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영어로는 as glorious as the Yangtze 쯤되겠네’ 생각했어요 ㅋㅋ 단어대단어 한국어로 바꾸니 묘하게 이상해서 ㅎㅎㅎ 양쯔강 만큼 대단하다는 말이겠죠? 대체 왜 수영을 양쯔강이랑 비교한단 말인가?
6장에 이상한 표현도 웃긴 표현도 진짜 많았어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D-29

소피아

borumis
이렇게 옆에서 아부할 때 마오쩌둥은 개인 수영장에서 여유롭게 배영을 하고 있었을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ㅎㅎㅎ 이 외에도 propaganda의 글들, 특히 노래들과 시! 너무 오글거려요;; 아프리카 학생들이 교육용 영화 보면서 전혀 웃기려고 하지 않은 의도의 장면에서 막 웃었다는데 왜 그랬는지 감이 오더라구요..ㅋㅋㅋㅋ
그래그래요
조용히, 다른 분들 대화도 읽으면서 125페이 지를 읽고 있어요. 따라가고 있지는 못하고있지만 (재미 위주의 책은 결코아니지만) 읽다보니 머리가 아프네요?ㅋㅋ 그만 읽을까요?ㅎㅎ

YG
@그래그래요 그래도 읽을 만하시면 함께 완독까지!

YG
저는 오히려 다음과 같은 대목이 흥미롭더라고요. 아프리카 여러 나라들이 중국, 소련, 중국과 타이완의 경쟁에서 실익을 도모하는 모습들.

borumis
네 경쟁에서 실익을 도모하다 결국 호구가 된 꼴이지만;;

YG
“ 아프리카에서 마오쩌둥의 모험으로 인해 중국은 대가를 치러야만 했다. 마파셴의 회고록에서 볼 수 있다시피, 아프리카 여러 나라들은 원조국에서 최대한의 가치를 끌어내는 데 능숙했다. 중국과 소련, 중국과 타이완의 경쟁은 일부 사람들이 그들을 저울질하도록 만들었다. 따라서 개발도상국이나 고군분투하는 게릴라들이 마오쩌둥에 대해 공개적으로 존경심을 표명하는 것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면 안 된다. ”
『마오주의 - 전 세계를 휩쓴 역사』 310쪽, 줄리아 로벨 지음, 심규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소피아
이거 제가 위에 인용한 ‘마이웨이’하는 잠비아 상황이랑도 너무 비슷하죠. ㅎ
그러믄요
그쵸, 다 결국은 self interest 이겠죠. 특히 식민지를 거친 상황에 무슨 의리나 믿음이 남았겠나요. 예전에는 종교의 이름으로 정당화 했겠고 그 다음은 사상이라지만 그럴리가요

소피아
제가 6장에서 새로 배운 속담은 바로 이것.
“코끼리가 싸울 때 짓밟히는 것은 풀이다"라는 스와힐리어 속담 —>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다“랑 비슷하지 않나요?

borumis
ㅎㅎㅎㅎ 지역적 특색이 잘 나오는 속담.. 근데 코끼리가 그냥 걸어갈 때도 짓밟히는 건 풀인데.. 뭔가 우리나라 속담이 더 와닿는 건 제가 한국인이라서 그런 거 겠죠?

소피아
“ 오늘날 아프리카에서 중국의 존재는 1960~70년대 마오쩌둥이 ZANLA를 후원할 당시 중시했던 '혁명적 돌풍'보다는 짐바브웨의 다이아몬드 광산에 대한 막대한 지분을 포함한 안전한 경제적 수익과 정치적 안정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
『마오주의 - 전 세계를 휩쓴 역사』 6장, 줄리아 로벨 지음, 심규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소피아
요즘 아프리카의 문제는 19-20세기에 들이닥쳤던 유럽 국가들이 떠나고 나니, 러시아 용병들과 중국이 몰려 들어온다는 거 같아요. 우리가 쓰는 휴대폰, 반도체 같은데 들어가는 천연자원 대부분이 이 지역 에서 나는 터라 앞으로 더 불안해 질 것 같구요.
https://www.bbc.com/korean/articles/cgm7219dvv3o
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65371032
https://n.news.naver.com/article/422/0000680670?sid=104
밥심
7장까지 읽다보니 은근슬쩍 잔머리가..
패턴이 5장부터 11장까지 동일하잖아요. 지역만 다르지 중국의 직/간접 지원하에 마오주의가 활용되면서 해당 국가에 혼란이 오는데 결과는 중국의 기대되로 되거나 안 되거나 둘 중 하나였다. 그래서 벽돌책의 부담을 이겨내지 못하고 12장으로 점프하려다가 그래도 이건 아니지 하며 주말 아침에 8장으로 넘어갑니다.

borumis
우왓 벌써!!! 전 이제서야 7장 시작했어요..^^;; 그래도 베트남전쟁은 워낙 고등학교 때 자세히 배워서 좀 더 아는 내용이 나오네요..^^;;

YG
@밥심 아, 그러시면 안 돼요!!! :) 또 눈치 채셨겠지만 지역이 달라지면서 시간도 좀 더 최근으로 오잖아요. 1960년대에서 1970년대, 1980년대로. 그러니 차근차근 읽으셔야 합니다!
밥심
잠깐 유혹에 흔들렸지만 마음을 다잡고 다시 잘 읽어나가고 있습니다. ㅎㅎ 그리고 시간이 점점 최근으로 오는 건 인지 못하고 있었는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YG
벽돌 책 함께 읽기 기강은 제가 잡습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