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다섯 시간 후면 게시판이 마감되네요.
모임 시작하자마자 난데없이 내란에,
모임을 마칠 때는 안타까운 항공기 사고 소식이…
마음 붙일 곳 없는 12월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그래도 우리는 책을 읽고 저는 책을 만들겠지요.
내년에도 버터북스의 책으로 꾸준히 찾아뵙기를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버터북스/책증정] <오늘의 역사 역사의 오늘> 담당 편집자와 읽으며 2025년을 맞아요
D-29
화제로 지정된 대화

버터씨

Kel
좋은 기회 좋은 책으로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버터씨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우리 내년에도 책 많이 읽을 수 있도록 눈 건강, 척추 건강, 마음 건강!
건강길만 걸읍시다!

강츄베베
이런 참사가 벌어져 마음이 아픕니다😢
시간이 지나면 언제나처럼 각자의 자리에서 열심히 살아가겠지요. 역사는 기억하고 있습니다. 다시는 이런 안타꺼운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이번의 사고를 교훈삼아 재발방지대책이 강구되기를 바랍니다. 그 동안 북클럽 이끌어 주시느라 고생많으셨습니다.

버터씨
강츄베베 님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늘 건강하세요!

달콤한유자씨
“ 3월 29일 한때 밀림이었던 곳
'오염'이란 단어를 모르고 살던 원주민들은 강에서 배를 드러낸 채 죽어 있는 물고기들을 보고 처음으로 이 단어를 알게 되었다. 늪지가 염호로 변하고, 강변의 나무들이 말라 죽기 시작했으며, 동물들이 도망쳤고, 대지는 더는 열매 맺지 않았으며, 사람들도 병에 걸린 채 태어나기 시작했다. ”
『오늘의 역사 역사의 오늘』 p.100,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지음, 남진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달콤한유자씨
“ 5월 30일 화형장에서 성단으로
이단자
상습범
배교자
우상숭배자
사람들은 그녀를 화형에 처한 다음 강물에 멀리 떠내려가라고 다리 위에서 센 강에 던졌다.
그녀는 가톨릭 교회와 프랑스 왕국의 재판을 받았다.
그녀의 이름은 잔 다르크였다. ”
『오늘의 역사 역사의 오늘』 p.165,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지음, 남진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달여인
저의 28일 원픽은 10월 28일.
베네수엘라의 시몬 로드리게스는
“자유를 복제한 사람이 아닌 자유를 만든 사람만이 자유로울 수 있다고, 복종하는 사람이 아닌 생각하는 사람만이 자유로울 수 있다”고 이야기했다.
생각하고 스스로 자유를 찾아 만드는 사람. 추운 겨울 도로에 나와 응원봉을 드는 사람들. 그들은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자유를 만드는 사람들임에 틀림이 없다.

달콤한유자씨
“ 10월 30일 화성인들이 온다!
침공은 픽션이었지만 두려움은 사실이었다.
두려움은 계속되었다. 화성인들은 러시아인이었다가 한국인이기도 했고, 베트남 사람이었다가 쿠바인이 되었고, 니카라과 사람이 되기도 했으며, 아프가니스탄인, 이라크인, 이란인이기도 했다. ”
『오늘의 역사 역사의 오늘』 p.325,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지음, 남진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달콤한유자씨
31일을 고르는 대신 두개의 30일을 골라봤어요.
오늘은 아침부터 너무 슬픈 사건을 보고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하루를 보냈습니다. 올해의 12월은 유독 차갑고 힘든 시기라고 느껴지네요....

