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벽 아, 재미있게 읽으셨다니 다행이에요. 사실, 그거 제가 기획하고 밀어붙이고 심지어 다 쓴 건데 생각보다 반응이 폭발적이진 않아서 약간 의기소침해하던 참이었어요. :(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4. <메리와 메리>
D-29

YG

흰벽
아니, 정말이요? 저는 '살아 보니, 시간', '살아 보니, 진화' 두 권 읽었고 이제 '지능' 읽을 차례인데, 너무 재미있어요. 세 분의 찐친 케미도 그렇고, 옵저버로 참가하신 김상욱 교수님, 장대익 교수님과의 케미도 색다르게 재밌고... (아직 안 읽었지만 정재승 교수님과도 그렇겠죠??) 무엇보다 다들 박식하시고 통찰력이 있으셔서 그냥 대화일 뿐인데 읽다 보면 많은 걸 생각하게 돼요. 읽고 싶은 책 목록도 잔뜩 생겼고 말이죠! 읽기 쉬운데 내용은 꽉 차 있어서 대중적 인기를 끌 만하다고 생각했는데 흠.. 머지않아 반응이 터지지 않을까요? 고등학교에서 학생들과 읽기에도 넘 좋을 것 같은데요.

[세트] 살아 보니, 시간 + 살아 보니, 지능 + 살아 보니, 진화 - 전3권
책장 바로가기

장맥주
“ 겉으로 볼 때 《발페르가》는 울스턴크래프트의 《옹호》와 대단히 다르지만, 자신의 어머니보다 보수적인 시대에 살았던 메리에게 개혁을 촉구하는 최선의 방법은 허구를 이용하는 것이었다. 게다가 그녀는 어머니가 작가로서 원래 품었던 목적에 여성의 마음을 탐구하는 것도 포함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
『메리와 메리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메리 셸리, 열정과 창조의 두 영혼』 467~468쪽,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28장, 어머니 메리와 고드윈의 연애 이야기는 마치 『오만과 편견』을 요약본으로 읽는 것 같네요. 어머니 메리는 엘리자베스 베넷, 고드윈은 미스터 다시. 저만 그렇게 생각하고 있나요? ㅎㅎㅎ

YG
저도 비슷한 생각을 했었는데요. 개연성도 상당히 있는 게. 『오만과 편견』이 1813년 출간이고 초고가 쓰인 시점이 1790년대 말이니까. 당시에 영국 지식인계-사교계에서 꽤 유명한 사건이었던 1797년의 둘의 연애-결혼 사건이 오스틴에게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겠어요. (어쩌면 논문이 있을지도. 찾아보지는 않음.)

장맥주
헛. 제인 오스틴에게 모티브를 줬으리라는 생각까지는 못해봤는데 듣고 보니...?
ㅎㅎㅎ

흰벽
오, 별 생각 없이 읽었는데 진짜 그러네요! 두 사람이 서로에게 지닌 첫인상도 그렇고, 주고받은 편지에서 보이는 각자의 모습도 그렇구요! 이 부분만큼은 정말 알콩달콩 연애 느낌도 나고 연애소설 읽는 느낌이었어요. 근데 고드윈이 넘 매력이 없어서 미스터 다시랑 연관을 못 지었네요 ㅎㅎ

장맥주
저는 사실 미스터 다시의 매력도 뭔지 잘 모르겠더라고요... ^^;;; 저처럼 생각하 는 남자 꽤 있을 걸요?

YG
@장맥주 여기 한 명 더 있음. 역시 저랑 영혼의 단짝. :)

장맥주
그... 어쩌면 저희가 바로 고드윈 같은 인물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듭니다...
ㅠ.ㅠ

YG
왜 저까지 엮으세요. 저는 아닙니다! 하하하!

