 대한 그녀의 대답은 'I don't wear men's clothes, I wear my own clothes.'


오구오구
어머 너무 멋지네요~~~

오구오구
15장은 충격 그 자체네요.
프랑켄슈탄인박사와 괴물의 관계에 대한 모티브가 메리와 메리를 거부했던 아버지 고드윈의 관계였다는 것이 충격입니다. 클레어가 안타까와요 ㅠㅠㅠㅠㅠㅠ
- 메리, 바이런, 셸리가 여행했던 스위스 샤모니에 가고 싶어요. 아쉬운데로 구글지도 열어놓고 골목골목 들여다보고 있네요 ㅎ

borumis
전 프랑켄슈타인을 읽으면서도 프랑켄슈타인이 지가 만들어놓고 자기 창조물을 버리는 것에서 열폭하고 프랑켄슈타인이 너무 가여웠는데.. 고드윈도 본인의 이론이나 이상과 또 다른 이중 적인 모습을 현실에서 보이는 것도 그렇고 자기 아이를 계속 외면하면서도 필요할 땐 또 셸리의 돈을 요구하는 것도 그렇고.. 안그래도 읽으면 읽을 수록 한심한 아버지상을 프랑켄슈타인을 통해 그린 게 아닌가 했어요. 정말이지 메리 울스턴크래프트가 살아있었다면 그녀는 이렇게 애를 키우거나 내버리지 않았을 텐데..ㅜㅜ 고드윈을 보니 참 예전에 구하라 등 모 연예인들 부모들을 보는 것 같더라구요.

오구오구
괴물의 그 복잡하고 괴로운 마음이 메리의 마음이었다니.... 마음아프네요. \
고드윈이 경제적 어려움을 계속 겪은 것을 생각해보면, 그 시대에도 학문을 한다는 것을 돈이 별로 되지 않는.. 그래서 부잣집 도련님들이나 할 수 있는 것이었나봐요.

borumis
고등학교 시절을 스위스에서 보냈는데 전 샤모니나 몽블랑보다 실은 이 책을 읽으며 프랑켄슈타인 성에 가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어요. ㅎㅎㅎ 드라큘라 성도 있다는데 프랑켄슈타인 성이 있는 줄은 몰랐네요.. 지금은 거의 폐허처럼 되었지만..

borumis
https://en.wikipedia.org/wiki/Frankenstein_Castle
Fountain of youth나 자석 기타 초자연적 현상과 전설이 엮어 있는 곳이어서 tv show에도 나오고 관광객도 많이 온다고 하네요.

오구오구
와, 사진이 있네요~ 가보고 싶어요 특히 마지막 forest와 나무 사진은 프랑켄슈타인과 절 어울리네요

borumis
그리고 자의식으로 넘쳐나는 셸리와 바이런과 다르게 메리는 자연/신에게 도전장을 던진 인류가 과연 영웅으로 남을지에 대한 회의를 가진 메리는 마치 영화 인사이드 아웃의 초E인 기쁨이의 넘치는 자신감과 열정의 뒤편에서 한발자국 물러나 현실을 관찰하는 극I인 슬픔이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근데 솔직히 계몽주의의 근대를 벗어난 이후 현대적인 관점을 메리는 이미 장착하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과연 그렇게 진보에 대해 낙관적이어도 될까?' 어쩌면 이런 점은 진보와 개혁의 안 좋은 점들 (폭력, 무책임, 무질서 등)을 인지하고 있으면서도 그걸 축소하거나 무시하려던 그녀의 어머니 아버지 세대에 비해 다소 소극적으로 보이지만 어찌 보면 좀더 현실적이고 성찰적인 자세였겠죠.
그리고 만약 인류가 생명을 창조하는 게 가능해지면 자연의 역할 그리고 여성의 역할에 대해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에 대해 지금도 여전히 묻고 있는 질문인데요. IVF, PGD 및 크리스퍼 유전자 엔지니어링 등 생명공학이 빠르게 발전할 수록 멈추어보고 생명윤리 및 기타 철학적 질문을 짚고 넘어가야 하겠죠. 예전에 'Brave New World'를 읽으면서도 만약 이렇게 아기들을 공장처럼 생산할 수 있다면 여성, 그리고 모성 아니 성 자체는 어떤 역할을 갖게 될까?하고 궁금했는데요. 아이를 가졌어도 자기 애인지 인정도 안하거나 책임을 안 지는 셸리나 바이런과 다르게 메리는 여성이자 어머니로서 프랑켄슈타인이란 작품을 머리 속에서 잉태하면서도 이런 질문을 품고 있던 것 같습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YG
오늘 목요일 9월 12일은 16장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1792~1793: 프랑스 혁명의 한복판에서'와 17장 '메리 셸리: 1816~1817 『프랑켄슈타인』의 탄생'을 읽습니다.
어머니 메리는 몇몇 분이 말씀하신 대로 정말 오늘날로 따지면 종군 기자가 될 결심을 하고 1789년 이후 혼란의 도가니인 프랑스 파리로 혁명의 현장을 목격하고자 건너가고요. 이때 33~34세였습니다.
딸 메리는 다시 영국으로 돌아와서 『프랑켄슈타인』 집필을 계속합니다. 그 와중에 두 번의 비극을 맞닥뜨리게 되는데요. 이때 19~20세였습니다.

YG
14장 마무리를 보면, 프랑스 혁명 이후 파리의 폭력 사태에 대한 언급이 나옵니다. 그곳에서 등장한 랑발 공주의 전해지는 최후가 멋있어요.

YG
랑발 공주는 1792년 8월에 마리 앙투아네트와 함께 탕플 탑에 갇혔다가, 이후 라호루스 감옥으로 옮겨졌다가 9월 대학살 때 군중에 의해서 죽임을 당했는데요. 랑발 공주를 둘러싼 혁명 야사는 여러 버전이 있어서 이게 꼭 진실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248쪽처럼 마지막에 끔찍한 수모를 당하다 죽은 건 확실해요.
그렇게 전해지는 이야기 중에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당시 혁명에 열광하던 군중은 랑발 공주에게 혁명의 정당성과 자유, 그리고 평등을 인정하고 루이 16세와 마리 앙투아네트를 향한 증오를 맹세할 것을 요구했다는군요.
이때 랑발 공주가 "전자는 기꺼이 하겠으나 후자는 내 마음이 거부하니 차마 하지 못하겠군요"라고 대답하며 끝까지 맹세를 거부했다고.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