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광수는 정신보단 육첼 더 치는 것 같다. 아마도 이 정신 때문에 남을 그것으로 억압해 그렇다고 보는 것 같다. 하긴 정신인 말은 거짓말을 해도 몸은 거짓말을 못한다는 말도 있으니까.
인간에 대하여
D-29
Bookmania
Bookmania
내가 봐도 몸이 정신을 지배하는 것 같다. 늙으면 속이 좁아진다.
Bookmania
이성은 머리와 통하고 감정은 가슴과 통한다.
Bookmania
마광수가 제일 싫어하는 것은 지금까지 지배하온 서양과 백인 남성, 기독교, 그 다음에 유교, 동양, 정신 하여간 현재 주류가 되어 사람들을 억압하는 것을 혐오하는 것 같다. 나하고 너무 같다.
Bookmania
모든 강제 제도는 가진 자들이 자기 것을 지키기 위해 만든 것 같다.
Bookmania
동물의 본능 중에서 최고로 치는 것은 식욕과 성욕(번식욕) 같다.
Bookmania
동물은 뭔가 남기려고 기를 쓴다. 지금은 새끼를 안 낳으려고 하니 글이나 생각이라도 남기는 게 좋을 것이다.
Bookmania
선진국일수록 출산율이 주는 건 아직은 삶의 여유(먹고살만하기)가 있기 때문이다. 자기가 죽을 지경이 되면 일단은 자손을 더 남기려고 한다.
Bookmania
인간은 성을 번식만이 아닌 즐기려고 해서 거기에 죄의식을 덮어씌운 거라고 한다.
Bookmania
마광수는 그래도 동양사상을 쳐주는 것 같다.
Bookmania
정상적인 여자라면 처음엔 불안하니까 남자에게 거리를 둔다. 그러다가 완전히 믿게 되면 남자에게 더 잘 해주고 챙겨준다.
Bookmania
마광수는 남녀 간의 정신적 교감보단 육체적 일체감을 더 중시하는 것 같다.
Bookmania
마광수는 정신보단 육체를 신보단 유물론을 더 존중하는 것 같다.
Bookmania
노예근성
강력한 독재자가 나타나
자신의 정신과 육체를 이끌기를 원하는,
자발적인 노예가 되기를 바라는 인간이
세상엔 더 많아 민주주의가 들어서기 힘든 것이다.
그리고 이런 인간들의 숫자가 많아 그동안 쌓은
민주주의도 하루아침에 무너질 수 있는 것이다.
Bookmania
문학의 쓸모
문학은 효용이, 쓸모가 없다, 는 말을 하는데,
논리 사고력 증진이나 타인에 대한 공감력 향상,
현상에 대한 통찰력 제고, 다양성 존중 같은 것도 당연히
있겠지만 나는 가장 큰 효용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詩學)에서 강조한 카타르시스(排泄)라고 생각한다.
배설함으로써 고통이 치유되는 것이다.
인간이 사는데 이것보다 더 중요한 게 있을까.
자신을 슬픔과 불안으로부터 구원하는 것보다.
이 배설과 분출이 문학의 가장 큰 쓸모라고 생각한다.
좋을 땐 굳이 도움이 필요 없다.
그러나 자신이 진짜 힘들고 고통스러울 때 자기를
도와주는 게 있는 것만큼 효용 있는 게 또 있을까.
좌절하고 무기력에 빠진
자신을 다시 일어서게 하는 힘을 주는 것.
자신이 상처로부터 주저앉고, 깊은 슬픔 속에서 헤맬 때
문학을 접하면서 배설하고 분출해 치유되어
원래대로 돌아오는 것이다.
문학 속의 인물이 고통 속에 있을 때 그 고통을 같이 느끼며
내 고통에 대해 위로받고 서서히 아물어
다시 나는 일어서는 것이다.
문학은 고통 속에서 허덕이는 나를 살린다.
Bookmania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식욕과 성욕이라거 하는데 일본은 AV로 성욕이 충족되는 것 같고 한국은 AV가 안 되니 먹방이 뜨는 것 같다.
Bookmania
순간적 육체적 쾌락을 위해 장시간의 고통을 감수하며 인생을 살자는 내용이다.
Bookmania
인생에 있어 의미라고 하면 찰나적 육체 쾌락을 위해 지금의 고통을 그런대로 감수하며 사는 것.
Bookmania
나는 소식한다. 배때기가 부르면 책이 잘 안 읽혀지기 때문이다. 단지 그뿐이다.
Bookmania
한자는 좀 엄격하고 궈위적인데 한글은 그냥 가볍게 구어체로만 쓰인다는 그런 상식이 있는 것도 엄연한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