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탈린도 책 벌레였다고 하는데
마오쩌둥도 독서를 좋아했군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D-29

오구오구

장맥주
책을 많이 읽으면 좋은 사람이 된다는 주장에 대해 저는 늘 마오쩌둥과 스탈린의 사례를 들어 반박합니다. 히틀러도 대단한 독서가였다고 하더라고요.

오구오구
혁명은 폭동이며 한 계급이 다른 계급을 전복시키는 폭력적인 행동이다.
•••·•• 그들은 과거 모든 이들의 아래에 있었지만 지금은 모든 이들의 위에 서 있다."
『마오주의 - 전 세계를 휩쓴 역사』 55, 줄리아 로벨 지음, 심규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데니스 오닐은 "여성은 하늘의 절반을 떠받칠 수 있다는 관념 역시 마오쩌 둥의 영향이었다"고 말했다. "쿠바 혁명은 매우 남성적이었다.
.... 하지만
마오주의 혁명은 느낌이 상당히 달랐다. 사회적 관계가 일방적인 명령이 아 니라 아래에서 위쪽으로 참여자들 스스로에 의해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는 느낌이었다. 여성들은 의식을 고양시키는 여러 단체들을 조직했고, 중국 의 '소고대회품*'에서 낡은 방식을 비난하면서 자신들이 받은 억압에 대해 거침없이 이야기했다.“ ”
『마오주의 - 전 세계를 휩쓴 역사』 65, 줄리아 로벨 지음, 심규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폭력과 애국심, 그리고 무엇보다 실용주의야말로 왕자의 자리를 차지하 려는 아맘에 불타는 이의 가장 강력한 도구 상자이다. 그러나 이념적 통체가 있다면, 다시 말해 단일한 권위의 당 노선을 집결하여 강력하게 주장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면(설사 과장된 미사여구와 현실 사이에 항시 격차가 있다 고 할지라도) 그것들을 한데 묶을 수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는 1936년과
1945년 사이에 서북지역에서 마오쩌둥(그리고 그의 대필가)에 의해 조작된 것들이다. ”
『마오주의 - 전 세계를 휩쓴 역사』 66-67, 줄리아 로벨 지음, 심규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정치적 권력 획득에서 물리적 수단과 이념적 정당성이 중요하지만 말과 실제가 다른 것은 위선이고 허구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오구오구
“ "마오쩌둥의 가장 큰 재능은 중국 인민을 노예로 만드는 동시에 인민들이 그를 국가의 주인처럼 느끼게 한 데에 있다. ••••• 전 세계 독재자들은 모두 마오쩌둥을 연구했다." 정풍운동과 군중노선은 마오쩌둥 정당의 사상 통일과 '사상 공작'의 틀을 제공했다. 또한 이는 대중 동원의 근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공산당이 자신들의 방법을 '민주적'이라고 부를 수 있는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이후 말레이시아의 정글, 캘리포니아의 흑인 사회, 페루의 산맥, 네팔의 산지 등에 산재한 마오주의자들 역시 이러한 방식을 따랐다. ”
『마오주의 - 전 세계를 휩쓴 역사』 76, 줄리아 로벨 지음, 심규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오류가 있을 수 없는 전제자제해이자 조타수의 영도에 의한 당의 통제를 신성화하면서. 문 화대혁명 시기에 마오쩌둥에 대한 숭배가 정점에 도달하던 모습을 직접 목 도한 페루의 아비마엘 구스만을 포함한 또 다른 나라의 '친애하는 영도자'들 은 이에 큰 영감을 받았다. ”
『마오주의 - 전 세계를 휩쓴 역사』 82, 줄리아 로벨 지음, 심규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영도자란 표현이 중립적인 언어인가봐요. 영도자 쑨원. 이런 표현이 익숙하지 않네요 ㅎ

장맥주
사전적 의미 자체는 중립적이네요. '영'이 혹시 靈이나 英인가 싶었는데 領이군요.
근데 저 단어는 어릴 때 친구들 놀려 먹기 위해 '민족의 영도자이며 겨레의 태양이신 철수' 뭐 이런 식으로 써먹었던 경험밖에 없네요. ^^

