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보르헤스 읽기] 『아르헨티나 사람들의 언어』 1부 같이 읽어요

D-29
화제로 지정된 대화
[문학적 믿음에 대한 예언] 시에 대한 얘기가 유독 많습니다. 보르헤스는 단편소설로 유명세를 얻긴했지만, 사실 보르헤스는 초창기부터 시집으로 시작해서 마지막 순간까지도 시를 쓰면서 생을 마감한 시인에 가깝다고 봅니다. 이 글에서 보르헤스는 자신에 대한 비판에 대응할 목적으로 자신의 "문학적 믿음"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처음 읽었을 때는 이 글이 제목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기 어려웠습니다만, 몇 번 읽다보니 희미한 연결선이 보이기는 합니다(제가 제대로 읽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먼저 말하면, 그 연설선은 작가가 처해 있는 '1인칭의 자리'라고 저는 읽었습니다. 보르헤스는 말년에 명성을 얻어서 군중 앞에서 강연할 기회가 많았습니다. 강연은 그 형식상 한 명이 연단에 올라서 군중에게 말하는 방식일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강연이 가질 수밖에 없는 그 형식성에 불구하고, 보르헤스는 늘 자신이 군중을 향해서 연설하는 게 아니라 우리 모두가 개인 대 개인으로 만나고 있음을 역설해왔습니다. 이것이 "모든 문학은 결국 자전적"이라는, 어찌보면 당연한 주장으로 이어지는 것이고요. 어느 자리이든 우리는 개인 대 개인으로 만납니다. 따라서 보르헤스가 시나 소설에서 말하는 바는 지극히 보르헤스 자신의 일천한 경험에 국한되며, 이것은 자랑할 만한 일도 부끄러워할 만한 일도 아닙니다. 그는 자신이 경험한 협소한 로사스 시대의 오래된 조국을 향수하고, 자신이 읽은 편협한 책을 인용하고, 자신이 유년에 경험한 가족의 크리오요 전통을 말하고, "우르키사로 가는 96번 전차"에 대해서 씁니다. 아르헨티나와 라틴아메리카의 역사를 더 잘 안다고 말하면서 보르헤스를 비판하는 사람들이 주장했던, 폭넓은 비평적 관점이 아니라요. "파트리시오스로 가는 56번 전차"도 아니고, "양철로 만든 판자집"(162쪽)이나 "어휘의 다양성"(168쪽)에 기대어 말하는 게 아닌 것입니다. "모든 시는 한 주체가, 한 개성이, 한 인간이 체험한 것을 남김없이 고백하는 것이라고 이미 밝혔다."⏤본문 167쪽. 보르헤스에게 시는 "일종의 내밀한 고백"이며, "모든 고백의 전제는 듣는 사람에 대한 신뢰와 말하는 사람의 솔직함"이라고 다시 강조합니다. 문학적 재능이란 고백할 수 없는 것을 고백하는 재능이라고 합니다. 우리는 일천한 자신의 경험과 습관과 환경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나로 태어나서 한평생 나로 살다가 나로서죽습니다. 그 주관성을 명확히 인지한 다음에 글을 쓰는 것과 함부로 나 자신을 벗어나서 자신을 객관으로 포장하여 글을 쓰는 것은 전혀 다릅니다. 그리고 시라는 이 편협한 장르는 그 특유의 주관성을, 우찌보면 우리 모두가 사용하는 공용 우물인 언어를 통해서 굉장히 첨예하게 보여주는 것이고요. 따라서 한 사람은 한 편의 글을 쓸 때, 내 주관성 바깥에 있는 객관에 함부로 손을 뻗어서 더듬으려고 할 게 아니라, 내 주관 안에서 객관된 자리를 타인의 자리를 열어놓을 수 있어야 한다고, 저는 이해하고 있습니다. 보르헤스가 이 글의 첫 문단에서 얘기하고자 했던 “문학적 믿음에 대한 예언”을 저는 일단 이렇게 읽었습니다.
어휘의 다양성은 또 다른 오류이다. 모든 학자가 다양성을 권장하지만 나는 다양성은 결코 진실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나는 단어들이 완전히 정복돼 생기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전이 제공하는 외견상의 평판은 거짓이라고 생각한다. 오랫동안 높은 골목길을 여기저기 쏘다니지 않았다면, 변두리 지역을 마치 사랑하는 여인인 양 갈망하고 겪어 보지 않았다면, 가게 모서리의 토담과 들판, 달빛을 보고(寶庫)처럼 느껴보지 않았다면 어느 누구도 감히 '변두리 지역'에 대해 쓰겠다는 생각을 하지 않기를 바란다.
