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팅방에 참여는 거의 못했지만 조용히 따라가는 사람도 여기 있다고 알려드립니 다.^^ 덕분에 과거에 1권만 읽고 미뤄둔 <위대한 유산>과, 영화로만 보았던 <올리버 트위스트>를 이번 기회에 완독했습니다. 몰랐던 사실들도 많이 알게되었구요. 이제 <두 도시 이야기>도 시작하려 하는데 앞의 두 책과는 달리 전혀 사전정보가 없어서 조금 두렵습니다. 줌미팅 시간에 프랑스 혁명이 배경이 된다고 하셨었나요? (죄송해요, 앞부분을 집중해서 듣지 못했어요.) 제가 역사에 상당히 약한 사람이라 중요한 밑바탕은 못 보고 스토리만 취할수도 있을것 같은데,,,염두해 두고 읽으면 좋을 역사적 사건이나 사회 상황을 간략하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산호의 빅토리아 시대 읽기] 찰스 디킨스 ③ <두 도시 이야기>
D-29

쭈ㅈ

박산호
쭈ㅈ님 조용히 따라오셨군요 ㅎㅎ 두 권 다 완독하셨다니 기쁘고 축하드려요. 이번 소설은 프랑스 혁명이 배경이지만 사실은 혁명이 시작되기 전 프랑스가 어떤 분위기였고, 그래서 혁명이 일어날 수 밖에 없었다는 정서를 주로 묘사하는 소설이기 때문에 특별히 역사적 사건이나 상황을 따로 읽지 않으셔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다 읽고 나서 프랑스 혁명에 대해 간략하게 찾아보시는 게 더 재미있을 수도 있어요.^^ 그리고 배경은 역사적 배경이지만 삼각 관계 로맨스도 핵심 요소이기 때문에 긴장하지 않고 읽으시면 됩니다.

김혜나
조금 늦었습니다. <두 도시 이야기> 완독할 수 있을지 자신없지만 조금씩 따라가 보겠습니다^^

박산호
군중들의 묘사가 압권입니다. 함 보세요.
우연
이번에 이상하게 줌미팅 안내문자가 오지 않았습니다 ㅠㅠ 뒤늦게 이 방에 들어왔네요;;

박산호
에고, 그런 일이. ㅠ.ㅠ 안타깝네요. 두 도시 이야기도 끝까지 완독해주세요!

그믐클럽지기
아이고, 그러셨군요. 확인해 보니 단말기 재부팅 또는 펌웨어 업데이트 중에 문자가 가면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다고 나오네요. 불편을 끼쳐드려 죄송합니다.
줌 미팅에서 나온 작품 소개 등은 계속 이 모임에서 박산호 작가님께서 천천히 풀어주실 예정이에요. <두 도시 이야기> 함께 읽고 우연 님의 감상도 많이 들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흰벽
5장 도입부를 읽으니 피터 브뤼헐의 그림 ‘성 마틴 축일의 와인‘이 생각났어요! ㅋㅋㅋ 이번에 유럽 여행에서 보고 이 그림에 반해서 엽서도 사왔었는데 말이죠 ㅎㅎ

흰벽
5장에서 거리에 만연한 굶주림의 묘사를 읽으니 시대는 다르지만 조지 오웰의 ‘위건 부두로 가는 길‘ 에서 탄광마을의 묘사가 떠올라요.

장맥주
<위대한 유산>, <올리버 트위스트>, <두 도시 이야기>를 연이어 읽다가 문득 소설에서 ‘보여주기’와 ‘말하기’의 기능이 다르고 각각의 이유로 필요하구나 하고 느껴요. 저는 <올리버 트위스트>는 엄청 빠르게 읽었고, <두 도시 이야기>는 조금 지지부진한데, 한편으로는 <두 도시 이야기>가 더 세련되게 느껴지거든요. 그게 <올리버 트위스트>에는 ‘말하기’가 꽤 많이 들어 있었고, <두 도시 이야기>는 ‘보여주기’ 비중이 높아서 그런 거 아닌가 하고 생각 중입니다.

장맥주
그리고 <두 도시 이야기>는 다른 두 작품에 비해 유머가 확연히 적은데 그것도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듯해요.

신아
오 저도 어렴풋이 느낀 바로 그 느낌을 정말 정확하게 표현해 주셨어요. 감사합니다:)
<올리버 트위스트>의 '말하기', 잦은 유머 때문에 빠르게 읽히긴 했지만 어딘가 가볍게 느껴지는건 사실이었어요. 물론 그 부분이 무조건 부정적으로 다가왔다는 말은 아닙니다. ㅎㅎ
아직 <두도시 이야기>를 시작하지 못했는데, 앞 작품들에 비해 좀더 무게감있고 진중한 분위기일 것 같은 예감은 드네요.

장맥주
그게, <올리버 트위스트> 읽을 때는 좀 가볍다고 느꼈는데 <두 도시 이야기>를 붙들고 있으니 그 가벼움이 그립네요. ^^

장맥주
다행히(?) 12장에서 스트라이버 씨가 분위기를 다소 코믹하게 만들어줍니다. 짜증도 살짝 입니다만.
화제로 지정된 대화

그믐클럽지기
● 오프라인 모임 공지 ●
관련된 안내 문자를 11월 26일 오전에 신청자 전원에게 보내드렸습니다. 패키지 선택하셨으나 혹시 문자 받지 못하신 분들은 댓글로 알려주세요.

김혜나
앗 저도 모임 안내 문자는 못 받았습니다. 2시 전에 잠깐 들를 수 있으니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장맥주
11장을 읽고 있는데 마성의 여인 루시 마네트의 매력이 외모 외에 뭔지 알 수가 없어 슬픕니다. 디킨스도 '예쁘면 됐지!' 하고 쓴 것 같네요.
보름삘
디킨스가 루시에게 예쁨과 착한 마음을 주었네요 ㅋ 예쁘고 착하면 됐지! 라고 생각했나봐요...

장맥주
제가 욕심이 많은 남자인가 봐요. 예쁘고 착한 것만으로는 부족한데? 너무 밋밋한데? 이러고 있어요. ^^

신아
오 <위대한 유산>의 에스텔러도 비슷했던 것 같은데요! 외모가 그녀가 가진 매력의 전부였던... ㅎㅎㅎ
저는 아직 진도를 내지 못해서, 댓글만 보고 순간적으로 떠오른 생각이었습니다! 뜬금없는 비교였다면 추후 읽어보고 정정하겠습니다. ㅋㅋㅋ
참여 제한 모임입니다
참여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