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 사례에 관심이 있으시면 <로컬 라이프 트렌드>도 참고해볼 만합니다.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38784403
포틀랜드스쿨과 네이버가 협업하여 만들어진 <로컬브랜드리뷰> 2022/2023도 흥미롭고요!
지역별로 매력적인 브랜드들이 잔뜩 소개되어 있답니다.
[김영사/책증정] 골목길 경제학자가 말하는 도시와 사회의 진화! <크리에이터 소사이어티>
D-29

김영사

김영사
농촌 지역의 도시는 분명 대도시와는 다르다. 하지만 도시적 삶을 추구하는 데 필요한 기본 상업 시설은 대도시의 그것과 다르지 않다.
『크리에이터 소사이어티 - 자유롭고 창의적인 개인들이 만드는 우리 모두의 미래』 모종린 지음
문장모음 보기

김영사
“ 21세기를 사는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유토피아는 무엇일까? 바로 '크리에이터 유토피아'다. 디지털 기술과 소셜 미디어의 발달이 개인의 창작 활동을 촉진하고, 이를 통해 생계를 유지하며 개인의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얻을 수 있는 곳이다. ”
『크리에이터 소사이어티 - 자유롭고 창의적인 개인들이 만드는 우리 모두의 미래』 모종린 지음
문장모음 보기

김영사
"옷 사러 가요" 돈 펑펑 쓴다…MZ들 몰리더니 '패션 메카' 된 성동구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122311274138409

김영사
“ 에피그램의 로컬 프로젝트는 다른 나라에서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유니크한 로컬 마케팅 사례다. 굳이 찾는다면 일본 기업 디앤디파트먼트의 로컬 디자인 큐레이션 사업과 비교할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