오구오구
그러게요. ㅋㅋㅋ

장맥주
“ 그녀는 장제스가 감히 위협할 수 없는 소수의 좌파 인물 가운데 한 명이었다.만약 그녀를 해치고자 한다면, 그의 부인인 메이링이 그를 그냥 놔두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쑹칭링은 당시 공산당이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뛰어난 인재를 흡수하는 데 누구보다 뛰어난 능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살아 움직이는 광고판과 같았다. ”
『마오주의 - 전 세계를 휩쓴 역사』 104~105쪽, 줄리아 로벨 지음, 심규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2장 한참 읽는 중에 문득 궁금한 게 생겼습니다. 저자인 줄리아 로벨은 이 책을 영어로 썼겠죠? 한국어 번역자인 심규호 교수는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중문학 박사 학위를 얻은 분이시던데, 중국어 전공자가 영어 책을 번역한 걸까요? 중국에 대한 책이고, 심 교수님이 영어를 못하지도 않으실 테니까 그 편이 나으리라고 출판사가 판단한 걸까요?

소피아
저도 @장맥주 님처럼 중간에 번역자 찾아보고 이상하다 싶었어요. 첫 장부터 동사 시제가 좀 헷갈리네? 싶었고 (최근에~라고 시작한 문장 동사 시제가 최근이 아닌 경우), 중간중간에 묘하게 불편한 문장들이 나타나서, 중국어스러운 표현인가? 넘어가기도 했어요. 예를 들면, "마오쩌둥 동지는 그것에 대한 필리포프 동지(스탈린)의 개인적인 설명에 즉각 감사할 것이다!" 나, “마오쩌둥이 한반도에서의 위험한 충돌에 대해 그다지 흥취를 지니지 않은 것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이런 문장들이요. 즉각 감사? 흥취를 지니다?

장맥주
이런 의견 즉각 감사합니다. ㅋㅋㅋㅋㅋ

소피아
이럴 줄 알았으면 이상했던 표현 죄다 모아둘 걸 그랬다 싶네요. 이런 어설픈 표현 완전 좋아하는 데 ㅎㅎ

CTL
'줄리아 로벨은 이 책을 영어로 썼겠죠?' 하시는 질문 너무 재밌었습니다. 번역하신 분이 중국어 전문가이시군요. 출판사에서 참 재밌는 선택을 했네요. 줄리아 로벨이 워낙 스토리를 잘 만드는 저자이니 서사보다는 전문적인 내용 전달 면에 있어서는 중국전문가를 번역자로 선택하는 게 더 영리한 선택이었을 수도 있겠군요.
중국 관련해서는 중국어 원작 - 한국어 번역이 제일 이해하기 쉬운 것 같아요. 아쉬운 점은 영어 번역본이 더 빨리 나오거나 구하기 쉬운 경우가 많다는 거지요....

borumis
맞아요 저도 가격;;(도서관에서 4만원 넘는다고 신청 반려되었어요;;)때문에 영어원서로 읽고 있는데 특히 북한 관련해서 이걸 한글 번역으로 읽어도 참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장맥주
<중국필패>를 함께 읽을 때 언급했었던 <용과 독수리의 제국>도 특이한 경우입니다. 저자인 어우양잉즈는 영어로 책을 썼고, 그걸 중국어로 번역한 중국어 판본이 뒤에 나왔어요. 그런데 한국 출판사는 영어 원서가 아닌 중국어 판본을 번역하는 걸 택했습니다. 요즘 시대에 보기 드문 중역판인 셈이죠. 중국어 판본이 영어 원서보다 더 내용이 구체적이었다고 하네요. 번역은 중국어 번역가가 맡았습니다.

용과 독수리의 제국 - 나라는 어떻게 흥하고 망하는가! 진秦·한漢과 로마, 두 제국의 천년사유라시아 대륙의 동서 양쪽에 있는 진(秦)·한(漢)제국과 로마제국의 발전 과정을 비교한 책. 두 제국의 흥망성쇠를 실마리로 삼아, 양대 제국의 정치·경제·군사·민족·사상·관습 등 다방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총체적으로 탐구했다.
책장 바로가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