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4. <메리와 메리>

D-29
메리는 여성의 권리 부정이 사회의 다른 영역에 존재하는 불평등과 연결되어 있음을 입증함으로써, 페미니즘이 단순히 여성의 권리'를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형태의 가부장제가 야기한 사회적 불의와 관련된다고 주장하는 현대 이론가들을 앞질렀다. 이 이론가들에게 현대의 페미니즘은 섹슈얼리티, 젠더, 재생산의 문제를 넘어서 계급, 인종, 장애, 인권에 대한 논의가 포함되도 확대된다.
메리와 메리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메리 셸리, 열정과 창조의 두 영혼 341,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메리는 자신이 다른 사람들에게 준 상처 때문에 벌을 받고 있는 것인지 모른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어쩌면 이것은 해리엇의 복수일지 몰랐다.
메리와 메리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메리 셸리, 열정과 창조의 두 영혼 368,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엄마 메리가 Major depressio episode? 이걸 겪었을거라고 하네요. 엄마 메리의 고통이 느껴지네요. 자살시도까지 ㅠㅠ
오늘날의 시각에서 보면 전형적인 심한 우울증 증상을 보이고 있었던 셈이죠.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임레이의 관계가 답답하셨던 분들은 다음 장부터 숨통이 트입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추석 연휴 잘 보내셨나요? 오늘 9월 19일 목요일은 24장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1795: 스칸디나비아 여행'과 25장 '메리 셸리 1819: 어그러진 연인'을 읽습니다. 36세의 어머니 메리는 임레이의 사라진 밀수품의 행방을 찾아서 스웨덴으로 떠납니다. 정말 보내는 임레이나 기꺼이 도전하는 메리나 대단합니다. 잇따라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22세의 딸 메리와 셸리의 관계는 점점 최악으로 치닫고. 이때 메리는 근친상간을 주제로 한 새로운 소설을 계획하죠. (엘렉트라 콤플렉스는 이 모임에서도 종종 화제가 되었었죠?)
연인의 사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린 자녀와 스웨덴으로 떠난다는 것이, 지금으로도 어려운 일일텐데... 저 시대라니... 정말 대단합니다
383페이지를 읽다가 마음이 쿵 하고 내려앉았습니다. 그동안 그 어떤 시련에도 의지를 불태우며 다시 일어섰던 메리 울스턴크래프트가 어쩌다 이렇게까지 무너진걸까요.. 그간 시련을 이겨내었더라도 그 고통은 사라지지 않고 마음에 차곡차곡 쌓여있었던건가요,, 아니면 임레이와의 상황에서 느꼈던 고통이 그 정도로 컸던건가요.. 아무래도 둘다겠지요?...ㅜㅜ_ㅜㅜ
현대 독자에게는 《여성의 권리 옹호》의 저자가 눈물을 흘리며 편지로 전 애인을 지치게 하고, 자살을 시도하고, 애인의 거절에 절망하는 것이 앞뒤가 안 맞는 행위로 보이고 다소 실망스럽게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메리에게 자신의 비탄은 하나하나가 임레이에게 제기하는 소송의 필수 구성 요소였다. 여성이 겪는 부당한 대우를 전반적으로 다루는 글에서 이제 자신의 고통에 관한 글로 넘어간 것이다. 남자의 배신을 경험했으므로 이제 남자에 항의하여 증언할 것이고. 《여성의 권리 옹호)의 정신에 따라 자신의 소송이 기각되어도 우아하고 예의 바르게 순종하기를 거부할 것이다.
메리와 메리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메리 셸리, 열정과 창조의 두 영혼 409,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메리는 자신이 느끼는 고통이 전부 임레이 때문에 일어난 것이 아니고, 평생에 걸친 고통스러운 경험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단이 없었다. 놀라운 용기와 능력으로 메리는 이미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많은 성취를 이루었고, 자기 성찰과 글쓰기를 통해 자기 치유를 일부 이뤄냈지만, 스칸디나비아서 보낸 시간은 그녀를 완전히 치유하는 데 충분하지 않았다. 역설적으로 메리가 힘을 되찾자 임레이의 사랑을 되찾겠다는 결심이 더욱 굳어졌을 뿐이다. 메리는 임레이보다 훌륭한 철학자였다. 두 사람의 논쟁에서 그녀의 논지는 정확했고 윤리적으로 우월했다. 메리는 임레이가 돌아오게 만들겠다고 결심했다. 메리는 그를 상대로 한 싸움에서 이기고, 그러면서 그의 사랑을 다시 쟁취할 것이다.
메리와 메리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메리 셸리, 열정과 창조의 두 영혼 420,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메리는 창조자나 피조물 중 어느 한 쪽에 이야기의 비중을 두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누가 영웅인가? 누가 악당인가? 누가 옳은가? 누가 그른가?”라는 인습적 질문이 적용될 수 없는, 도덕적 판단 유예의 분위기를 자아냈다. 그 피조물과 월턴은 프랑켄슈타인의 사건 설명을 믿기 어렵게 만들고, 프랑켄슈타인이 결코 인정하지 않는 것을 독자에게 보여준다. 자기 피조물을 사랑하지 않고 교육을 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잘못을 저지른 사람은 바로 프랑켄슈타인 자신이다. 괴물은 바로 우리가 만드는 것이라고 메리는 말한다.
