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 GPT요. 방금도 챗 GPT를 이용해 영어 공부를 하고 왔어요. 영어 공부뿐만 아니라 업무 계획서 쓸 때도 꼭 필요한 친구입니다. 기대 효과 또는 예상 결과를 얼마나 잘 정리하고 예측해 주는지... 요새 들어 특이점이 머지않았음을 크게 느끼고 있습니다. 이러다가 회사에서 제 자리가 없어지면 어떡하죠😂
+ 코파일럿도 제 일상에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수북탐독] 6. 열광금지 에바로드⭐수림문학상 수상작 함께 읽어요
D-29
하느리
GoHo
스마트폰입니다.
스마트폰으로 늦게 늦게 갈아탄 경우인데..
신랑이 스마트폰으로 바꾸라고 권유할 때마다 전화를 많이 쓰는 편이 아니라 괜찮다고 했었는데요.
요리조리 공짜폰만 사용하고 있어서 사실 거액을 들여 사는 게 조금 아깝기도 했습니다..ㅎ
근데 사준다고 굳이 굳이 꼬드겨서 스마트폰으로 갈아탔습니다.
그리고.. 날개를 달았죠~☜^^☞
지금도 열심히 폰에 고개를 떨구고 있을라치면 엄청 구박을 합니다..
스마트폰으로 바꾸라고 했을 때 뭐라고 했더라... 안 해도 된다더니... 이젠 아주 들어가 사네... 등등.. ^^;
세상에! 컴퓨터를 손안에 들고 다니는 셈인데 안 쓸 수가 있나요~ㅎ
그런데 이제는.. 아직은 일상에서 소소하게만 접하고 있지만..
AI, AGI로 인해 보편적 일상에서 '적잖은'을 넘어 '엄청난' 영향을 실감하며 살아가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흰벽
날개를 달았다는 말이 왜 이리 웃기죠 ㅋㅋ

슝슝
스마트폰이 미친 영향을 무시할 수 없네요. 스마트폰으로 인해 굳이 노트북이 없어서도 작업을 할 수 있고, 자유 여행의 가속화도 구글 지도가 큰 역할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한창 Z플립에 사람들이 열광할 때, 폴더폰 써 봐서 그런지 저는 별로 매력을 느끼지 못했어요. 그저 폰의 무게나 가벼워졌으면 좋겠단 생각을 합니다. 🙂

바나나
저도 스마트폰이요. 제가 종현보다 몇살 더 많은 세대로서 이 책을 너무나 재밌게 읽고 있다는말씀 먼저 한번 드리고요(여기에 나오는 문화들이 다 동시대에 겪었던 것들이라 공감 백배에요) 처음 핸드폰이 생긴 20년여전 부터 쭉 돌이켜 봤을때 정말 상상도 못할 세상이 된 건 역시 스마트폰 때문인것 같아요. 스마트폰 하나로 집안의 가전제품의 설정을 조종하고, 쇼핑을 하고, 걸어다니면서 바로 검색해 실시간으로 오는 버스의 위치를 알아 동선을 계획하는 삶을 살거라고는 한번도 상상해보지 않았고, 날아다 니는 택시가 나온다고 해도 이렇게 놀랍지는 않을거에요.(그런건 이미 과학상상그리기 대회에서 많이 본것들이니까요 ㅎㅎㅎ)

borumis
저는 네비게이션이요. 제가 여행하거나 돌아다니면서 제일 힘든 게 길찾기에요. 지독한 길치라서.. 실은 저는 심지어 다들 하던 천리안 하이텔 채팅도 안했고 msn 채팅도 싸이월드도 페이스북 트위터도 카톡도 인스타도 계정만 만들어놓고 그냥 놓려놓는 경우가 많은 귀차니스트 극I라 소셜미디어의 영향을 많이 안 받고 살아요;; 그나마 독서 관련된 것만 위해 활용하는 (북리뷰, 책 신간, 북토크 등;;) 정도라.. 근데 제가 극I이고 토요일도 출근해야하는 오프라인 만남이 불편한 사람이어서 그렇지 꼭 만나야하면 만나서 독서모임도 가거든요? 하지만.. 길 헤매는 건 정말 legendary하다고;; 예전에 뉴욕에서 온 사촌오빠가 남대문 시장 구경하고 싶다고 해서 제가 데려갔는데 한참 헤매다가 걔가 드디어 너 길 아는 거 맞냐고 물어서 'As if. It's like the blind leading the blind.(그럴리가. 장님이 장님 이끄는 거나 마찬가지지 뭐)'라고 대답했던;;; 한국말도 잘 못하고 미국에서 계속 살아온 그 오빠가 저보다 더 잘 찾아 다니더군요;; 요즘엔 네비게이션 덕분에 미아가 덜 되는 편입니다;;

아린
오.....저도 완벽한??길치예요..
저희 회사 중국 팀원이 한국에 온 적이 있어서..서울에서 식당 찾는 데...지도보고도 못 찾으니까..그 중국팀원이 제 핸드폰 지도보고 식당 찾았어요..
ㅠㅠ
지도만 보면 안돼.. 길도 같이 봐야지..라고 하면서요.
하 지만 길치에게는 길을 본다고 방향이 보이진 ㅡㅡ 않잖아요?????
네이버 지도 없는 생활은 상상 못해요..집 근처도 저는 지도 키고 걸어다녀요 ...

