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부까지는 임상적 판단, 즉 인간 전문가들이 하는 판단이 생각처럼 정확도가 높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주력했던 것 같아요. 당연한 이야기라고 할 수도 있지만, 전문가들이 깊은 전문지식과 풍부한 경험을 갖고 내리는 판단이 변수가 얼마 되지 않는 단순한 수치 모형보다 노이즈가 심하다는 건 일반 사람들의 기대와 다른 내용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0장에 보면 영화 머니볼 이야기가 나오는데, 야구문외한인 젊은 통계 전문가가 어떤 선수를 채용하고 어떤 선수를 트레이딩할 것인지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니까 수십년 동안 스카우트 일을 했던 사람들이 비웃는 장면이 나오거든요. 자신들의 전문성과 경험을 하찮은 수학 모델로 대체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거부한 거죠. 그렇지만 의외로 그런 전문가들의 판단이 얼마나 맞는지와 별개로 얼마나 많은 노이즈(편차)를 갖고 있는지를 2부에서 중점적으로 이야기한 것 같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우리가 공정할 것으로 기대하는 판사들의 판결이 개인 성향에 따라 매우 큰 편차를 보인다는 결과겠죠.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7. <노이즈>
D-29

오도니안

borumis
저 영어로 읽다가 Howard Wainer가 쓴 논문제목을 어떻게 번역했을지 너무 궁금해져서 결국 도서관에 가서 한글책 빌려왔어요 ㅋㅋㅋ
It don’t make no nevermind : 뭐, 신경 쓰지 않을 수가 없더라고
외국 논문 중엔 가끔 이런 informal하고 유머러스한 논문들이 보이던데 한국에도 이런 논문들이 있나요?

장맥주
성균관대 물리학과의 김범준 교수님이 ‘혈액형과 성격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와 ‘윷놀이에서 업는 것과 잡는 것 중, 어떤 것이 더 유리한지 살펴본 연구’ 논문을 내셨다고 자랑하는 걸 들은 적이 있습니다. ^^
그래그래요
저슨 한국 논문에서 구어체 느낌 조차 못 본 것 같은데요? 논문도 재미있게 쓰면 더 잘 읽을수.. 그래도 쉽지 않겠네요ㅎㅎ

장맥주
“ 스타워즈 시리즈의 3편 <제다이의 귀환> 대본을 집필하는 중요한 순간에 영화감독 조지 루카스는 든든한 조력자 로런스 캐즈던과 격론을 벌였다. 캐즈던은 루카스에게 “루크를 죽이고 레아 공주를 전면에 내세워야 해”라며 잘라 말했다. 루카스는 그 제안을 단칼에 거절했다. 그러자 캐즈던은 루크가 산다면 다른 주요 인물이 죽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루카스는 이번에도 캐즈던의 말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마음 내키는 대로 등장인물을 죽이는 게 다가 아니네”라고 덧붙였다. 캐즈던은 영화의 본질에 대해 진심 어린 충고를 했다. 그는 루카스에게 이렇게 말했다. “영화는 감정의 무게가 실리는 분야라네. 자기가 사랑하는 등장인물이 죽으면 그 여정은 더 극적으로 변할 걸세.” ”
『노이즈 : 생각의 잡음 - 판단을 조종하는 생각의 함정』 13장, 대니얼 카너먼 외 지음, 장진영 옮김, 안서원 감수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캐스던의 의견을 따랐다면 대단한 걸작이 나왔을 텐데요.

오도니안
전 해피엔드가 좋아요. "마음 내키는 대로 등장인물을 죽이는 게 다가 아니네."
전 루카스의 편입니다. ^^

장맥주
May the force be with you!

오도니안
루크가 외롭게 늙고 해리스 포드가 죽는 장면 보면서 제 젊은 시절이 허무해지는 듯한 느낌이 든 때가 있었어요. ^^

장맥주
저는 오리지널 3부작 이후 나온 여섯 편 모두 나오지 말았어야 했던 작품이라고 보는 탈레반입니다. ^^

장맥주
제목은 알고 있는 책이었는데 읽을 생각은 못했어요. 저는 <넛지>도 그냥 그랬고, <누가 진실을 말하는가>는 실망스러웠거든요. 그리고 덕심 드러내며 쓴 책들은 덕후 기질 없는 제가 읽으면 심드렁한 경우가 경험적으로 많았습니다. 그래도 마성의 유혹자가 추천해주신 책이니 살펴볼게요. ㅎㅎㅎ
<누가 진실을 말하는가>에는 ‘미국에서 가장 위험한 사람이 쓴 음모론과 위험한 생각들’이라는 부제 때문에 더 실망했던 거 같아요. 위에서 추천 받아 읽고 있는 <수상한 질문, 위험한 생각들>의 저자가 훨씬 더 위험한 분 같습니다. ^^