버터씨
달콤한유자씨님의 닉네임이 더욱 잘 어울리는 계절인 것 같습니다. 따뜻함&달콤함 잃지 않는 겨울 보내세요. 내년엔 우리 더 많이 읽고 더 많이 나눠요!
달여인
6월 29일
정통한 소식통이 전하듯 천국과 지옥은 이 세계의 또 다른 이름에 불과하며,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천국과 지옥을 마음 속에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오늘의 역사 역사의 오늘』 P.198,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지음, 남진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달여인
4월 30일
기억을 요구하는 집회
“모두는 모두를 위해!”
. . . .
“우리 모두가 우리의 아들들이다.”
『오늘의 역사 역사의 오늘』 P.133,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지음, 남진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달여인
마지막 31일의 원픽은 12월 31일.
‘Abracadabra Alakazam’ ‘말한 대로 이루어지다.’
달여인
‘오늘의 역사 역사의 오늘’
덕 분에 라틴 아메리카의 역사를 조금이나마 엿본 느낌입니다.
근, 현대까지 이어지는 불평등의 이야기들, 아이러니한 사건들. 아직도 진행 중인 인권과 자유에 대한 투쟁. 독립을 위해, 또는 독재에 맞서 싸웠던 많은 사람들 그들 중 특히 많은 여성들의 활약이 인상적이었습니다. 12월 우울한 우리의 진행 중인 역사안에 빠른 종식과 회복을 기대해 보며 우리나라의 희망적인 미래를 위해 주문을 외워봅니다.
‘아브라카다브라’ “너의 불꽃을 세상 끝까지 퍼트려라.” ’말한대로 이루리라.‘
감사합니다. 버터씨님을 비롯한 많은 분들께 인사드립니다.
”새해엔 건강하시고 복 많이 받으세요.“

버터씨
달여인 님,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새해엔 더욱 “아브라카다브라!”

하금
“ 모든 것이 한꺼번에 붕괴하는 것에 미쳐버린 도이칠란트 국민은 범인 색출에 나섰다. 유대인, 급진 좌파, 동성애자, 집시, 의지가 약한 사람, 지나치게 생각이 많은 사람 등이 그 대상이 되었다. ”
『오늘의 역사 역사의 오늘』 p.39 (1월 30일, 투석기),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지음, 남진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금
그녀는 이 집 저 집 부지런히 돌아다녔지만, 어느 곳에서도 눈에 띄지 않았다. 그러다 처음으로 사람 대접을 받은 곳을 찾았다.
『오늘의 역사 역사의 오늘』 p.101 (3월 30일, 가사 노동자의 날*),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지음, 남진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금
30일의 픽을 2개나 고르고 말았네요. 그 중 가사 노동자의 날 이야기만 해보려고 합니다.
2024년 대한민국 국회 앞에서 가사 노동의 가치를 인정 받기 위한 시위가 있었습니다. 아마 3월 30일의 이야기를 읽지 않았다면 평생 몰랐을 이야기라 가슴이 뜨끔했네요.
올해 9월, 한겨레에 국내에서 발생한 필리핀 가사 노동자 차별을 주제로 ‘글로벌 돌봄 체인의 비극‘이 라는 제목의 칼럼이 실렸습니다. 폄훼 된 가사 노동의 가치는 영원히 인정 받지 못하고 우리가 사회적으로, 그리고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에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떠밀려 내려가게 되는 걸까요?
사회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당장 정부가 필요한 가족, 즉 자녀를 양육하는 가정은 이 돌봄 노동의 가치가 새로워질 때 돌아올 것입니다. 당연하죠. 요새 사람들에게 시간은 금이고 그 시간을 사용하는 나는 금보다 귀합니다. 시간과 나를 무한으로 들여야하는 돌봄 노동, 가사 노동이 그 가치를 인정 받지 못한다면 그 누구도 앞장서서 가정을 꾸리지 않을겁니다. 결국 사람이 귀함을 알아야한다는 이야기였네요.
-
관련 기사와 칼럼을 첨부합니다.
https://m.khan.co.kr/article/202406141426001#c2b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1159286.html

하금
그녀는 활활 타오르는 불을 손으로 만졌으며, 모닥불 위에서 맨발로 춤췄다. 손으로 모닥불을 휘젓고, 붉게 달아오른 철판에 앉았다.
『오늘의 역사 역사의 오늘』 p.166 (5월 31일, 불에 타지 않는 여인),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지음, 남진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