연해
위에 @borumis 님도 그렇고, @아린 님도 그렇고. 저 또한 타고난 길치(?) 중 한 명이라 반가운 마음으로 읽었습니다. 저는 심지어 네이버 지도를 봐도 이상한 곳으로 잘 가요. 길이 아닌 곳을 개척해나가는 마음으로 겁도 없이 뚜벅뚜벅 잘 휘젓고 다닙니다(그래서 걷는 걸 좋아하는지도요). 내비게이션을 봐도 길이 여러 개 나왔을 때는 대체 어디서 꺾으라는 건지 헷갈릴 때가 많은데(그래서 조수석에 앉으면 운전자에게 하나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이건 제가 방향 감각이 없는 건지, 시야가 흐린 건지. 도무지 저도 저를 이해할 수가 없어요.

borumis
길을 본다고 방향이 보이진 않는다는..ㅋㅋㅋㅋ 너무 공감이 갑니다...
전 매번 갔던 길도 자구 자동적으로 네비를 켜게 된다는;;

선경서재
학교에서 처음 플로피디스크 수업을 했던 기억이 떠올랐네요. 당시 집에 컴퓨터가 없던 저는 그 자체로 강렬했던거 같아요. 학교 컴퓨터 수업을 좋아했고, 중학교 때는 학원도 다녔고, 대학졸업 후 컴퓨터언어를 배우러 다니기도 했으니… 흥미가 있어 배운 것들은 긍정적인 기억, 추억으로 남아 있네요.

borumis
저희 애들은 플로피디스크가 뭔지 모르더라구요.. 예전에 넥슨 컴퓨터박물관 가서 보여줬더니 엄청 신기하다고..^^;;;

꽃의요정
이젠 USB도 잘 모르는 세대;;;

장맥주
아악...!! 안 돼!! 헐...!!!

아린
저희 딸은 오늘.. 약수터가 뭐냐고 물어봤어요.
지점토도 문방구도..뭐냐고 물어보고요
클레이랑 다이소에 익숙해서 그런지..저 용어를 들어본 적이 없다고 해서..좀 놀았어요 ..
물체주머니도요.ㅋㅋ.

borumis
ㅋㅋㅋㅋㅋ 약수터;;;
문방구는 아직 있지 않나요? 아.. 문구점이라고 하나? 하긴 전 문방구랑 만화방은 참새가 방앗간 못 지나치듯 학교와 집 다음으로 제일 많이 가는 곳이고 주말엔 거의 살다시피 했는데 요즘 애들은 주로 그런 곳보다는 학원에서 많이 지내고 문구류도 다 학교에서 주거나 부모님이 다 구매해주시죠..;;; 전 게으른 엄마라 애들한테 다이소에서 사오라고 시키는;;;(덕분에 애들이 다이소 특파원같음;;)

아린
문구점도 주위에 없고..준비물을 다이소나 이마트에서 사다보니..낯선 단어인가봐요.
특히 문방구는 무슨 방구냐며 ㅡㅡ ....엄청 웃어대더라고요.
웰컴드링크는 알지만 문방구는 모르는 세대와 함께 살고 있어요..

꽃의요정
알파문구! 없나요? 저희 아이는 시댁과 친정에 너무 맡겨 키웠더니 전세대 언어, 전라도 사투리는 잘 알아요. (좋은 것인가...)

borumis
아흑..;; USB도 모르다뇨.. 설마;;

장맥주
9.11을 아주 옛날에 일어난 역사적 사건으로 여기고 말하는 젊은이들도 있더라고요. 하긴 그게 그렇긴 합니다만...

연해
우선 다른 분들의 답변을 읽으면서 공감하는 부분이 많았어요. 그에 비해 제 답변은 좀 시시할 수 있는데요. 저에게 가장 직접적으로 '놀라움' '이 거야말로 신세계!'를 경함하게 해준 건 사실 블루투스 이어폰입니다. 무선 이어폰이라고 하죠.
저는 청력이 좋은 편이라 오감 중에서도 소리에 특히 예민한 편인데요. 그런 의미에서 이 이어폰을 쓸 때는 세상과 저를 분리시켜준다는 느낌을 자주 받아요. 유선 이어폰은 자주 엉키고, 특히나 겨울에는 옷이 두꺼워 사방에 이어폰이 걸리면서 존재감을 몹시 발휘하거든요. 근데 무선 이어폰은 자유자재로 활동이 가능하니까 정말 편하답니다(꼭 광고 하는 것 같다아...).
제가 디지털 기기에 돈 쓰는 걸 극도로(?) 싫어하는 편인데(핸드폰은 전화랑 문자만 되면...), 블루투스 이어폰에는 돈 쓰는 게 아깝지 않더라고요(물론 어디까지나 제 기준입니다). 처음에 무선 이어폰이 삼성에서 나왔을 때, '이걸 이 가격에 산다고?' 라며 펄쩍 뛰었는데, 몇 년을 쓰면서 수긍하게 됐습니다(쿨럭).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