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에
대중성 높고 재밌는거 딱!! 하나만 추천해주시와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D-29

오구오구

Beaucoup
오호 저도 살만 루슈디 유심히 보고 있었는데 진지하게 아미타브 고시 파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ㅋㅋㅋ 노벨경제학상 이후 가장 빠른 성지가 될 거같아서 미리 댓글을 남겨보며 ㅋㅋ

소피아
저도 살만 루슈디가 노벨상에 가장 근접한 작가라고 생각하는데요, @YG 님과 비슷한 이유로 앞으로도 받지 못할거라고 여겨집니다. 한림원은 노벨상을 주는 행위를 통해 현 시점에 필요한 메시지를 던지더라고요. 불난 데에 화약을 투척하는 일은 아마 없지 않을까요?

YG
@소피아 @CTL 살만 루슈디 이야기가 나와서 괜히 생각난 책인데. 저는 재미있게 읽었는데 이상하게 (특히 한국에서는) 존재감이 없었던 루슈디 책이 있습니다. 『피렌체의 여마법사』(문학동네). 저는 아주 재미있었고, 역시 대가! 이런 생각도 했었어요.

피렌체의 여마법사인도 출신의 영국 작가로 늘 '서로 다른 두 세계의 만남'이라는 주제에 깊이 있게 천착하며 격동적인 동서양의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삼아 정치, 사회, 문화, 종교 전반에 대한 문제의식을 방대하고 촘촘한 서사로 풀어냈던 살만 루슈디. 그가 이번에는 중세 역사의 정점을 이루었던 두 시대, 두 공간을 한자리에 불러냈다.
책장 바로가기

오구오구
이름이
익숙해서
찾아보니 한밤의 아이들 작가군요~~~

소피아
헉 sea of poppies 이 책 아시는 분이 계시다니.. 오래 전에 제가 소설만 읽던 때가 있었는데, 어디서 이 책 추천받았었나, 뭐 그래서 무려ㅜ하드커버 중고책으로 샀는데.. 지금까지 읽지 않고 있네요? @YG 님, 아미타브 고시가 노벨상급인가요?? 와 놀람. <연기와 재>는 재미있을 것 같아요.

YG
네, 높이 평가받는 작가입니다. 특히 기후 위기 + 탈식민주의 키워드를 작품에 녹여내는 작가라서 요즘 더 각광 받는 듯해요.

테이블
<중국필패>를 다 읽지 못했는데 또 새 책에 발을 들여 놓게 되었네요. 서문은 익숙했던, 지금은 다 까먹은 얘기들이 많네요. 어렸을 때 보던 무협지나 판타지 소설 얘기를 다시 읽는 느낌입니다. 이 분야의 독서는 이번 세기에는 처음이기도 하고요. 현대의 포퓰리즘과 대중운동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측면에는 매우 관심이 갑니다. 마오주의야 말로 진영 간의 총력전에 대한 이데올로기일테니까요.

YG
@테이블 님도 어렸을(?) 때 『중국의 붉은 별』 읽었던 세대신가 봅니다. :)

중국의 붉은 별 - 개정판<세계를 뒤흔든 열흘>, <카탈루니아 찬가>와 더불어 세계 3대 르포 문학의 하나로 손꼽히는데, 그중에서도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중국 혁명에 대한 아주 잘 잘 알려진 역사적 고전일 뿐만 아니라 저널리즘의 한계를 뛰어넘어 빛나는 역사적 작품이 되었다.
책장 바로가기

장맥주
고등학생 때였나, <중국의 붉은 별>을 수업 시간에 정말 감동적으로 설명해주셨던 윤리 선생님이 계셨죠. 제가 그 책을 읽은 건 몇 년 뒤였는데, 이후의 대약진운동, 문화대혁명 같은 사건과 별개로 책 자체가 저널리즘의 기본을 지키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는 한 마디로 그냥 나쁜 책이고 거기에 더해 못 쓴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오주의>가 저 책의 신화를 해체한다니, 기대가 큽니다.

YG
앗, 저도 고등학교 때 역사 선생님께서 처음 추천 해주셨어요!

장맥주
1990년대 초반 필독서 같은 느낌이었는데... 그 시절이 참 복잡한 시기이기도 했구나 싶네요. ㅎㅎㅎ

YG
이 책을 읽다 보면, 우리나라의 1980년대, 1990년대와 겹치는 여러 모습을 볼 수 있어요. 아, 요즘의 어떤 모습과 겹치는 부분도 많네요;

장맥주
요즘의 어떤 모습과 겹칠 거 같다는 생각 때문에 책에 기대가 큽니다.

테이블
^^;; 1학년 때인지 읽었던 것 같고, 그 이후 프랑스 맑스주의나 68 혁명 관련 독서에도 영향을 받았겠지요. 막상 중국사나 중국 정치에 대해서는 별로 읽어보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마오쩌둥의 소책자 몇 개를 읽긴 했었는데 기억은 잘 안납니다).

소피아
아이고, 정신차려보니 11월이고 또 다른 책으로 넘어 갔네요. 저쪽 책 다 못 읽었;;; (9장 읽는 중)인데, 이 쪽 책모임 열려 있어서, 우선 이리로 들어왔습니다. 일단 등록부터 해두어야 따라갈 수 있다! 저는 이 책이 리디셀렉트에 올라와있을때 읽어야 한다는 강력한 목적의식(?)이 있습니다! (분명 올라왔었는데 내가 읽기 전에 사라지는 책들이 있어서 ㅠㅠ) 벽돌책 모임 사상 제가 먼저 시작한 책은 또 처음이네요 ^^ 곧 따라 잡히겠지만, 꾸준히 읽어보렵니다.

소피아
하수상한 시절에 갑작스러웠던 소식인데 (그믐 중국 벽돌책 모임 소식을 들었던걸까? ^^*), 이 기사 제목보고 좀 웃었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109047?sid=101

YG
아, 저도 오늘 이 기사 보고 얘깃거리로 공유할까, 생각했었어요. :)

borumis
아 제목은 진짜 낚일만한데요? 근데 내용은 뭔가 좀 가슴이 답답해지네요.. 미국선거가 다가오는군요.. 조마조마..
그래그래요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모르겠지만 오늘치 분량 서문은 읽었어요. 우선 읽는데 의의를 두겠습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