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은서점 2024 생각학교 도서

D-29
impulse -> 충동, not 충돌 오타인 듯.
용기는 꼭 필요하다. 왜냐하면 당장의 현실과 눈앞의 미래만을 내다보게 될 때, 정의로운 사회를 건설하려는 과제는 항상 희망이 없는 듯 보일 것이기 때문이다.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장, 97쪽,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본업이 신학자이자 목사여서 그런가.. 이번 장은 저번 장들에 비해 많이 시적이고 감동과 열정에 호소하는 듯한 문장들이 많은 듯하다. 읽기에는 더 수월하나 무신론자 입장에서 보기에는 다소 불편했다. 그리고 다소 서양과 기독교 중심이어서 다른 지역의 다른 종교적 입장에서도 다루면 어땠을까 하고 의문이 생긴다.
진화적인 천년왕국주의는 항상 안락한 특권 계급의 바람이다. 왜냐하면 이 계급은 자신들이 역사에서 절대자가 갑자기 나타난다는 사상을 받아들이기에는 너무나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 이 계급의 이상은 역사 속에 있으며 최종적인 승리를 향해 그 길을 가고 있는 것이다. 이 계급은 신과 자연, 현실과 이상을 동일시하는데, 이는 그 계급이 보기에 고전적 종교의 이원론적 사상들이 너무 비합리적이기 때문이 아니라 (설사 비합리적이라 하더라도) 현대 사회의 야수성으로 고통받는 사람들만큼 고통을 받지 않아서 현대 역사를 재앙이나 파국으로 보지 않기 때문이다.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징. 98쪽,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brutality를 자꾸 야수성이라고 번역하는데 차라리 잔혹성이 낫지 않을까?
종교란 항상 절망의 끝에 세워진 희망의 성이다. 사람들은 절대적인 입장에서 보게 되기 전까지는 개인적 사실들과 사회적이고 도덕적인 사실들 양자를 안이하게 보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그들을 절망으로 몰아넣었던 바로 그 절대주의가 그들의 희망을 다시 소생시켜준다. 진정으로 종교적인 사람의 상상력에서 역사를 심판하는 신은 동시에 역사를 구원할 것이다.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장, 98쪽,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종교의 확고한 도덕적 자원은 종교적 · 도덕적 자원의 증가를 통해 사회를 구원하려는 종교적 도덕가들의 희망을 정당화시킨다. 가장 순수한 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소망들은 헛된 것이다. 종교의 정신은 개인의 생활을 순화하고, 보다 밀접한 사회적 관계들에 건전함을 부여하는 데 있어서는 상당한 힘을 발휘하지만, 현대 사회의 아주 복잡하고 정치적인 문제들에 대해서는 그렇지 못하다. The undoubted moral resources of religion seem to justify the religious moralists in their hope for the redemption of society through the increase of religio-moral resources. In their most unqualified form, these hopes are vain. There are constitutional limitations in the genius of religion which will always make it more fruitful in purifying individual life, and adding wholesomeness to the more intimate social relations, such as the family, than in the problems of the more complex and political relations of modern society.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장, 98쪽/ p. 49,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정당화시킨다 --> 정당화시키는 듯하다.
종교는 또한 자아를 절대화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설사 신이 거룩하고 초월적일지라도 신은 그 속성과 인간에 대한 관심으로 인하여 인간과 관련을 맺게 된다. ... religion results also in the absolutising of the self. It is a sublimation of the will-to-live. Though God is majestic and transcendent he is nevertheless related to man by both his qualities and his interest in man.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장, 99쪽/p.49,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It is a sublimation of the will-to-live 문장 빠져있음. 그것은 삶에 대한 의지의 승화이다.
개인의 생활과 의지를 종교적으로 구별함으로써 그것은 역사적인 상황 속에서 보다 결정적인 힘을 가질 수 있다. ... the religious sanctification of the individual life and will, may make it a more resolute force in the historic situation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장, 101쪽/p.50,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sanctification을 '구별'이라고 하기보단 '신성화, 청정화'로 번역할 듯 함. 단지 구별한다는 것은 역사적으로 결정적인 힘을 갖기에는 다소 부족한 소극적인 자세같음.