장맥주
저는 연애 처음 할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몰라서 정말 쩔쩔 맸는데... 아주 고드윈이랑 똑같았습니다.
@YG 님은 아니라고 하시니 다행입니다(?). ^^

borumis
저도 약간;; 여자 고드윈 같았다고나 할까요;; 책으로만(특히 만화책) 연애를 배워서;;

장맥주
뭐든지 실습이 중요합니다.
ㅎㅎㅎ

계피
이 만담과 고백의 릴레이는 뭐죠? ㅎㅎㅎㅎ 적어도 소설 속에서는 미스터 다시는 고드윈 따위와 비교할 수 없이 매력적인 캐릭터인 것만은 확실합니다!
사실 전 어릴적 오만과 편견을 읽었을 땐 이 시덥잖은 결혼타령이 왜 세계문학고전인가 투덜거렸어요. 고전으로 분류되는 다른 거창한 작품들- 괴테나 루소나 위고 등등- 에 비해 너무 사소하다고 생각했거든요. 여성 작가로서의 오스틴이 왜 이러한 작품들을 썼는지, 영문학의 줄기에서 그 작품들이 어떤 발자취를 남겼는지 알게 된 것은 그로부터 한참 후… 역시나 여성주의 문학연구의 도움을 받아서였습니다 ㅎㅎ 이래서 배움이 필요합니다

장맥주
저는 사실 젊은 고드윈을 흠모하는 여성들이 많았다는 게 이해가 잘 안 갑니다... 잘 생겼었나...?
"오만과 편견"도 그렇고 "프랑켄슈타인"도 그렇고, 제가 살아 있는 동안에 정전(正典) 목록에서 순위가 점점 상승하는 걸 목격했네요. 제인 오스틴도 메리 셸리도 1990년대하고 지금하고 문학적 위상이 확연히 다릅니다. 거기에 페미니즘 비평의 영향도 분명 있었겠고요. 반면 그레이엄 그린, 러디어드 키플링의 순위는 추락한 듯합니다. 솔제니친, 막심 고리키, 귄터 그라스, 린위탕(임어당)도 최근에 그다지 이야기되는 것 같지 않고 어쩌면 서머싯 몸도... 저는 미우라 아야코가 잊히는 게 좀 안타깝습니다.

장맥주
톨스토이의 작품 안에서는 "안나 카레니나"와 "전쟁과 평화"의 평가가 최근 한 세대 사이에 역전된 것 같고, 브론테 자매에 대한 평가도 에밀리의 성취(폭풍의 언덕)가 점점 더 높은 평가를 받는 것 같은데, 그냥 제 느낌적인 느낌인지도 모르겠어요. ^^;;;

흰벽
고전에 대한 해석이나 평가는 그 시대의 가치관에 따라 달라질 것 같은데, 최근 이십 년 사이에 이런 변화가 나타나긴 한 것 같아요. 그 이유를 분석해 보는 것도 상당히 재미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누군가가 해주었으면...!)

장맥주
그러게요. 누가 분석해주면 좋겠습니다. 키플링 같은 경우에는 극우 성향과 인종 차별 때문인 게 확실해 보이고, 이른바 '대하서사'라고 하는 이야기들이 인기를 끌지 못하는 것과 "전쟁과 평화"-"안나 카레니나"의 뒤바뀐 평가가 관계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제인 오스틴이 인기를 모으는 이유에 대해서는 저도 @계피 님이랑 의견이 같습니다. 거대 이데올로기의 시대가 지났다는 게 핵심일까요?

계피
정전의 순위는 확실히 많이 바뀌었죠. 저도 어린 시절 읽었던 세계고전문학전집의 목록들을 되새겨 보면 나의 십대에 이른바 1세계 중장년 백인 남성들의 작품을 이렇게까지 많이 읽을 필요가 있었나, 싶어요.
여성작가들이 지난 세기동안 꾸준히 발굴되고 재평가된 것처럼, 다음 세대에는 비영미권/비유럽 작가들의 작품이 조명받기를 기대해 봅니다. 아직은 영어로 쓰이거나 번역된 작품들에 한정되어 있긴 하지만, 이민자 출신 또는 아시아/중동/아프리카의 배경을 가진 작가들의 작품이 예전보다는 주목받는 것 같아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