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쭈ㅈ @그래그래요 좋은 방법일까요? :)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4. <메리와 메리>
D-29

YG
그래그래요
사실 저는 정신없어서 다시 차례대로 읽고있어요. 두사람의 이야기를 읽는데 챕터를 건너뛰려니 정신이 없더라고요ㅎㅎㅎ

장맥주
“ 평생 벌어보지 못한 수입을 올린 메리는 돈이 넘쳤다. 메리는 새 가구를 사고 고양이를 들이고 사우스워크의 방보다 넓고 훨씬 우아한, 블룸즈버리의 스토어 거리에 있는 집으로 이사했다. 이 거침없이 비판하는 여성을 만나고 싶은 방문객들이 문간에 몰려 들었다. ”
『메리와 메리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메리 셸리, 열정과 창조의 두 영혼』 209쪽,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모녀의 고생담을 답답하게 읽던 와중에 이런 대목이 나오니 마음이 상쾌해집니다. 메리 논픽션 작가님께 저 순간을 어떻게 즐기셨나요, 하고 묻고 싶기도 하고요.

장맥주
“ 그해 봄에 메리는 셸리가 법적 싸움을 벌이는 동안 런던으로 올라와 함께 지내고 있었다. 클레어는 바이런이 흥미를 느낄 거라고 확신하고는, 메리가 그의 작품을 찬미하고 그를 만나고 싶어 한다고 말하며 메리를 일종의 경품으로 제공했다. ”
『메리와 메리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메리 셸리, 열정과 창조의 두 영혼』 215쪽,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경품이라니, 심한 표현 아닌가 싶었는데 뒤에 이어지는 내용을 보니 할 말 없네요. 사랑에 빠진 열여덟 살은 무섭군요.

장맥주
“ 하지만 클레어는 겨우 열여덟 살이었고 남자들이 자신보다 메리를 선택하는 데 익숙했으므로 여태까지 해 왔던 대로 자신을 낮추었다. 이번에는 자신이 원하는 남자의 환심을 사려고 메리의 노예가 되겠다고 약속했다. ”
『메리와 메리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메리 셸리, 열정과 창조의 두 영혼』 220쪽,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사랑에 빠진 열여덟 살은 무섭군요. 222

고구마호박
그 불타오르는 정열과 열정이 무섭습니다.333
그래그래요
저는 앞쪽을 읽고있지만 메리 클레어 셸리 다들 지치지도 않나봐요^^;;;;

장맥주
저도 와 너희들의 에너지가 놀랍다 이러면서 읽는 중인데 사실 저도 열여덟 살 즈음에는 인간이라기보다는 영장류 새끼 쪽에 좀 더 가까웠던 거 같기는 합니다. 그것도 호르몬에 지배되는... ^^

borumis
ㅋㅋㅋ 아직 젊잖아요..쿨럭;;

himjin
타인에 대한 지배력을 획득하려고 평생을 보내는 것은 궁극적으로 공허한 노력이고 후회와 불행으로 이어질 노력이다.
『메리와 메리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메리 셸리, 열정과 창조의 두 영혼』 22장, 376쪽,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문장모음 보기

himjin
“ 뒤에 남겨진다는 것은 두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바로 뒤에 남겨진다는 것뿐 아니라 제멋대로 살거나 법의 테두리 밖에서 사는 것을 뜻한다. 18세기 사람들은 이 역설을 잘 알고 있었는데 홀로 남은 여성은 어떤 남성에게도 자기 행동에 대해 설명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기도 했다. 그렇다면 역설적으로 버림받았다고 비명을 지를 때마다 메리는 자신의 독특함, 무법 상태, 독립을 선언하는 셈이었다.
<중략>
연인을 잃으면서 어떤 자유가 찾아왔고 온갖 속박에서 풀려났다. ”
『메리와 메리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메리 셸리, 열정과 창조의 두 영혼』 24장, 408쪽,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문장모음 보기

borumis
이 당시 과부나 사회에서 추방되거나 격리되는 등 이탈을 통하지 않으면 자유롭지 못했던 여성의 속박된 위치를 잘 보여주는 것 같아요. 차라리 버림받아도 자유로워질 수 있던 계기가 돌아온 것에 대해 무책임한 임레이에게 감사해야 할까요?

himjin
“ 메리는 정치나 역사를 다루는 저서에 언제나 개인적 성찰과 구어체 표현을 끼워 넣었지만 이제는 표현방식을 거의 완전히 바꾸었다. 기본적으로 정치와 역사에 관한 글을 쓰면서 몇 가지 사적인 여담을 섞는 대신에, 임레이와의 사랑과 스칸디나비아 여행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이런 개인적 경험 안에 철학적 논평과 정치 이론을 합쳐 넣었다. 그 결과 개인적 이야기와 정치학, 여행기와 철학적 논평이 혼합된 독창적 스타일이 탄생했다. 메리는 인간 사회의 역사에 대한 생각을 논하면서 자신의 상처 입은 마음을 묘사했다.
”
『메리와 메리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메리 셸리, 열정과 창조의 두 영혼』 24장, 417쪽,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문장모음 보기

고구마호박
놀라운 부분이었어요. 메리가 저때 얼마나 감정적으로 흔들리고 부서졌을지... 하지만 계속 쓰고 또 쓰고 또 쓰 고. 그렇게 자신만의 독창적 스타일을 만들어내다니요.

himjin
“ 비관주의와 대조되는 낙관주의, 절망에 대조되는 희망, 메리와 대조되는 셀리. 두 사람은 각자 상반된 비극의 양쪽에 서 있었고, 그들의 갈등은 결혼 생활의 모든 면에 스며들었다. 그것은 상실에 대처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서로에게 접근하는 방식과 작품에 접근하는 방식까지 결정했다.
만일 이 부부의 철학적 단층면을 알지 못하면, 그들의 작품을 부부 간의 토론의 일부가 아니라 서로 무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셀리의 시는 인간의 창의력을 찬양한다. 메리의 소설은 제어되지 않은 야망의 결과를 경고한다.
<중략>
그러나 이제 아내의 암울한 전망은 위험해 보였다. 인간이 자신의 피조물을 제대로 다룰 수 있으리라고는 믿을 수 없다는 아내의 주장에 대해 셀리는 질병과 재앙을 인간의 창의력으로 근절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메리의 소설에서 프로메테우스(프랑켄슈타인)는 자신이 사랑하는 모든 사람을 파괴한다. 셀리의 시에서 프로메테우스는 세상을 구원한다. ”
『메리와 메리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메리 셸리, 열정과 창조의 두 영혼』 25장, 422쪽,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문장모음 보기

himjin
그들의 관계는 끝났다.
“우리의 정신은 서로 맞지 않아요.”
『메리와 메리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메리 셸리, 열정과 창조의 두 영혼』 26장, 432쪽,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문장모음 보기

himjin
“ 메리는 자신이 사랑한다고 여겼던 남자가 실제로는 자신이 만들어낸 “상상의 존재”라는 사실을 서서히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진짜 임레이는 훨씬 약한 사람이었다. 메리와 사랑에 빠졌을 때 그녀의 이상주의에 고무되어 달라졌지만, 그녀가 사라지자 원래의 얄팍한 성향으로 되돌아간 것이다. ”
『메리와 메리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메리 셸리, 열정과 창조의 두 영혼』 26장, 442쪽,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