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자씨 님, 책 잘 받으셔서 기쁩니다.
여신과 어머니신, 그리고 어머니들에 대한 이야기들이 책 이곳저곳에 절절하게 실려 있습니다.
함께 꼭 끝까지 읽어보아요.
[버터북스/책증정] <오늘의 역사 역사의 오늘> 담당 편집자와 읽으며 2025년을 맞아요
D-29

버터씨

borumis
이것도 참 씁쓸해지더라구요.. 간절한 바람을 담아 기도합니다.

강츄베베
저는 제 생일인 10월 1일이 원픽입니다😆
예전에는 국군의 날이라고 공휴일이었는데 어느 때부터 공휴일에서 해제가 되면서 그저 국방특수일로만 인식되기 시작했습니다. 더불어 제 생일도 주목을 덜 받기 시작.. .음...아무튼 그렇습니다😅

버터씨
두 달 전 오늘 생일을 맞으셨군요!ㅎㅎㅎ

호디에
[1일]
2월 「반쪽짜리 제독」 과 9월 「반역자」가 기억에 남습니다. 에스파냐의 해군 제독 블라스 데 레소에 대한 이야기를 읽으면서 이탈로 칼비노의 <반쪼가리 자작>이 생각나더라고요. / 다른 하나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탈영죄로 처형된 2천 명의 도이칠란트군 장병을 위한 기념비가 2009년에 세워졌다는 에피소드였는데요, 마지막 문장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점점 세계전 양상을 띠고 있는, 근래에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쟁들을 저절로 떠올리게 되더군요.

호디에
다만, 그들은 전쟁에 대한 반역자이다.
『오늘의 역사 역사의 오늘』 p264,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지음, 남진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버터씨
2009년이라니... 너무 늦은 것 같기도 하지만, 기억은 힘이 세다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borumis
앗 저도 여기서 칼비노의 소설이 생각나더라구요..ㅎㅎㅎㅎ 찌찌뽕~

호디에
@borumis 저만 그런 게 아니었군요. :)

물고기먹이
오 이렇게 매달의 1일을 읽어나가는 재미가 정말 솔솔한데요ㅎㅎㅎ
저의 원픽은 7월 1일 입니다! 저의 첫째 아들의 생일이기도 해서 그런데요.
내용이 좋아서 원픽인 달이 있을 수 있는데 저는 날짜가 좋아서 7월 1일의 내용을 조금 더 찾아보았습니다.
넬슨 만델라를 알면 알수록 정말 멋진 리더십의 분이라는 걸 새삼 알아가고 있습니다

버터씨
제 친구들도 저마다 자신의 생일을 가장 먼저 찾아보더라고요ㅎㅎ (마치 라잌 포춘쿠키!)

borumis
오 아드님 생일날 꼭 알려주세요^^ 그러게요 멋진 분인데 한 나라의 영웅은 다른 나라의 테러리스트가 될 수도 있구나..하는 씁쓸한 생각이 들더라구요.

새벽서가
1일의 이야기들 다 좋았지만, 로마인이 정해놓은 1/1 일과 오리를 이야기한 5/1 의 이야기가 가장 좋았어요. 꼴찌도 없고 일등도 없는 인간사회는 평생 불가능하겠구나라는 씁쓸한 생각도 들었구요. 책제목을 1/1 의 이야기가 말해주는구나. 각자의 문화에 따라 새해를 시작하는 날짜는 다를지 몰라도 우리는 모두 이런 날들의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borumis
저는 5월1일이요. 얼마전 수능이 치러지고 지금도 주변에서 아직 면접 보거나 고민하고 노력하는 아이들을 보면서.. 함께 나는 기술을 우리는 언제 가르칠 수 있을까? 우리 자신도 서툰데..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 책의 원제가 Los hijos de dias (Children of the Days)여서 그런지 갈 수록 이 모든 날들을 통해 바통을 물려받고 미래의 날들을 향해 날아가는 아이들을 생각하게 됩니다.

조영주
오오 시작! 이따 집가서 바로 오늘치 읽겟심다!

Kel
제 원픽은, 5월 1일의 슈퍼오리는 없다였어요. 다른 좀 더 음미하고 알아보고 싶은 것도 있었지만 일단 가장 인상적이고 가장 저를 웃음짓게 만드는 이야기 였어요. 참 조금 부끄럽지만 지도에서 코스타리카와 우루과이 파라과이의 위치를 알았어요.




버터씨
노동자의 연대에 대해 갈레아노 작가님처럼 아름답고 우아하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또 있을까 싶어요.
'제조업'으로 분류되는 출판사에서 20년 동안 일하면서도 스스로 생산자라는 느낌이 들지 않았는데
요즘은 저 자신을 생산자라고 정체화하려고 합니다.
갈레아노 작가님이 알려준 것처럼.
김수연입니다
처음 참여하게 된 독서모임인데. 이렇게 책까지 소중하게 받게되다니. 시작이 너무 좋네요! 아무래도 라틴아메리카 관련 내용이 많다보니.. 아래 주석을 봐도 상황이 조금 낯선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도 평소 접하지 못한 곳들의 이야기에 신기하면서도, 그 나라들에서도 우리나라와 비슷한..불행하고도 불편한 역사적 사실들이 있다는것이 씁쓸하기도 하네요. 5월 1일 노동자의 날.. 다른 분은 슈퍼오리는 없다라고 표현하셨는데 저도 그 느낌에 너무 공감합니다. 오리들이 떼지어 이동하는 모습들은 익숙하지만. 앞 오리가 뒤 오리를 날아오르도록 도와준다는 생각은 못해봤었네요. 그리고 11월 1일 동물을 조심해.. 사람들의 무분별한 기술의 도입과 과도한 생산으로 인해 매번 전염병이라는 이름으로 죽어가던 동물들이 떠오릅니다. 작가님의 말씀처럼.....<<누가 책임을 졌을까. 동물이었다. 언제나 간단하게 이런 식이었다. 반면 식품을 고위험 화학 폭탄으로 바꾼 세계적인 농산물 기업들은 아무 책임도 지지않았다....>>
여운이 많이 남네요. 단순히 동물복지 계란을 구매하는 것만으론.. 인간의 책임이 덜어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

버터씨
저도 그 꼭지를 읽으며 살처분(그 단어조차도 너무나 무심하고 끔찍한) 장면들이 떠올랐습니다. 반종차별주의에 대한 관심도 생겼고요.
김수연입니다
그리고 여담입니다만.. 아마도 실현은 어렵겠지만. 동일한 형식으로 우리나라 작가가 이러한 구성으로 글을 썼다면. 그래서 라틴아메리카의 1월 1일과 우리나라 1월 1일의 역사적 사실을 동시에 볼수있다면 흥미로웠을것 같습니다. 책 구성이 너무 좋아서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