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날 심각한 생각만 하는 것 같아서 기분 전환 삼아 찾아본 12월 23일의 이야기, 과테말라 안티구아의 세마나 산타(semana santa): 부활절 축제 입니다.
'한 땀 한 땀 길거리 정원을 꾸몄다.'라는 말에 호기심이 일어서 서치를 해봤는데, 정말 길 위에 수를 놓는 장관을 볼 수 있네요. 언젠가 과테말라에 가본다면 세마나 산타 시기를 맞춰서 가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핸드폰으로 이 장관이 담길까 싶네요 ㅎㅎ
https://www.cntraveler.com/gallery/exploring-guatemalas-vibrant-easter-tradition
[버터북스/책증정] <오늘의 역사 역사의 오늘> 담당 편집자와 읽으며 2025년을 맞아요
D-29

하금
달여인
6월 23일
낡은 가구들, 시대에 뒤처진 욕망들, 그리고 세월에 닳은 물건들과 감정들을 불에 던져, 새로운 것이 태어나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오늘의 역사 역사의 오늘』 P.190,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지음, 남진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달여인
6월 23일 불.
엊그제 동지라 팥죽먹고 해의 길이가 길어지는 밝 음의 희망을 우리 나라에 걸어보았네요. 오늘 동지가 아닌 동유럽과 북유럽의 하지 축제인 ‘성 요한의 축제‘(Kupala Night)에 대해 알게되어 흥미로왔습니다. 마치 대만의 풍등 축제 같습니다. 스펀에서 풍등에 불 밝히고 소원을 빌었는데 슬라브의 풍습에도 불 밝히고 소원을 비는 모습이 있네요. 풍등, 불꽃놀이, 모닥불, 등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대요. ‘한여름의 크리스마스’라고 불리기도 한답니다.
낼 모레가 크리스마스네요.
이 곳에 함께하시는 모든 분들 편안한 성탄절 보내세요.~~~^^
https://namu.wiki/w/%EB%85%B8%EC%B8%A0%20%EC%BF%A0%ED%8C%8C%EC%9C%84
https://culture.pl/kr/article/kupala-night
포르투갈 성요한 축제
https://yees.tistory.com/m/421
GoHo
아주 잠시지만 축제에 망 치들고 함께 뛰어다닌 것 같네요~ㅎ

김사과
훗날 이런 주장이 나올 겁니다. '아무 죄도 없는 사람들을 학 살했다.' 그러나 그들이 결코 무고하다고 할 수는 없지요.
『오늘의 역사 역사의 오늘』 94p.,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지음, 남진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달콤한유자씨
“ 9월 23일 항해
감방에서 그녀는 모닥불이 남긴 목탄을 발견했다.
이 목탄으로 벽에 낙서를 했다. 별로 원하지는 않았지만 배를 그리기도 했다. 배는 벽에서 떨어져 나와 이 여자 죄수 를 먼 바다로 데려갔다. ”
『오늘의 역사 역사의 오늘』 p.286,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지음, 남진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달콤한유자씨
Mulatta라는 말의 어원을 오늘 처음 알게 되었네요. 노새를 뜻하는 mulo에서 유래했다니... 하루하루 이 책을 읽으며 새롭게 알아가는 것이 참 많습니다.
한 여성을 마녀로 몰아가는 것, 종교재판소의 부적절한 판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고통스러운 삶을 살다 갔을지 생각하면 두렵고 시린 마음이 듭니다.

Kel
24일에 내 원픽, 6월 24일 태양.
이날은 안데스 초원가 산지에서 해가 뜰 때부터 태양의 축제 '인티 라이미'가 열린다고.
....태초엔 밤만 있었으나 티티카카호수에서 첫번째 여자와 남자가 생기고 태양도 함께 태어났다. 신중해신 비락 코차가 남자 여자가 서로 볼 수 있도록 태양을 만들었다...고.
새해에는 새로운 태양이 떠서 새로운 마음으로 모든 것을 새롭게 바라보며 긍정할 수 있기를 바란다.

호디에
[22일]
3월 「물의 날」과 4월 「지구의 날」과 9월 「자동차 없는 날」을 같이 꼽았습니다. 이미 지구 곳곳에 사막화가 진행되어서 지구 전체적으로 물이 부족한 지경에 이른 건 다들 아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개인적으로나 제도적으로나 실생활에서 인지되어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더라고요. 쓴 만큼 요금을 내는데 무슨 상관이냐고 말할 수도 있지만, 정말 얼마 안 가서 아무리 많은 돈을 내고도 쓰지 못하는 날이 올 수도 있고요. / 벌의 숫자가 점점 줄어든다고 해요. 벌이 멸종하면 그야말로 인류 종말이라는 말을 합니다. 화학 약품과 전자파 방출은 토양 및 생명체를 오염시키고 죽인다는 사실은 식상할 정도로 익히 알고 있죠. 또한 환경 오염 문제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면서도 경제적인 측면 때문에 어쩌지 못하는 경우도 수두룩 합니다.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겠지만, 우선해야할 것이 무엇인지 진지하게 고민하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호디에
[23일]
7월 「쌍둥이」를 꼽았습니다. 국제통화기금과 세계은행을 쌍둥이로 빗댄 것이 적절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새로운 형태의 제국주의라고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생각하는데요, 저자가 짧지만 제대로 꼬집었더군요.

