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키의 해변의 카프카와 한강의 검은 사슴이 그렇습니다...
두 권 다 그렇게 제 손을 영영 떠났다는 것마저 그렇구요 ㅠㅠ
고등학교를 남녀 분반인 학교에서 다녔었는데, 한 친구가 야자 시간에 심심하다고 해서 해변의 카프카를 빌려줬습니다. 그랬더니 다음날 반의 친구들이 야설이라고 돌려 읽고 있더라구요. 그러다 누군가 수업시간에 선생님에게 걸려 압수당하는 바람에 영영 잃어버리고 말았습니다...
검은 사슴은 대학에서 친한 친구에게 빌려주었는데, 그 친구 자취 방에 놀러 온 친구가 또 빌려가고, 다른 친구가 또 빌려가고, 그렇게 영영 제 곁을 떠나고 말았어요. 대체 왜 남의 책을 빌려주는지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그땐 그냥 쿨한 척 하느라 '그럴 수 있지 뭐' 하고 넘겼는데, 두고두고 속상하더구요. 아마 그런 경험하신 분들이 많지 싶습니다 ㅠ
[📕수북탐독] 5. 나의 골드스타 전화기⭐수림문학상 수상작 함께 읽어요
D-29

임지훈

물고기먹이
이런 경험을 통해서 책은 친한녀석에게도 빌려주는게 아니구나~라는걸 다시한번 가슴에 새기게 되는 것 같아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도 감동적이게 읽은 책이 지금 6층 아지매에게 가서 돌아오지를 못하고 있습니다ㅎㅎㅎ
일산에 살고있는 동생네에는 돌아오지않는 책을 직접 집에가서 가져오기도 했어요 ㅋㅋㅋㅋ

임지훈
맞아요. 의외로 사람들이 '책' 소중한 줄을 몰라요 ㅠㅠ 다른 물 건 소중한 줄은 알면서...

장맥주
해변의 카프카가 야한 장면이 뭐 있었던가요... 1980년대에 학교를 다니신 건가요...

꽃의요정
그러게요...해변에서 카프카에서....10대 소년과 묘령의 여인이 갖는 잠자리 말씀이신가요?
가스파 노아 감독님의 '러브'를 추천합니다. (책꽂기 하려는데, 검색이...)
전 피트니스에서 보다가 얼른 끄고 회사 탕비실에 혼자 있을 때만 봤습니다. 보신 분들은 그 영화의 주제를 알려 주시면...좋겠습니다. 제가 보기엔 놓친 사랑을 그리워 하는 것을 빙자한 '성관계'가 주제인 영화였던 거 같습니다.... 컥
'가장 따뜻한 색, 블루'는 꽤 괜찮은 영화였지만...이 영화도....컥

장맥주
제가 읽은 가장 야한 텍스트 중 하나는 금병매였습니다. 문득 생각나서 써봅니다. ^^
밍묭
저는 책을 한번 빌려줬다가 책이 조금씩 생채기가 난 후로 책 잘 안빌려줍니다..ㅎ 저는 책을 빌려주는 대신 책을 추천해줘요 ㅋㅋㅋ (ex. 이 책 재밌으니까 한번 빌리거나 사서 읽어 봐)

장맥주
아, 그러고 보니 이것도 전자책의 좋은 점입니다. 책 빌려 달라는 사람이 없습니다. ^^

꽃의요정
어? 저는 빌려주는데요. ㅎㅎㅎ 다들 전자책 읽고 나면 글씨 크기 조절되고, 검색기능 있다고 엄청 좋아합니다.

장맥주
어? 전자책도 빌려줄 수 있나요? 뷰어 기기 자체를 빌려주신다는 말씀이신가요? (저는 휴대폰으로 봅니다~.)
보통 책을 빌려줄 때 제가 들고 다니는 책을 상대가 보고, 그 책 어떠냐는 이야기를 하다가 빌려주게 되잖아요. 근데 제가 읽는 책이 뭔지 상대가 알 수 없어서 그 책에 관한 대화를 안 하게 되는 거 같아요. ^^

꽃의요정
맞아요. 기기를 빌려 드립니다. 독서모임 멤버들이 책을 못 구할 경우에 빌려줘요. 전 핸드폰으로 보고요.
제가 보통 회사로 책 주문을 많이 하는데, 아무도 제가 주문하는 책에 관심이 없어요. 심지어 바빠서(일 때문 아님. 그믐에 글쓰느라) 택배 포장만 뜯어서 의도적으로 제 뒤에 있는 테이블에 늘어놓는데도 눈길도 안 주고요. ㅜ.ㅜ
그래도 얼마 전엔 @김하율 작가님의 '어쩌다 노산'이 정말 재미있고,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도 없을 것 같아 일본인 직장동료에게 소개했는데, 재미있다고 하면서 이런저런 얘기를 나누는데 좋더라고요.

연해
꽤 오랫동안 생각했습니다.
이 모임 안에서 책을 소중하게 보관하고, 아끼시는 분들의 일화를 많이 읽어서 더 그랬어요. 앞서 말했지만 저는 보통 책을 읽을 때, 물성보다는 그 책을 읽고 이해하고, 기억한다는 관점으로 바라볼 때가 많았거든요. 그래서 '물성마저 소중한 한 권의 책'은 무엇이 있을까를 곰곰이 생각해 봤죠.
작년에 만난 책입니다. 단순히 책의 내용이 좋았었다기보다는 이 책과의 추억 때문에 더 소중해진 것 같은데요. 제 서재 '인생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