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아는 가루...핫초코는 액체가 베이스?
근데 가루를 물에 타면 액체가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수북탐독] 6. 열광금지 에바로드⭐수림문학상 수상작 함께 읽어요
D-29

꽃의요정

장맥주
갑자기 궁금해져서 찾아보니 아무 차이 없다는 의견에서부터 조금 묽게 만들면 코코아, 걸쭉하게 만들면 핫초코라고 부른다는 의견까지, 다양한 견해가 있네요. ㅎㅎㅎ

꽃의요정
코코아 하면 저 어릴 적에 집에 '마일로'가 있는 친구들이 유복한 집 자식들이란 이미지를 혼자 가지고 있었어요. 어렸을 땐 사 달라는 얘기는 당연히 못 했고, 커서는 먹을 기회는 있었지만 한 번도 못 먹어 봤네요.


borumis
와 진짜 간만에 보네요! 요즘도 이거 파나요? 스위스미스 마쉬멜로는 많이 봤는데..

꽃의요정
여러 나라에서 봤어요. 우리나라는 뭔가 들어왔다 썰물 빠지듯 유행 지나면 쑤욱 빠지는 거 같아요.
GoHo
시골쥐와 도시쥐
밀크커피와 라떼
코코아와 핫초코
뭐.. 이런 잰척하는 상관관계~ㅎ

연해
작가님의 답변을 읽고 나서 이렇게 알고 계신 분들이 꽤 많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어요. 저도 카페 일하느라 그걸 구분했던 거지, 아니었다면 한 단어로 생각했을 것 같기도 합니다.
코코아와 핫초코의 차이는 저도 생각본 적이 없었는데, 위에 @GoHo 님과 @siouxsie 님의 글을 읽으면서 가만히 끄덕거렸어요. (제 개인적인 느낌이지만) 왠지 코코아는 직접 타먹어야 할 것 같고, 핫초코는 사먹어야 할 것 같은 묘한 느낌이...?

흰벽
태초에 초콜릿이 있었고... 그것을 녹여서 (마시기 좋게 우유도 좀 섞고, 정향 같은 향신료도 좀 넣고 해서) 뜨겁게 먹는 핫초콜릿(핫초코)이 탄생하고... 그런데 그건 너무 번거롭고 고급지니까(?) 이것을 가루로 만들어서 우유나 물에 타 먹는 대중요법이 탄생한 거 아닙니까? 저는 막연히 그렇게 알고 있었는데요. 커피와 가루커피의 상관관계 같은?

장맥주
또 질문! 밀크커피와 커피우유의 차이는 뭘까요?
저는 전에는 카페인 유무인가 생각했는데, 커피우유에 카페인이 엄청 많다면서요?
(국과 찌개의 차이도 궁금했는데 그건 최근에 해결했답니다. 국물이 중요하냐, 건더기가 중요하냐의 차이인 걸로.)

꽃의요정
밀크커피는 커피이고
커피우유는 우유 아닌가요? 딸기우유, 초코우유처럼...
ㅎㅎㅎ 답하고도 실없어서 웃음이...
우유 넣어 만든 달달한 라떼가 아닌 흔히 우리가 먹는 3 in 1인 맥심 커피는 우유 아닌 크림이라 부르는 '프리마'가 들어가고, 커피 우유엔 우유가 들어간다?인 거 같아요.
밀크커피는 보통 따뜻하게도 먹지만, 커피우유는 데워 먹는 거 같진 않아요.
그 카페인 엄청 들어가 문제가 됐던 '스누피 커피우유' 마시고 제 심장이 뛰고 있음을 느낀 적이 있어요. 정말 위험한 녀석이더라고요.

장맥주
@siouxsie 님 답을 듣고 보니 저 역시 실없어서 웃음이... 바보 같은 궁금증이었습니다. ^^;;;;;;

하뭇
국. 찌개. 탕. 전골....
외국인에게 설명하기 너무 어렵습니다ㅋ

장맥주
근데 국이랑 탕은 저도 구분 못하겠는데요...? 곰국이랑 곰탕이랑 뭐가 다른 거죠? (혹시 진짜 같은 말인가...?)

꽃의요정
네이버에 찾아 보니 국과 탕이 같은 말이라고 나오는데요.
곰국이랑 곰탕은 비슷한 거 같은데, 감자국이랑 감자탕은 다른 음식 아닌가요?
혼자 국은 한글어 탕은 한자어라고 생각했는데 국이 한자어일 수도 있어 자신이 없네요....

