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보르헤스 읽기] 『아르헨티나 사람들의 언어』 1부 같이 읽어요

D-29
2024년에 읽는 보르헤스의 여섯 번째 책입니다. 본격적으로 여섯 권으로 이뤄진 논픽션 전집을 읽습니다. 함께 읽을 분들은 참여해주세요😀 『아르헨티나 사람들의 언어』는 총 2부로 나뉘어 있으며, 1부는 22개의 글꼭지로 이뤄져 있습니다. 하루에 하나의 글꼭지를 읽는 모임입니다. 목차는 이렇습니다. ⏤서문 15 ⏤내 희망의 크기 19 ⏤크리오요 『파우스토』 27 ⏤팜파스와 변두리는 신의 모습이다 33 ⏤카리에고 와 변두리의 의미 41 ⏤『보랏빛 대지』 47 ⏤끝없는 언어 53 ⏤시어 에 대한 장광설 60 ⏤형용사의 활용 66 ⏤우루과이의 나무 숭배 75 ⏤천사들에 관한 이야기 79 ⏤모험과 규칙 87 ⏤토착화된 민요 93 ⏤《프로아》를 폐간하면서 보내는 편지 104 ⏤주석 108 ⏤분석 연습 126 ⏤밀턴과 그의 운율 비판 134 ⏤공고라의 소네트에 대한 검토 141 ⏤『리딩 감옥의 발라드』 149 ⏤아라발레로에 대한 비판 153 ⏤문학적 믿음에 대한 예언 162 ⏤추신 170 ※ 한 편을 열고 닫을 때마다 제 짤막한 감상을 남기겠습니다. 대화하실 때는 단편별로 [이 대화에 답하기] 기능을 활용해서 대화 타래를 엮어가요. ※ 지나간 단편에 대한 언급도 얼마든 가능합니다. 단편별로 나눠놓은 기간에 구애하지 마시고 [게시판] 기능을 활용해서 언제든 대화 타래에 동참해주세요. ※ 제 아이디를 탭 하고 [만든 모임]을 보시면 이전에 열렸던 모임의 성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대략적인 방향성(?)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모임에 대한 의견도 언제든지 말씀해 주세요. ※ 참여 인원이 없어도 24/12/8에 시작하겠습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1부 서문] 모임이 열린지는 꽤 되었습니다만 뒤늦게 모임 시작합니다. 공교롭게도 모임을 열었을 때만 해도 12월 3일 전이어서, 나라 안팎으로 이런 비극적이고도 황당한 일이 벌어질지는 예상치 못했습니다. 아직까지도 믿기지 않는 뉴스들이 보도되는 현실이 뭔가 소설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각설하고, 이 서문은 ⟪내 희망의 크기⟫라는 보르헤스의 책에 마리아 코다마가 쓴 서문입니다. 마리아 코다마가 생전 보르헤스와 맺은 관계에 대해서는 제가 별로 첨언할 말이 없을 것 같아요. 뭔가 스캔들을 위한 스캔들 같은 느낌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한편, 이 서문에는 크리오요라는 단어가 등장하는데요, 라틴아메리카의 정치적 역사를 이해하고 보르헤스의 작품을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알 필요가 있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크리오요'는 아메리카 신대륙에서 태어난 스페인 사람을 의미합니다. 콜럼버스가 신대륙에 도착하자, 아메리카의 원주민들은 하루 아침에 피지배 계급이 되고, 스페인 정복자들의 지배를 받습니다. 그 과정에서 유럽에서 여러 이민자들이 아메리카 대륙으로 들어오게 되는데요, 결과적으로 신대륙은 유럽계 백인, 원주민과 흑인, 그리고 여러 인종이 섞인 다인종, 다문화의 장이 됩니다. 그런 와중에 나타난 '신대륙의 스페인 사람'을 일컬어 크리오요라고 부릅니다. 크리오요라는 단어는 스페인계 백인을 의미하는 인종적인 함의만이 아니라, 정치계급적인 함의도 지닙니다. 크리오요는 경제적으로는 부유한 사업가나 대지주였지만, '스페인에서 태어난 스페인 사람'을 지칭하는 '페닌슐라르'에 비해 정치적인 의사 결정권은 가지지 못했습니다. 이런 정치적 차별에 불만을 가지고 있던 크리오요는 훗날 아메리카 독립 운동에서 큰 역할을 하게 됩니다. 어떤 의미로는 본토에도 속하지 못하고 식민지에도 속하지 못하는 독특한 이민자적인 정체성을 갖고 있는 이들로서, 보르헤스의 문학적 정체성에서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앞서 모임에서 다룬, ⟪픽션들⟫의 마지막 단편인 ⟨남부⟩에서도 보르헤스의 크리오요로서 정체성이 진하게 드러나고 있기도 합니다.
세상 사람 모두가 우리의 신념 부족을 비난할지라도 나는 실망하지 않는다. 철저하게 신념이 없다는 것은 믿음의 또 다른 형태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루키아노스와 스위프트, 로런스 스턴, 조지 버나드 쇼 등의 작품에서처럼 신념 부족을 새로운 창작 원천으로 삼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거대하고 격렬한 불신이야말로 자랑스러운 우리의 유산일 수 있다.
