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미실> 함께 읽기

D-29
모든 문장에 감탄하고 흥미진진한 줄거리에 할 말을 잊고 숨죽이고 따라 가고 있습니다요.
동륜의 아이를 임신하고 제의 아이라고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미실의 정략성이 보입니다. 그만큼 정치에 물이 들어 간다는 증거겠지요. 사도황후와 함께 내정을 휘어 잡고 아들 하종을 제의 양자로 등극하게 하며 마주하기 곤란한 동륜을 저멀리 외지로 내보내는 잔치까지 잘 치루었습니다. 계획하지 않은 일들이 계획 한 것 처럼 잘 풀려갑니다.
위기의 순간에 미실은 더욱 차갑고 굳건해졌다. 감미로운 목소리로 시를 읊고 속삭일 때에는 더없이 다정하고 순종적인 그녀가 어느 한때에는 소름이 돋도록 냉혈한 모습을 드러냈다.
미실 - 2005년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무삭제 개정판 김별아 지음
"그렇다면 신국의 황제인 내가 일개 신하의 눈치를 보아야 한단 말이냐?...도리와 처지를 따지기 이전에 네게 주어진 소명이 엄연히 따로 있거늘, 감히 어느 안전이라고 언짢은 마음을 함부로 드러내느냐?" ... "그러하옵니다. 소녀는 그토록 미천한 몸이옵니다. 그런데 어찌 사랑하려 하시옵니까? 마음대로 사랑할 수도 사랑하지 않을 수도 없는 천인에게"
미실 - 2005년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무삭제 개정판 김별아 지음
마음대로 사랑할 수도 사랑하지 않을 수도 없는 처지가 싫어서 황제를 유혹하는 미실, 웃음으로 유혹하면서 마음을 주지 않는 '소름이 돋도록 냉혈한'.. 독한 다짐 - 이미 잃어버린 사랑이 없고서는 그렇게 독할 수 없을 거라는 생각도 듭니다.
진흥제는 미실을 한 번 두 번 거듭 사랑하고는 마침내 곁을 떠나지 못하게 할 지경에 이르렀으니, 그 사랑이 가히 천하를 뒤집을 만하였다. 능통한 음사로 제를 사로잡은 미실은 날로 중해지는 총애에 바야흐로 황후궁의 전주(殿主)*로 발탁되기에 이르렀다. 황후궁의 전주는 그 지위가 곧 황후와 같이 높고 귀했다. 그때부터 황제의 지밀(至密)*에서 새로운 권력이 비롯되었다.
미실 - 2005년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무삭제 개정판 233p, 김별아 지음
'붉은 연못'에서는 미실이 어떻게 진흥제를 사로잡았는지와 단순한 후궁의 역할을 넘어서 황후궁의 전주라는 높은 지위에 오르면서 단순한 애정 관계가 아닌, 권력의 중심에 서게 된 것을 알 수 있었고, 미실이 자신의 매력과 지혜를 개인적인 이득에 사용했을 뿐 아니라, 황제의 지밀에서 권력을 형성하며 주체적으로 권력의 중심에 있기 위해 자신만의 능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과정을 보여준다고 생각됩니다.
"그리하여 소년이 세상에 났다. 할머니는 구리지와 통하여 서자 셋을 낳았고, 아버지는 구리지의 아내와 통하여 소년을 낳았다. 사다함은 소년의 형이자 삼촌이었다. 소년의 이름은 설원, 애초부터 은밀한 잠통의 관계로부터 태어나 자존의 의지를 품지 못한 채 자라난, 아름다워 더욱 서러운 목숨이었다." 이쯤 오니 윗분들이 왜 족보정리를 해가며 보시는지 알겠네요. @.@
화제로 지정된 대화
어제 송년회로 밤늦게 돌아와 메롱한 아침입니다. 다들 열심히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은 <몽중설몽>을 함께 읽겠습니다. 이 장이 아마도 작가가 역사적 사실을 넘어서 크게 개입한 부분이었던 것 같습니다;;
시간이 지나도 가끔은 이렇게 습격을 당한다. 끊어 내친 것이 아니라 잠시 참아 잊은 것인지도 모른다. 모든 중독의 속성처럼, 사랑은 사라지는 대신 피톨 속에 잠복할 뿐이다.