누가 진실을 말하는가 - ‘미국에서 가장 위험한 사람’이 쓴 음모론과 위험한 생각들<심플러>·<넛지> 저자 캐스 선스타인이 자신의 생각 을 잃어버린 사람들에게 고하는 냉철하고 신랄한 메시지. 우리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등 다양한 매체의 발달과 보급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수많은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받는 시대를 살고 있다.
책장 바로가기

YG
@장맥주 아, 저는 캐스 선스타인은 팬심이 있는 편이에요. 제가 박식하고 재기발랄한 저자에게 조금 점수를 더 주는 편입니다. 그런데 정작 『누가 진실을 말하는가』는 안 읽었네요. :)

YG
『스타워즈로 본 세상』은 스타워즈를 소재 삼아서 쓴 가벼운 정치철학 책이에요. 스타워즈 진입 장벽이 있으니 이 시리즈를 꽤 따라서 본 분들이나 재미있게 읽을 만한 책이죠.

소피아
다짜고짜 9장부터 읽기 시작하면서 모래알처럼 점성 1도 없이 흩어지는 문장과 단락들 보며 엄청 당황했어요. 중간부터 시작해서 이런가? 싶었는데, 말하고자 하는 바가 어려운 내용도 아니고 전체적으로 이상... 게다가 <노이즈> 독자가 모두 <생각에 대한 생각>을 읽고 넘어왔다고 넘겨 짚는 거 같기도 했어요.
잘 쓴 논픽션은 문장이나 단락이 쫀쫀하게 연결되면서 쫀득기처럼 쫙쫙 붙어 있는데, 응집력 제로인 모래알 텍스트는 오랜만이네요. 저는 저자 3명이 서로 ‘니가 정리해’라고 밀고 당기다가 저리된 줄 ㅠㅠ
<생각에 대한 생각> 책도 가지고 있어서 읽어보려고 작심했는데, 의지가 화악 무너지는 중 ㅠㅠ

borumis
ㅋㅋㅋ 맞아요 12장에서 갑자기 “시스템 2” 이야기 나오면서 뭐야 이건 “생각에 대한 생각” 속편인가;; 아니 그 책 안 읽고 온 사람들은 어쩌라구;;

오도니안
“ 인종차별이나 성차별을 영속시키는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마도 굉장히 쉬울지도 모른다. 그리고 실제로 알고리즘이 이러한 차별을 영속시킨 사례가 여러 번 보고됐다. 이것이 알고리즘의 의사결정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알고리즘에 대한 일반적인 결론을 내리기 전에, 우리는 일부 알고리즘은 판단자보다 더 정확할 뿐만 아니라 더 공정한 예측을 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
『노이즈 : 생각의 잡음 - 판단을 조종하는 생각의 함정』 10장, 195페이지, 대니얼 카너먼 외 지음, 장진영 옮김, 안서원 감수
문장모음 보기

오도니안
저자는 알고리즘의 편향 우려가 없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가들의 판단 역시 상당한 정도로 편형과 차별의식을 반영하고 있으며 알고리즘이 잘 설계되고 학습되면 그 수준을 상당히 낮출 수 있을 거라는 걸 강조하는 것 같습니다.
약간, 자율주행차의 교통사고 문제랑 비슷한 것 같기도 해요. 자율주행차가 인간 운전자보다 훨씬 적은 사고를 내더라도 인간의 잘못으로 사고가 나는 건 용인되지만 기계의 잘못으로 인간이 다치거나 죽는 일은 일어나선 안된다는...

장맥주
“ 조지 루카스의 반응처럼, 예단에는 감정적 요소가 있다. 심리학자 폴 슬로빅Paul Slovic은 이것을 감정 어림짐작affect heuristic이라 부른다. 사람들은 자신의 감정을 참고해 판단을 내린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자신가 지지하는 정치인의 모든 것을 좋아한다. 하지만 싫어하는 정치인에 관해서라면 그의 생김새나 목소리마저 싫어한다. 그래서 기업들은 자기 브랜드와 긍정적인 감정을 연관짓기 위해 노력하고, 교수들은 강의 평가에서 좋은 점수를 받은 해에는 강의 자료에서도 좋은 점수를 받게 된다고 생각한다. 심지어 감정이 개입되지 않을 때에도 같은 기제가 작동한다. 사람들은 자신이 어떤 이유로 무언가에 대해서 믿음을 가지게 됐는지 잘 모른다. ”
『노이즈 : 생각의 잡음 - 판단을 조종하는 생각의 함정』 13장, 대니얼 카너먼 외 지음, 장진영 옮김, 안서원 감수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