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기록용_'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D-29
일본군 '위안부'의 문제는 지금의 한국사회에 어떤 질문을 남기는가. 피해자에 대한 사과와 배상, 회복은 당연하고 이를 위한 논리, 그리고 이후로도 전시 성폭력에 대한 확장된 논의로서 진전되기 위해서 지금, 우리는 책임을 다 하고 있는가. 그에 대한 대답을 듣고 싶어서 집어든 책.
패전 후 이들의 존재를 은폐했던 일본 정부와 더불어, '위안부'를 전쟁범죄에서 제외한 연합군에도 (중략) 책임을 물었어야 했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34,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강간은 종종 민족주의라는 프리즘을 통해 굴절될 뿐만 아니라 군사주의를 강화하기 위한 정당화 담론에 동원되기도 한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50,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여성에 대한 대규모 폭력을 민족 경계에 기반해 기소하는 것은 1990년대 중반의 페미니스트 정치에 있어 최선의 방법이었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53,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따라서 그녀들이 입은 피해는 민족적 피해로 환원될 수 없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81,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오랫동안 그녀들에게 덧씌워진 스티그마를 스스로 벗어던지고 자신들이 입은 성적 피해에 대해 당당하게 가해자의 죄를 물으며 투쟁을 이어가겠노라는 결의를 표명한 것이었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103,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가장 중요하게 다뤄야 할 점은 '가시적인 것을 분배하는 방식 내에 희생자를 어떻게 위치시킬 것인가' 하는 것이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109,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귀향>은 '위안부' 경험과 관련해 이렇게 현재의 침묵과 과거의 비명이라는 두 개의 목소리의 계열체로 구성되어있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p.116~117,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민족의 '어린 소녀'를 지키지 못하고 제국주의 일본(인)에게서 '유린당하는' 것을 막지 못한 데서 오는 죄책감의 이미지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125,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귀향>의 지옥도는 극단적인 부감 쇼트를 통해 조망적관조적 속성을 한층 더 강화할 뿐만 아니라 압도적인 외양의 지배를 선언함으로써 그려지는 대상을 추상화한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132,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이미 식민지 조선은 근대의 시간에 포섭되었음에도 말이다. 고향-집은 말끔하게 표백되어 있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136,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소녀에서 할머니로의 전환은 일본군 '위안부'를 재현할 때 하는 전형적인 방식이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143,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역사적 트라우마를 직접 체험하지 못한 이후 세대에게는 기념비, 의례, 문학이나 문화 같은 재현물이 더욱 중요해진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147,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전쟁과 식민 지배를 통해 제국의 확장을 도모하는 국가주의와 군국주의, 식민주의, 피지배 민족과 계급의 착취를 합리화하는 민족 및 계급 차별, 이에 제도와 같이 호주에게 모든 권한을 몰아주고 여성 차별을 통해 사회를 유지하는 가부장제, 그리고 전시 총동원 체제와 인신매매 메커니즘의 사회적 형성 과정 등을 알지 않고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는 물론 공창 피해에 대해서도 제대로 인식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이었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188,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일본이 지배하던 시기, 조선의 여성들은 매우 억압적인 조건 속에 놓여있었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218,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백인 중심의 제2물결 페미니즘에서 아시아 여성은 폭력의 피해자로 간주되지 않았던 것이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236,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그러나 배봉기와 같이 '귀환'하지 않은 '위안부'의 주검을 둘러싼 오랜 이데올로기적 대결과 직면하려는 움직임은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없었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263,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망언이 지속될수록 피해자의 말은 망언의 프레임에 갇힐 수밖에 없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301,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오늘날 우리는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사후적으로 재편된 '국경'이라는 경계를 인식의 틀로 삼아 '위안부' 문제를 바라보고 있지만, 기실 위안소라는 체계적인 성폭력 제도는 국경이 아니라 중일전쟁, 태평양전쟁 등의 전선에서 발생했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353,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숱한 목숨이 스러져도 항의할 수 없었던 전쟁에 대한 증언을 하려고 그 자신이 일본군 '위안부'였음을 말해야 했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402,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이 셀 수 없음 자체를 숙고할 필요가 있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412,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김영사/책증정] 왜 협상 가능한 세계에서 총을 겨눌까? 《우리는 왜 싸우는가》 함께 읽기[도서 증정] 작지만 탄탄한 지식의 풍경, [출판인 연대 ‘녹색의 시간’] 독서 모임[그믐앤솔러지클럽] 2. [책증정] 6인 6색 신개념 고전 호러 『귀신새 우는 소리』[도서 증정] 《조선 궁궐 일본 요괴》읽고 책 속에 수록되지 않은 그림 함께 감상하기![책 증정] 호러✖️미스터리 <디스펠> 본격미스터리 작가 김영민과 함께 읽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버지니아 울프의 네 가지 빛깔
[그믐밤] 28. 달밤에 낭독, <우리는 언제나 희망하고 있지 않나요>[서울외계인] 버지니아 울프,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읽기<평론가의 인생책 > 전승민 평론가와 [댈러웨이 부인] 함께 읽기[그믐연뮤클럽] 7. 시대와 성별을 뛰어넘은 진정한 성장,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
전쟁 속 여성의 삶
[도서 증정] <여성과 전쟁: 우크라이나 소설가의 전쟁일기> 번역가와 함께 읽어요.[책걸상 함께 읽기] #47.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밀리의 서재에 있는 좋은 책들
[밀리의 서재로 📙 읽기] 27. 데미안
좋은 스토리의 비밀을 밝혀냅니다
스토리 탐험단 8번째 여정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스토리탐험단 7번째 여정 <천만 코드>스토리탐험단 여섯 번째 여정 <숲속으로>
문화 좀 아는 건달의 단상들
설마 신이 이렇게 살라고 한거라고?그믐달자연의 일부일 뿐이라는 생각
믿고 읽는 작가, 김하율! 그믐에서 함께 한 모임들!
[📚수북플러스] 4. 나를 구독해줘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책증정 ]『어쩌다 노산』 그믐 북클럽(w/ 마케터)[그믐북클럽] 11. <이 별이 마음에 들어> 읽고 상상해요
현암사 80주년 축하해 주세요 🎉
[도서 증정] <이달의 심리학>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현암사/책증정] <코끼리는 암에 걸리지 않는다>를 편집자, 마케터와 함께 읽어요!
퇴근의 맛은 두리안 ?!
[도서 증정] 소설집『퇴근의 맛』작가와 함께 읽기[📚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이렇게 더워도 되는 건가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5. <일인 분의 안락함>기후위기 얘기 좀 해요![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1. <화석 자본>무룡,한여름의 책읽기ㅡ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