아르헨티나 사람들의 언어 26쪽,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김용호 외 옮김
이 책에는 문학성과 아르헨티나성에 대한 고민이 밀물과 썰물처럼 번갈아 드러나 있다.
아르헨티나 사람들의 언어 서문,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김용호 외 옮김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다산북스/책 증정] 『악은 성실하다』를 저자 &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책 나눔][박소해의 장르살롱] 25. 가을비 다음엔 <여름비 이야기> 스토리 수련회 : 첫번째 수련회 <호러의 모든 것> (with 김봉석)[도서 증정] 당신은 어떤 나라에서 살기를 원하는가? 공화 돌봄 녹색의 한국을 말한다[지식의숲/책 증정] 《거짓 공감》, 캔슬 컬처에서 잃어버린 자아를 찾아서도서관에서 책을 골랐을 뿐인데 빙의해 버렸다⭐『겹쳐진 도서관』함께 읽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극단 '피악'의 인문학적 성찰이 담긴 작품들
[그믐연뮤클럽] 8. 우리 지난한 삶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끄는 여정, 단테의 "신곡"[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그믐연뮤클럽의 서막 & 도박사 번외편]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이반과 스메르자코프"
같이 읽고 싶은 이야기_텍스티의 네버엔딩 스토리
김준녕, 오컬트도 잘합니다. [다문화 혐오]를 다루는 오컬트 호러『제』같이 읽어요🌽[텍스티] 텍스티의 히든카드🔥 『당신의 잘린, 손』같이 읽어요🫴[텍스티] 소름 돋게 생생한 오피스 스릴러 『난기류』 같이 읽어요✈️[책증정] 텍스티의 첫 코믹 추적 활극 『추리의 민족』 함께 읽어요🏍️
나는 너의 연애가 궁금해
[📚수북플러스] 6. 우리의 연애는 모두의 관심사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장르적 장르읽기] 5. <로맨스 도파민>으로 연애 세포 깨워보기[북다] 《나의 사내연애 이야기(달달북다02)》 함께 읽어요! [북다/책 나눔] 《하트 세이버(달달북다10)》 함께 읽어요!
각양각색! 앤솔로지의 매력!
[그믐앤솔러지클럽] 1. [책증정] 무모하고 맹렬한 처음 이야기, 『처음이라는 도파민』[그믐미술클럽 혹은 앤솔러지클럽_베타 버전] [책증정] 마티스와 스릴러의 결합이라니?![책나눔] 어딘가로 훌쩍 떠나고 싶을 때, 시간을 걷는 도시 《소설 목포》 함께 읽어요. [장르적 장르읽기] 5. <로맨스 도파민>으로 연애 세포 깨워보기[박소해의 장르살롱] 20. <고딕X호러X제주>로 혼저 옵서예[그믐앤솔러지클럽] 2. [책증정] 6인 6색 신개념 고전 호러 『귀신새 우는 소리』
과학의 언어로 인간의 마음을 탐구하는 작가, 김초엽
[라비북클럽] 김초엽작가의 최신 소설집 양면의 조개껍데기 같이 한번 읽어보아요[다정한 책방] '한국작가들' 함께 읽기5탄.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_김초엽[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8월의 책 <지구끝의 온실>, 김초엽, 자이언트북스방금 떠나온 세계
더 나은 내가 되기 위한 레슨!
[도서 증정] 『안정감 수업』 함께 읽으며 마음을 나눠요!🥰지금보다 나은 존재가 될 가능성을 믿은 인류의 역사, 《자기계발 수업》 온라인 독서모임
한국의 마키아벨리, 그의 서평 모음!
AI의 역사한국의 미래릴케의 로댕최소한의 지리도둑 신부 1
🎬 우리가 사랑한 영화 감독들
[책나눔] <고양이를 부탁해><말하는 건축가> 정재은 감독 에세이『같이 그리는 초상화처럼』메가박스 왕가위 감독 기획전 기념... 왕가위 감독 수다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영화 「괴물」, 함께 이야기 나눠요
저항의 문장가, 윌리엄 해즐릿!
[아티초크/책증정] 윌리엄 해즐릿 신간 『영원히 살 것 같은 느낌에 관하여』와 함께해요![아티초크/책증정] 윌리엄 해즐릿 신간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 서평단&북클럽 모집[아티초크/책증정] 장강명 작가 추천! 해즐릿의 『혐오의 즐거움에 관하여』와 함께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노벨문학상 수상자,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 축하합니다!
[밀리의 서재로 📙 읽기] 31. 사탄탱고[이 계절의 소설_봄] 『벵크하임 남작의 귀향』 함께 읽기(신간읽기클럽 )1. 세계는 계속된다/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
공룡 좋아하는 사람들은 여기로!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7. <경이로운 생존자들>[밀리의 서재로 📙 읽기] 10. 공룡의 이동경로💀《화석맨》 가제본 함께 읽기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