아르헨티나 사람들의 언어 168쪽,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김용호 외 옮김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다산북스/책 증정] 『악은 성실하다』를 저자 &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책 나눔][박소해의 장르살롱] 25. 가을비 다음엔 <여름비 이야기> 스토리 수련회 : 첫번째 수련회 <호러의 모든 것> (with 김봉석)[도서 증정] 당신은 어떤 나라에서 살기를 원하는가? 공화 돌봄 녹색의 한국을 말한다[지식의숲/책 증정] 《거짓 공감》, 캔슬 컬처에서 잃어버린 자아를 찾아서도서관에서 책을 골랐을 뿐인데 빙의해 버렸다⭐『겹쳐진 도서관』함께 읽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극단 '피악'의 인문학적 성찰이 담긴 작품들
[그믐연뮤클럽] 8. 우리 지난한 삶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끄는 여정, 단테의 "신곡"[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그믐연뮤클럽의 서막 & 도박사 번외편]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이반과 스메르자코프"
같이 읽고 싶은 이야기_텍스티의 네버엔딩 스토리
김준녕, 오컬트도 잘합니다. [다문화 혐오]를 다루는 오컬트 호러『제』같이 읽어요🌽[텍스티] 텍스티의 히든카드🔥 『당신의 잘린, 손』같이 읽어요🫴[텍스티] 소름 돋게 생생한 오피스 스릴러 『난기류』 같이 읽어요✈️[책증정] 텍스티의 첫 코믹 추적 활극 『추리의 민족』 함께 읽어요🏍️
나는 너의 연애가 궁금해
[📚수북플러스] 6. 우리의 연애는 모두의 관심사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장르적 장르읽기] 5. <로맨스 도파민>으로 연애 세포 깨워보기[북다] 《나의 사내연애 이야기(달달북다02)》 함께 읽어요! [북다/책 나눔] 《하트 세이버(달달북다10)》 함께 읽어요!
각양각색! 앤솔로지의 매력!
[그믐앤솔러지클럽] 1. [책증정] 무모하고 맹렬한 처음 이야기, 『처음이라는 도파민』[그믐미술클럽 혹은 앤솔러지클럽_베타 버전] [책증정] 마티스와 스릴러의 결합이라니?![책나눔] 어딘가로 훌쩍 떠나고 싶을 때, 시간을 걷는 도시 《소설 목포》 함께 읽어요. [장르적 장르읽기] 5. <로맨스 도파민>으로 연애 세포 깨워보기[박소해의 장르살롱] 20. <고딕X호러X제주>로 혼저 옵서예[그믐앤솔러지클럽] 2. [책증정] 6인 6색 신개념 고전 호러 『귀신새 우는 소리』
과학의 언어로 인간의 마음을 탐구하는 작가, 김초엽
[라비북클럽] 김초엽작가의 최신 소설집 양면의 조개껍데기 같이 한번 읽어보아요[다정한 책방] '한국작가들' 함께 읽기5탄.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_김초엽[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8월의 책 <지구끝의 온실>, 김초엽, 자이언트북스방금 떠나온 세계
더 나은 내가 되기 위한 레슨!
[도서 증정] 『안정감 수업』 함께 읽으며 마음을 나눠요!🥰지금보다 나은 존재가 될 가능성을 믿은 인류의 역사, 《자기계발 수업》 온라인 독서모임
한국의 마키아벨리, 그의 서평 모음!
AI의 역사한국의 미래릴케의 로댕최소한의 지리도둑 신부 1
🎬 우리가 사랑한 영화 감독들
[책나눔] <고양이를 부탁해><말하는 건축가> 정재은 감독 에세이『같이 그리는 초상화처럼』메가박스 왕가위 감독 기획전 기념... 왕가위 감독 수다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영화 「괴물」, 함께 이야기 나눠요
저항의 문장가, 윌리엄 해즐릿!
[아티초크/책증정] 윌리엄 해즐릿 신간 『영원히 살 것 같은 느낌에 관하여』와 함께해요![아티초크/책증정] 윌리엄 해즐릿 신간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 서평단&북클럽 모집[아티초크/책증정] 장강명 작가 추천! 해즐릿의 『혐오의 즐거움에 관하여』와 함께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노벨문학상 수상자,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 축하합니다!
[밀리의 서재로 📙 읽기] 31. 사탄탱고[이 계절의 소설_봄] 『벵크하임 남작의 귀향』 함께 읽기(신간읽기클럽 )1. 세계는 계속된다/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
공룡 좋아하는 사람들은 여기로!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7. <경이로운 생존자들>[밀리의 서재로 📙 읽기] 10. 공룡의 이동경로💀《화석맨》 가제본 함께 읽기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