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초반에 언급된 후 마땅한 답을 찾지 못한 채 읽고 있었는데 그 답을 알게 되었습니다. 선주가 거듭해서 "우리는 고귀하니까"를 되뇌이던 장면도 함께 떠올랐습니다 ㅠ
[한강 작가님 책 읽기] '소년이 온다'를 함께 읽으실 분을 구합니다.
D-29
공돌이
나무18
저도 "우리는 고귀해."에 꽂혔습니다. 빨갱이라는 프레임으로 살육을 정당화하며 짐승보다 못한 취급을 받은 1980년 광주 시민 이전에, 서슬퍼런 박정희 통치가 있었음을 상기시키는 5장의 구절이 1장에 대한 답이 됨을 저도 깨닫게 되네요. 왜 시신을 태극기로 감싸고, 왜 애국가를 불렀는지가 설명되네요... '공돌이'님 정말 감사합니다.
공돌이
아닙니다 "나무18"님 ㅎㅎ. 열심히 참여해주셔서 제가 더 감사드립니다!

Elkay
군부정권에 반대하는 민주화 운동을 총칼앞에서도 멈추지 않았기에 이런 비극이 생긴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던차에 이 문장이 절 부끄럽게 하더군요. 현시대에 좀 더 사람답게 산다고 해서 과거를 그저 지난일로 넘기려 했고, 내가 겪지 않았다고 해서 외면하려 했던 것을 들킨 기분이었습니다. 그분들이 당한 폭력은 저항했기 때문이 아니라 인간성을 상실한 폭력에 짓밟힌 것이었음을 잊어서는 안되겠습니다.
공돌이
다들 11월 19일까지 5장에서 인상적이었던 문장도 남겨주세요!!

율리안나J
....몸을 증오하게 되었다고, 모든 따뜻함과 지극한 사랑을 스스로 부숴뜨리며 도망쳤다고 증언할 수 있는가? 더 추운 곳, 더 안전한 곳으로.오직 살아남기 위하여.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p.167, 한강 지음
문장모음 보기
나무18
우리는 고귀해.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p.155, 한강 지음
문장모음 보기
유갱
저는 1장에서 애국가를 부르는 부분이 도통 이해가 되지 않아서 문장 수집으로 했었는데요, 앞선 분들께서 말씀해주신 것처럼 이 장을 통해 답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사실 소름이 돋을 정도로 놀랐습니다) 다들 좋은 인사이트 제공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율리안나J
“ 그저 겨울이 지나간게 봄이 오드마는. 봄이 오먼 늘 그랬드키 나는 다시 미 치고, 여름이먼 지쳐서 시름시름 앓다가 가을에 겨우 숨을 쉬었다이. 그러다 겨울에는 삭신이 얼었다이. 아무리 무더운 여름이 다시 와도 땀이 안 나도록, 뼛속까지 심장까지 차가워졌다이. ”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p.190, 한강 지음
문장모음 보기
공돌이
“ 너무 늦게 시작했다고 나는 생각했다. 이곳의 바닥이 파헤쳐지기 전에 왔어야 했다. 공사 중인 도청 건물 바깥으로 가림막이 설치되기 전에 왔어야 했다. 모든 것을 지켜본 은행나무들의 상당수가 뽑혀나가고, 백오십년 된 회화나무가 말라 죽기 전에 왔어야 했다. 그러나 이제 왔다. 어쩔 수 없다 ”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p. 200, 한강 지음
문장모음 보기
공돌이
소름이 돋은 순간이었습니다... 이 순간 설마 서술자가 한강 작가님 본인인가 싶어 나무위키를 뒤져봤는데, 실제로 한강 작가님께서 중흥동에서 태어났고, 남동생과 오빠가 있고 ㅎ초등학교를 나왔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그 순간 소름이 돋으면서 이 사람은 진짜 미쳤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대체 어디까지가 허구이고 어디까지가 사실인지... 그 경계가 모호해지는 순간
공돌이
“ 희영이 고모가 무사했던 것처럼 나는 무사했다. 일가친척 중 누구도 다치거나 죽거나 끌려가지 않았다. 다만 그해 가을 나는 생각했다. 차가운 장판 바닥에 배를 대고 엎드려 숙제를 하던 방, 그 부엌머리 방을 그 중학생이 쓰지 않았을까. 내가 건너온 무더운 여름을 정말 그는 건너오지 못했나. ”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p. 208, 한강 지음
문장모음 보기
공돌이
"내가 건너온 무더운 여름을 정말 그는 건너오지 못했나." 라는 표현이 뭔가 강렬히 다가왔습니다. 상상하기조차 어려운 일이었겠다는 생각이 들며 한강 작가님의 심정이 제게 직구로 꽂히는?느낌이었습니다.
공돌이
다들 11월 22일까지 6장, 에필로그에서 인상적이었던 문장도 남겨주세요!!
나무18
아니제.
그럴 수 없는 것을 내가 알제.
내 손으로 너를 묻었은게.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p.181<꽃 핀 쪽으로>, 한강 지음
문장모음 보기
나무18
동호의 어머니는 어느 날 동호의 환영을 봅니다. 한 중학생의 뒷모습에 동호라고 착각하고 한 참을 쫓아가봅니다. 부르지 못한 채 뒤를 밟다가... 정신이 들어 말하는 장면이네요. 여기서 한참을 울었습니다. 대한민국의 땅에서 대한민국의 군인에게 총맞아 죽은 어린 아들을 묻은 어머니는 울지도 못한 어머니의 슬픔을 묘사하는 장면은 너무나도 참혹합니다. 이렇게 고통을 묘사하는데, 눈물 한방울 허투루 보여주지 않아서였을까요? 독자인 제가 대신 한참을 울었습니다.
같은 페이지의 아래 인용문을 읽으며 평평 울고 통곡하다가 책을 읽기 힘들기도 했습니다. 작가는 정말 이런 일이 인간사회에 있을 수 있냐고 강변하는 것 같았습니다.
나무18
“ 느이 형들이 입술을 꽉 물고서 울고 섰던 것도 아슴아슴 떠오른다이. ... 그때 내가 울지도 않고 뗏장 옆에 풀을 한움큼 끊어서 삼켰다든디. 삼키고는 쪼그려앉아서 토하고, 다 토하면 또 풀을 한움큼 끊어다 씹었다든지. 근디 나는 하나도 기억이 안나야. ”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p.181, 한강 지음
문장모음 보기
나무18
제대로 써야 합니다. 아무도 내 동생을 더 이상 모독할 수 없도록 써야 합니다.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p.211, 한강 지음
문장모음 보기
나무18
동호의 형을 찾아가 동호의 이야기를 쓰겠다고 한 작가가 형에게서 동생이 죽은지 30년만에 동생의 이야기를 쓰겠다는 작가에게 당부한 말입니다.
책속의 '나'는 작가 자신이었다는 생각이 드네요. 한강님이 518을 소설로 쓰기 위해 만난 유가족들이었겠네요. 생존자들에게도 감정 이입하는 작가의 상상력과 표현력에 감탄합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제대로 기억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이 소설도 여러번 읽겠다고 다짐합니다. 아프지만, 그래서 더욱더 제대로 분노하고 성찰하리라 다짐해봅니다.
나무18
“ '아무도 내 동생을 더이상 모독할 수 없도록 써야합니다.' 심장을 누르듯 가슴 왼편에 오른손을 얹고 나는 걷는다. 캄캄한 도로 가운데에서 얼굴들이 어슴푸레 빛난다. 살해된 사람들의 얼굴. 내 가슴에 대검을 박아넣은 살인자의 공허한 얼굴. ”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p.211, 한강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