사실 삶에 대한 의지의 종교적 승화도 역시 그 의지를 사회적으로 그리고 역사적으로 확대한 것일 것이다. 저 세상에서의 포상은, 약자에게는 체념을 가져다 주지만, 강한 자에게는 초인적인 영웅적 행위를 하도록 자극할 것이다.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장, 102쪽,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신과 인간 사이의 대조에 비추어 볼 때 인간적이고 역사적인 차원에서의 선과 악의 대조 같은 낮은 차원의 대립은 모호해지고 만다는 사실은 절대자에 대한 종교적 갈망이 갖는 하나의 흥미 있는 측면이다. 궁극적으로는 신에 대한 반역, 그리고 신 앞에서의 오만방자함만이 죄로 간주된다.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장, 103쪽,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통상 개인은 신의 은총에 의해 구원을 받을 수 있지만, 사회는 악마에게 내던져져 있다. 그래서 사회적 문제는 어떠한 윤리적 기초에 의해서도 해결될 수 없다고 선언한다.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장, 107쪽,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이건 이 책에서 작가의 개인은 도덕적이고 사회는 비도덕적이라는 thesis와 밀접한 태도가 아닌가?
이 모든 것은 인간의 마음과 상상력의 일정한 한계들을 설명하지 못한 채 그냥 내버려둔다. 이 한계로 인하여 종교적인 사랑의 정신은 불가피하게 그것을 공언하는 공동체의 규모에 따라, 그리고 그것이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관계의 비인격성과 간접성에 따라,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것이 직면하는 상황의 복잡성에 비례하여 그 힘의 일부를 상실하게 된다.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110쪽,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이러한 선의지는 그것의 고무를 위해 인격적 접촉에 의존하고, 또 욕구를 생생하게 드러내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달려있다. 우리는 우리에게 자연적인 요구를 하는 사람들과 아무 요구도 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우리의 사랑을 가장 관대히 표시한다.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장, 111쪽,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종교적 관용을 더욱 촉진시키는 완벽주의는 이상적인 결과보다는 완벽한 동기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질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고 있다. 동기를 중요시하는 태도는 종교 생활의 불변적 특징이다. 이는 나름대로 장점을 갖고 있기는 하지만, 사회의 이익을 위해서는 해로운 것이다. 종교적 박애주의라는 이름으로 저질러지는 많은 부조리는 이러한 동기주의에서 비롯된다.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장, 112쪽,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자신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 방해가 되는 이러한 완강한 장애물과 맞닥뜨린 종교적 이상주의자는 정치적 · 경제적 관계들의 세계를 자연적 충동에 내맡겨두든지, 아니면 자신의 원리가 실제보다 더 깊게 정치적 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상정하든지, 둘 중 하나를 택하는 경향이 있다. 다시 말해서 종교적 이상주의자는 패배주의나 감상주의에 빠질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장, 114쪽,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다산북스/책 증정] 『공부라는 세계』를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그믐북클럽X연뮤클럽] 28. 뮤지컬 안내서 읽고 공부해요 ①<뮤지컬 익스프레스 슈퍼스타>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경계를 허무는 [비욘드북클럽] 에서 읽은 픽션들
[책 증정]  Beyond Bookclub 12기 <시프트>와 함께 조예은 월드 탐험해요[책 증정] <오르톨랑의 유령>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9기 [책 증정] <그러니 귀를 기울여>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3기 [책 증정] <지구 생물체는 항복하라>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2기
연뮤클럽이 돌아왔어요!!
[그믐연뮤클럽] 6. 우리 소중한 기억 속에 간직할 아름다운 청년, "태일"[그믐연뮤클럽] 5. 의심, 균열, 파국 x 추리소설과 연극무대가 함께 하는 "붉은 낙엽"[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노란 책을 찾아라!
안노란책 리뷰 <초대받은 여자> 시몬 드 보부아르안노란책 리뷰 <time shelter> 게오르기 고스포디노프안노란책 리뷰 <개구리> 모옌안노란책 리뷰 <이방인> 알베르 카뮈
[그믐클래식] 1월1일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4월의 그믐밤엔 서촌을 걷습니다.
[그믐밤X문학답사] 34. <광화문 삼인방>과 함께 걷는 서울 서촌길
스토리탐험단의 5번째 모험지!
스토리탐험단 다섯 번째 여정 <시나리오 워크북>스토리탐험단 네 번째 여정 <베스트셀러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스토리 탐험단 세번째 여정 '히트 메이커스' 함께 읽어요!스토리 탐험단의 두 번째 여정 [스토리텔링의 비밀]
셰익스피어와 그의 작품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1. <세계를 향한 의지>[북킹톡킹 독서모임] 🖋셰익스피어 - 햄릿, 2025년 3월 메인책[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봄은 시의 세상이어라 🌿
[아티초크/시집증정] 감동보장!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아틸라 요제프 시집과 함께해요.나희덕과 함께 시집 <가능주의자> 읽기 송진 시집 『플로깅』 / 목엽정/ 비치리딩시리즈 3.여드레 동안 시집 한 권 읽기 13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