호디에
“ 쌍둥이는 전 세계 정부를 다스렸다. 아무도 쌍둥이를 선택하지 않았던 나라에도 숙명과도 같은 복종의 의무를 강요하였다. 감시하고, 위협하고, 처벌하고, 시험을 봤다. "잘하고 있지? 숙제는 다 했어?" ”
『오늘의 역사 역사의 오늘』 p222,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지음, 남진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호디에
[24일]
1월 「문명의 아버지」를 꼽았습니다. 이와 비슷한 얘기를 알고는 있었는데, 책에 쓰여 있는대로라면 윈스턴 처칠, 너무 무서운 사람입니다. 문명화되지 못한 미개인들에게 독가스를 사용하는 것에 전적으로 사용 것에 찬성하고, 그 이유가 공포심을 퍼트릴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문명화'라는 것도 결국 본인들 기준일텐데요. 적어도 공포심을 언급한 부분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지적한 것 같군요. 눈에 보이지 않는 세균이나 화학 약품이야말로 우리의 공포심을 극대화시키니까요.

하금
그러나 이 이단자들을 용서함과 동시에 바티칸은 종교재판소의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추기경을 성인에 봉했다.
『오늘의 역사 역사의 오늘』 p.159 (5월 24일, 이단자들과 성자),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지음, 남진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금
24일의 픽, 종교마저도 자유로울 수 없는 권력의 균형맞추기 게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동상을 바티칸 정원에 세우면서 동시에 그를 압박한 추기경을 성인에 봉하는 건 바티칸을, 그리고 종교를 지켜보는 두 세력의 비위를 모두 맞추기 위해 진땀 빼는 바티칸의 외줄타기 묘기 같단 생각이 드는 짧은 이야기였네요.
하늘의 뜻을 땅에 옮기려고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땅의 갈등까지 하늘의 뜻에 개입하게 되는걸까요. 종교가 추구하는 신의 뜻을 온전히 땅 위에 옮기는 건 위계질서가 잡힌 단체 보다는 개인 단위로 수행할 때 보다 빠르고 확실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김사과
“ 10월 24일 본다는 것
안토니는 1932년 오늘, 네덜란드의 델프트 시에서 태어났고, 유명한 화가인 요하네스 페르메이르도 같은 달에 태어났다. 두 사람은 보이지 않던 것을 보려고 노력했다. 페르메이르는 어둠 속에 숨은 빛을 추적했고, 안토니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우리의 친척인 작은 미생물의 비밀을 엿보기 위해 노력했다. ”
『오늘의 역사 역사의 오늘』 319p.,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지음, 남진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버터씨
메리 크리스마스! 오늘은 크리스마스 이브입니다.

버터씨
그러자 미르나는 이렇게 응수했다.
우리 나라에선 책을 내면 죽은 목숨인데.
그런데도 그녀는 책을 냈고,
결국 칼에 맞아 죽었다.
『오늘의 역사 역사의 오늘』 127,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지음, 남진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버터씨
제가 출판인이라 그런지 4월 24일 <출판의 위험성>이 가볍게 읽히지 않네요.
이런 시대에 책을 낸다는 게 다 무슨 의미인가 싶지만,
이런 시대이니까 꼭 책을 내야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
4월 24일의 역사였습니다.
오늘, 시선이 멈춘 페이지는 어디인가요?
GoHo
11월 24일 할머니
현생 인류가 이렇게 복작복작 살아가면서 '메리 크리스마스~' 인사를 나눌 수 있게 해주신...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의.. ㅎ
https://m.blog.naver.com/ktcid1688/223481728283
'루시라는 별명이 지어진 데에는 사연이 있다. 화석을 발굴했던 당일, 도널드 존슨 박사와 동료들은 발굴장에서 영국의 록밴드인 비틀즈 The Beatles 의 노래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https://www.youtube.com/watch?v=naoknj1ebqI)’ 를 듣고 있었는데, 그날 밤 발굴팀의 캠프에서 흘러나온 이 노래가 루시라는 별명을 짓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한다.'


조반니
<7월 24일 죄인들은 저주 받을 거야>
예수와 사도들이 사용했던 아람어에서는 '빚'이라는 단어에 '죄'라는 의미도 있다.
『오늘의 역사 역사의 오늘』 p233,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지음, 남진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