미실 - 2005년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무삭제 개정판 김별아 지음
사랑은 사라지는 대신 피톨 속에 잠복할 뿐이다는 표현이 사랑이 우리 몸 안에 계속 돌고 도는 혈액과 같은 의미로 인상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소설이 고대 신라 시대 서사인 만큼 흔히 우리가 쓰는 어휘들 대신 고유어 고대어를 많이 쓰시려 노력한 반면 피톨이라는 외래어가 쓰여 좀 어색한 느낌이 없지 않아 듭니다. 북한에서는 피톨 대신 '피알'이라고 한다는군요.
앗, 피톨이 영어인 거 처음 알았습니다. 그냥 순우리말 같지 않나요?ㅎㅎ
네. 같이 피로 시작하는 데다가 톨도 왠지 토박이말 같아서. ㅎㅎㅎ
앗 죄송합니다!!! 제가 완전 실수를 했군요. 장맥주 님께서 정정해 주셨습니다.
혈구(血球)를 가리키는 순우리말 아닌지요...? 그래서 적혈구를 붉은피톨이라고 하는 거 아닌가요?
한자어 혈구보다는 피톨이 더 순우리말 어감이 있긴 해요. 찾아보니 phytol 영어와 같더라구요. 설마 우연의 일치이지는 않겠지요?
어... 우연의 일치 같습니다. ^^;;; 말씀하신 phytol은 엽록소의 구성 성분인 거 같네요. 분자량도 혈구보다 아주 작은 물질이고요. 혈구는 세포라서 단백질이고, phytol은 탄소, 수소, 산소로만 구성된 알코올의 일종입니다. 공교롭게 phytol도 유기화합물인 데다 한글 표기가 하필 피톨이어서(규범 표기는 확정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헷갈리기 쉽네요. 소설 <미실>에서 피톨은 ‘몸속을 흐르는 피톨’이나 ‘피톨 속에 잠복할 뿐이다’라는 표현으로 봐서 phytol이 아니라 표준국어대사전에 순우리말로 등재된 피톨이 맞는 거 같습니다. phytol도 화장품업계에서 착향제나 피부컨디셔닝제로 쓴다고는 합니다만 몸속을 흐른다는 비유가 어울리는 거 같지는 않네요. ^^;;; 참고 기사 링크 올립니다. https://www.donga.com/news/It/article/all/19991209/7491234/1
장맥주 작가님. 제가 별아 작가님과 더불어 작품을 함께 읽고 계시는 분들께 큰 실례를 저지르고 말았군요. 정정해 주셔 너무 감사 드리고 다시 한 번 더 별아 작가님과 이 방에 계신 분들께 깊은 사죄 올립니다. 아무래도 제가 외국에 너무 오래 살았나 봅니다. 순우리말도 외래어로 착각을 하구. 피톨의 사전을 찾아 보구서 이런 실수를 저지르다니... 나이가 들다보니 집중력도 어휘력도 이리 떨어지나 봅니다.
장강명 작가님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정필정님 사과까지 하실 필요는 없어요 ㅎ 언어는 생명체 같아서 늘 나고 살고 죽는데, 우연의 일치가 재미있네요.
어우, 이게 뭐 깊은 사죄 올릴 일인가요. (그런 일이라면 저는 24시간 내내 사죄하고 다녀야 합니다. ^^;;;) 헷갈리기 쉬운 말이기도 했고, 저도 인터넷 검색하다가 이것저것 알게 되었습니다. 지나치기 쉬운 단어 끄집어내주신 덕분에 @소설가김별아 작가님이 얼마나 공들여 문장을 쓰시는지도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해요!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도서 증정] 1,096쪽 『비잔티움 문명』 편집자와 함께 완독해요[📚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을 사랑하셨던 분들은 놓치지 마세요
[📚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댓글로 쌓아올린 세포, 아니 서평들
작별하지 않는다도시의 마음불안세대
반가운 모임지기들, 라아비현과 꼬리별
[라비북클럽] 불편한 편의점 북투어 같이 한번 읽어봐요 우리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제발디언들 여기 주목! 제발트 같이 읽어요.
[아티초크/책증정] 구병모 강력 추천! W.G. 제발트 『기억의 유령』 번역가와 함께해요.(8) [제발트 읽기] 『이민자들』 같이 읽어요(7) [제발트 읽기] 『토성의 고리』 같이 읽어요(6) [제발트 읽기] 『전원에서 머문 날들』 같이 읽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