메리와 메리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메리 셸리, 열정과 창조의 두 영혼 17장 284쪽,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하지만 사랑에 어두운 면이 있다는 것을 메리는 알게 되었다. 임레이가 찾아올 수 없을 때면 절망감에 빠져들었다. 그가 만날 약속을 취소하거나 나타나지 않으면 상처받고 분노를 느꼈다. 임레이에게 보낸 메모에는 메리의 복잡한 감정뿐 아니라 자신의 열의가 그를 내몰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반영되어 있다.
메리와 메리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메리 셸리, 열정과 창조의 두 영혼 18장 308쪽,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생각이 많고 깊고 책임감도 있고 젊은 여자와 엄마로서의 사랑과 욕망이 있는 여성이 어떻게 보면 상대적으로 (많이 양보해서) 단순하고 이기적인 남자와 관계를 맺고 살아야했으니 얼마나 힘들고 외로웠을지… 안타깝네요
그(고드윈)는 <프랑켄슈타인>은 놀라운 작품이고, 그 책이 자신을 긍정적으로 보이게 해줄 것이며, 딸이 작가로서의 역량에 자신감을 느껴도 좋다고 생각했다. 비평가들은 동의하지 않았다. <프랑켄슈타인>은 크리스마스 이후에 첫선을 보였고 출간 즉시 분노에 찬 평가를 받았다. 메리는 놀라지 않았다. 자신이 논란의 여지가 많은 주제를 다루었음을 알고 있었다. 그녀는, 아니 익명의 저자는 무신론자라는 비난을 받았다.
메리와 메리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메리 셸리, 열정과 창조의 두 영혼 19장, 328쪽,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그(존 애점스)는 정부에 대한 메리의 순진한 생각을 비웃었고, 인간의 본성이 원래 선하다는 메리의 믿음에 동의하지 않았다. 메리는 인간이 선하고 정부는 악하다고 믿었지만, 애덤스는 인간이 악하고 정부는 선하다고 믿었다. 하지만 그는 저변에 깔린 더 나은 미래를 향한 메리의 희망을 공유했다.
메리와 메리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메리 셸리, 열정과 창조의 두 영혼 20장, 339쪽,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존 애덤스는 미국 두 번째 대통령으로, 미국 건국에 중요한 역할을 한 정치인이자 사상가죠. 우리가 좀 더 잘 하는 토머스 제퍼슨의 숙적이기도 했고요. 그의 삶은 7부작 드라마로도 만들어졌습니다. 미국에서는 베스트셀러가 된 유명한 평전도 있는데 한국에는 번역이 안 된 것 같네요. https://www.amazon.com/John-Adams-David-McCullough/dp/0743223136 드라마 소개한 블로그 글 하나 링크로 드립니다. https://blog.naver.com/tomtom_marin/70159575704
워낙 유명한 제퍼슨과 달리 존 애덤스는 미국에서도 그리 알려지지 않은 대통령이었죠. 하지만 그의 활약과 사상의 영향이 적지 않음을 잘 보여준 평전이어서 미국에서 퓰리처상 후보가 되었던 것 같아요
정보 감사합니다. 존 애덤스과 누군지 몰랐는데, 알고 보니 존 애덤스의 의견이 좀 더 강하게 들어오네요!
최근에 라인홀트 니버의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를 읽기 시작했는데 저도 실은 개개인은 사회에 비해 선하거나 선하다고까진 할 수 없어도 적어도 개개인의 이기적 본성이 집단에 비해 좀더 조절 가능하고 좀더 이성적 판단이 가능한 편이라고 생각하는 입장이어서 애덤스보다 메리의 생각에 더 가까운 것 같습니다. 그런 입장인 제게는 애덤스 또한 순진한 (naive) 것 같아 보이지만.. 일장일단이 있겠죠. 어찌 보면 동전의 양면일지도..?^^;;;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저명한 교육학자이자 철학자이며 권위 있는 진보적 지식인으로 평가받고 있는 코넬 웨스트(유니언 신학대학) 교수와 20세기 미국의 대표적인 신학자 중 한 명으로 꼽히며 라인홀드 니버의 지도 아래 종교학 박사학위를 받은 랭든 B. 길키(시카고대학교) 교수의 서문을 새롭게 번역해 수록했다.
메리는 암기식 교육을 떨쳐냈고. 자기가 맡은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정해진 궤도'에서 벗어난 것을 탐구하도록 장려했다.
메리와 메리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메리 셸리, 열정과 창조의 두 영혼 p103,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저는 이 '정해진 궤도'라는 것에 사로잡혀 살고 있는것 같습니다. (뒷북이지만 뒤따라 가겠습니다^^)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도서 증정] 1,096쪽 『비잔티움 문명』 편집자와 함께 완독해요[📚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을 사랑하셨던 분들은 놓치지 마세요
[📚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댓글로 쌓아올린 세포, 아니 서평들
작별하지 않는다도시의 마음불안세대
반가운 모임지기들, 라아비현과 꼬리별
[라비북클럽] 불편한 편의점 북투어 같이 한번 읽어봐요 우리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제발디언들 여기 주목! 제발트 같이 읽어요.
[아티초크/책증정] 구병모 강력 추천! W.G. 제발트 『기억의 유령』 번역가와 함께해요.(8) [제발트 읽기] 『이민자들』 같이 읽어요(7) [제발트 읽기] 『토성의 고리』 같이 읽어요(6) [제발트 읽기] 『전원에서 머문 날들』 같이 읽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