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밀리의 서재 뒤적여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5. <중국필패>
D-29

오구오구
화제로 지정된 대화

YG
오늘 월요일 10월 7일부터 『중국필패』 읽기 시작합니다. 오늘과 내일 화요일 10월 8일은 머리말과 서론을 읽습니다.
머리말과 서론에서 저자의 중요한 문제 의식을 제시하고 시작하는 책이라서 꼼꼼히 읽어두시면 앞으로 논지를 따라가는 데에 도움이 되실 거예요. 저도 머리말과 서론에서는 반응이 뜨뜻미지근했거든요. 그런데 읽을수록 묘하게 설득이 되었어요. 같이 되새김질하면서 토론하면서 읽어요.
개와고양이
서론이 중심내용을 잘 요약하고 있네요.
1995년에 덩샤오핑 사후에도 중국은 붕괴하지 않을 거라고 예측했던 저자가 2023년에 중국필패라는 결론을 낸 배경이 뭐냐, 범위와 규모라는 척도를 이용해서 설명하겠다. 결국 독재가 이질성을 줄이고 대규모 동질성을 추구하기 때문이라는 거겠죠? 경영학 전공자답게 척도를 정하고 독재의 효율성을 높이는 도구로 EAST를 지목하고 설명하네요.
과거제에 대해서는 서론에서 이미 좀 설득되어 계속 읽어보고 싶게 만 드네요.

YG
저는 한때 조너선 스펜스(Jonathan D. Spence)의 책을 읽으면서 중국사를 공부했었는데요. 미국 중국사학계를 대표하는 학자 가운데 한 분이었는데, 오랜만에 찾아보니 2021년 12월에 세상을 떴군요. 스펜스는 박학다식하게 마치 재미있는 이야기 책처럼 구성해서 초심자도 어렵지 않게 중국사를 접할 수 있게 하는 재주를 가졌는데요.
그의 예일 대학교 강의록을 책으로 다시 엮은 『현대 중국을 찾아서』(이산)는 중국 근현대사를 정리하기 좋고요. 저는 『근대 중국의 서양인 고문들』(이산), 『마테오 리치, 기억의 궁전』(이산) 같은 책도 재미있었던 기억입니다.
이 책들 가운데 『근대 중국의 서양인 고문들』 제외하고는 아직 서점에서 유통 중이니 한 번씩 챙겨보세요.

현대 중국을 찾아서 1<현대 중국을 찾아서>는 지은이가 30년에 걸친 연구활동과 강의 경험을 토대로 학생들과 일반 대중에게 꼭 필요한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쓴 책이다. 모두 5부 25장으로 구성된 이 책에서 지은이는 중국이 근대세계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지난 4세기 동안 어떻게 투쟁해 왔는지를 탐구한다.
그는 중국 역사의 주체 ...

현대 중국을 찾아서 2<현대 중국을 찾아서>는 지은이가 30년에 걸친 연구활동과 강의 경험을 토대로 학생들과 일반 대중에게 꼭 필요한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쓴 책이다. 모두 5부 25장으로 구성된 이 책에서 지은이는 중국이 근대세계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지난 4세기 동안 어떻게 투쟁해 왔는지를 탐구한다.
그는 중국 역사의 주체 ...

근대중국의 서양인 고문들중국의 서양인 고문에 대한 이야기인 동시에, 외국에서 외국인으로 사는 것에 대한 역사적 성 찰을 담은 책이다. 중국의 서양인 고문들은 그들의 전문분야가 무엇이든 관계없이 나름대로 중국의 진보를 돕는다는 믿음을 갖고 있었다.

마테오 리치, 기억의 궁전드라마와도 같은 그의 인생 역정을 저자는 환상적인 이야기 구조 속에 담아냈다. 이야기는 리치가 중국인에게 `기억의 궁전 짓는 법`을 가르치는 데서 시작한다. 이것은 리치가 전해주었다는 일종의 기억술. 리치가 이 기억의 궁전 안에 세우는 이미지를 따라 이야기가 전개된다. -동아일보 김형찬 기자
책장 바로가기

소피아
위에 올려주신 프랑크 드쾨터 3부작은 이북 나오자 마자 구매해서 쟁겨두고 심지어 1권은 종이책까지 사두고 (없는 줄 알고 중복구매) 몇 년을 묻어두고 있답니다. 매년 결심해요. 올해 읽을 벽돌책이라고. 하하하하. 리디셀렉트 구독하시는 분들은 거기서 보셔도 될 듯요.
저는 중국사를 체계적으로 읽어보지 않아서 얼마 전에 리디셀렉트에 올라온 케임브리지 중국사 전집이랑 클라우스 뮐한의 <현대 중국의 탄생> 모두 일단 받아두고 각잡고 좀 읽어보려고 하고 있어요. (다짐만..) <현대 중국의 탄생>부터 앞부분 읽고 있는데 900페이지라 언제 완독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현대 중국의 탄생 - 청제국에서 시진핑까지
책장 바로가기

모시모시
“ 나는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이 과거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비교적 논란의 여지가 없는 주장을 하고 있다. 당연한 말처럼 들릴 수 있지만, 시간을 넘어 과거와 현대 사이의 구체적인 연결 조직과 힘줄까지 구별해내는 것은 그렇게까지 당연한 작업이 아니다. ”
『중국필패 - 시험, 독재, 안정, 기술은 어떻게 중국을 성공으로 이끌었고 왜 쇠퇴의 원인이 되는가』 서론, 야성 황 지음, 박누리 옮김
문장모음 보기

모시모시
읽기 시작했는데 재미있습니다. 규모와 범위로 중국의 과거와 현재를 분석한다.... 대담한 시도라 아니할 수 없네요.

CTL
솔직히, 근래에 읽어본 서론 중에 가장 헷갈리게 쓴 서론입니다.
2번을 읽었어도 왜 EAST란 네 가지 개념을 중국의 흥망성쇄를 논하기 위해서 골랐는지, 과거제 도가 관련이 있다는 거를 말하려고 한다는 거 외에는 모르겠어요.
경제학에서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설명할때 쓰는 규모의 경제, 범위의 경제 개념을 왜 여기에 끌어와서 사용하는지도 잘 수긍이 안 가고요.
본문을 읽어야만 서론에서 무슨 말을 하는 지 알 수 있는 서론이라면, 굳이 서론을 이렇게 길게 쓸 필요가 있었을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