장맥주
인터넷을 보니 별 설명이 다 나오네요. 뭐가 맞을까요?
‘국’은 고기, 생선, 채소 따위에 물을 많이 붓고 간을 맞추어 끓인 음식을 뜻합니다. ‘탕’은 ‘국’의 높임말로 쓰이기도 하고 제사에 쓰는, 건더기가 많고 국물이 적은 국을 가리킵니다. 이 둘은 일상적인 음식과 제사용 음식이라는 용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탕(湯) – ‘국’의 높임말이다. 곰탕, 갈비탕, 설렁탕 등 조리할 때 사용한 재료를 먹을 수 없는 것도 있으며, 개인 그릇에 담아 내지만, 국과 달리 상에 올린 뒤에 소금, 파 등의 부수적인 양념이 가미될 수 있다. 국물이 주로 여겨지는 음식으로 국보다는 비교적 조리 시간이 길다.

하뭇
일반적으로 탕과 국이 같은 음식이라고 하긴 하는데... @siouxsie 님 말씀처럼 상호 대치되지가 않거든요? 감자국과 감자탕은 완전 다른 음식이니까요.
국과 찌개는 작가님 말씀하신 것처럼 건더기의 비중과 국물의 농도, 그리고 상차림 방법으로 구분이 되는데 나머지는 너무 구분이 어려워요.(찌개는 끓인 냄비를 상에 올려 개개인이 덜어먹고 국은 각자 국그릇에 덜어 상에 올리는 차이)
제사에 올리는 국을 탕이라고는 하지만 그렇다고 탕을 제사용 음식이라고 하기는 어렵고요. 해물탕, 설렁탕 등등
저는 조리 시간과 방법과 재료에 좀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국과 탕은 완성된 음식의 질감(?)은 비슷하나 국은 구하기 손쉬운 재료로 일상적으로 매일 끓여 먹을 수 있는 음식이라 좀더 간편하고 조리 시간이 짧고.
탕은 좀 돈이 들어가고 신경써야 하는 재료(해물, 뼈, 고기 등등)으로 오래 끓여서 국물을 충분히 우려낸 국(그럼 또 곰국과 구분이 어려워지긴 해요. ㅋ)
전골은 가장 구분이 쉬워요. 조리가 다 되지 않은 상태에서 식탁에서 조리를 해가면서 먹는 국물 요리.

하뭇
아아! 그런데 @siouxsie 님이 예로 드신 감자탕과 감자국의 감자는 같은 감자가 아니라고 해요. 감자국의 감자는 potato를 뜻하고 감자탕의 감자는 '돼지 등뼈'를 뜻하는 말이라고 해요. 그래서 전혀 다른 음식이지만 국과 탕을 구분하는 제 기준에는 맞아요. 감자국은 일상적인 재료로 만드는 일상적인 국, 감자탕은 좀 신경 써서 오래 만들어야 하는 국 ㅋ

꽃의요정
국과 탕에도 서열이 존재한다니....
설렁국, 해물국...이상한 음식 ㅎㅎ
맞네요 감자탕은 등뼈인데!!! @하뭇
갑자기 예전에 외국인 친구가 미역국의 국과 미국 영국 한국의 국이랑 무슨 관련이냐고 물어봤던 기억이....

하뭇
단순히 발음이 같을 뿐이라고 해주면 되죠.
에이프릴의 에이와 에이프런의 에이처럼ㅋ

연해
작가님 질문에 대한 답변은 아니고, 조금 뚱딴지 같은 소리 하나 해보자면요.
저는 어릴 때요. 곰국이 곰을 끓인 국인 줄 알았어요. 엄마가 곰국 주실 때마다 자꾸 제 곰인형이 생각나 혼자 서글퍼했더랬죠. 나~중에 곰국의 곰이, 그 곰(bear)이 아니라는 걸 알고 어찌나 어이가 없던지. 쓰고도 바보 같은데, 이것말고도 너무나 당연한 걸 혼자 엉뚱하게 생각했던 게 꽤 많습니다(창피해서 차마 말하지 못하겠네요).
엑소와 bts를 구분하지 못했던 것처럼?ㅋㅋ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