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 즐거운 독서하고 계신가요? Henry님 말씀처럼 초반부, 이야기의 재미 맥을 잡고 이제 <쇼는 없다>에 빠져들고 있는데요.
오늘부터 일주일간 14-26챕터 함께 읽겠습니다.
두번째 질문이자 장강명 작가님의 생각입니다.
<쇼는 없다>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유머입니다. 설정 속의 유머, 상황이 자아내는 유머, 인물들이 입 밖으로 소리내어 혹은 머릿속으로만 말하는 유머들이 페이소스와 섞입니다. 여러분이 아는 ‘유머 소설’들은 어떤 작품들이 있나요? 추천해주세요.
[📕수북탐독] 8. 쇼는 없다⭐수림문학상 수상작 함께 읽기(첫 시즌 마지막 모임!)
D-29
화제로 지정된 대화

김하율

김하율
저는 유머이자 페이소스 하면 제일 첫번째로 생각나는 분은 성석제 작가님입니다. 혹시, '야달' 아시는 분? ㅋㅋㅋ

재미나는 인생 - 개정판1997년에 초판에 나온 <재미나는 인생>은 성석제 초기작에 속하지만 바로 그만큼 언어의 활력과 이야기의 즐거움은 싱싱하고 짜릿하다. 7년 만에 나오는 이번 개정판을 초판에서 8편을 덜어내고 19편을 새로 추가했다.
책장 바로가기

꽃의요정
역시 김하율 작가님 쵝오!
제가 성석제 작가님의 유머에 반해 첫사랑에 빠졌었어요.
근데 야달은 야한 달인가요? ㅎㅎ
집에 재미나는 인생 있으니 읽으면서 찾아 봐야겠어요!

stella15
저는 웃음코드가 좀 다른가봐요.
저는 뭐가 웃기디는 거지? 하며 성 작가님 책 한창 쏟아져 나올 때 좀 뻘쭘했어요. 지금 다시 읽으면 이거였어? 하며 재밌게 읽게 될까요?
전 천명관 작가님의 나의 삼촌 부르스 리는 정말 재밌게 읽었어요. 소설이 이렇게 웃길 수도 있구나했죠.
근데 요즘 성 작가님 새 책이 안 나오는 것 같아 아쉬워요.ㅠ

나의 삼촌 브루스 리 2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한국식 근대화의 압축 성장을 거치며 평범한 개인들이 고달픈 삶을 살아내는 과정을 천명관 특유의 흡인력 있는 화법으로 담아낸 장편소설. 화자인 나의 시선으로 바라본 삼촌의 이야기는 70년대 영웅의 상징 ‘이소룡’에 대한 추억으로 시작된다.

나의 삼촌 브루스 리 1<고래>, <유쾌한 하녀 마리사>, <고령화 가족>의 작가 천명관의 장편소설. 이 작품은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한국식 근대화의 압축 성장을 거치며 평범한 개인들이 고달픈 삶을 살아내는 과정을 천명관 특유의 흡인력 있는 화법으로 담아냈다. 화자인 나의 시선으로 바라본 삼촌의 이야기는 70년대 영웅의 상징 '이소룡'에 대한 추억으로 시작된다.
책장 바로가기

김혜나
저도 성석제 소설가가 떠오르고요. 이기호 소설가, 그리고 최근에는 김홍 소설가의 작품들이 이런 유머소설 계보에 속하지 않나 싶습니다. 김홍 소설가의 소설집 <여기서 울지 마세요> 추천합니다^^

여기서 울지 마세요장편 『프라이스 킹!!!』으로 2023년 문학동네소설상을 수상한 김홍의 두번째 소설집 『여기서 울지 마세요』가 출간되었다. 김홍은 등단 이래 한결같이 기상천외한 설정을 뽐내왔다. 김홍 소설은 짧은 요약문에 오롯이 담기지 않는 생동하는 상상력과 유머로 주목받았다.
책장 바로가기

꽃의요정
김홍 소설가님 이 책이 요즘 여기저기 추천을 많이 받네요. 읽어봐야겠어요.
저도 이기호 작가님의 책 제목센스가 최고라고 생각해요.
다들 아시겠지만 '세 살 버릇 여름까지 간다'나 '갈팡질팡 하다 내 이럴 줄 알았지' 등등요. 내용도 물론 재미있었고요.

세 살 버릇 여름까지 간다작가 이기호가 가족을 소재로 한 처음이자 마지막이 될, 아이들의 성장담이기도 한 소설을 펴냈다. 특유의 눈물과 웃음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그 정서는 '가족'이라는 옷을 입고 전에 없이 사랑스럽고 애틋해졌으며 그만큼 더 깊어졌다.

갈팡질팡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지<최순덕 성령충만기>의 작가 이기호가 2년 만에 두 번째 단편집을 묶어냈다. 총 여덟 편의 작품이 실려 있다. 소설과 역사에 대한 문제의식을 당차게 제시했으며, 이야기의 재미와 흡인력 또한 여전하다. 허구헌날 집단 린치를 당하던 십대 소년의 성장담을 그린 표제작 '갈팡질팡...'에서는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가 유쾌한 웃음과 버무려진다.
책장 바로가기

김하율
애들 키우다보면 저렇게 소중한 순간을 맞고는 하잖아요. 이기호 작가님, 그걸 잘 캐치하시는 듯해요. 제 딸은 다섯 살때인가, 하품 하길래 졸려우면 들어가 자. 라고 하니까 '나, 아직 싱싱해' 라고 해서 웃었던 기억이 나네요.

김하율
프라이스 킹은 읽다가 포기했는데 단편집 도전해 봐야겠네요.

stella15
헉, 저게 뭔가 했더니 그게 그뜻이군요. ㅋㅋ

꽃의요정
소설은 아닌데 하상욱 시인의 시들이 제가 읽은 글들 중에 제일 재미있었어요. 문학이 아니라 하셔도 ㅎㅎ


서울 시 10주년 기념 세트 - 전2권 - 서울 시 1·2권 박스 한정판 + 詩티커2013년 출간돼 SNS 문학의 첫 스타트를 끊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화제의 시리즈, 하상욱의 《서울 시》 1, 2권이 출간 10주년을 맞아 한정판 박스 형태로 출시됐다.
책장 바로가기

김하율
목차는 정말 충격적ㅋㅋ

이릉
요즘 신작이 뜸한 박민규 작가도 생각나고요.
국내 작가 중에서 임성순 작가도 언급하고 싶네요. 몇년전 <자기 계발의 정석>을 읽고 키득거렸던 기억이 나서요. 그 책을 읽고 좀 놀라서, 당시까지 나온 임 작가님의 소설 여러권을 사서 봤더랬습니다. '한 사람이 쓴 게 맞나' 싶을 정도로, 코믹부터 잔혹극까지, 작품마다 장르와 특징이 달랐습니다. 문체와 스타일의 스펙트럼이 매우 넓은 작가입니다.

장맥주
동의합니다. 저는 사실 <쇼는 없다> 읽으면서 <문근영을 부탁해> 떠올렸습니다. 서브컬처에 해박한 작가가 쓴 '각주 소설'이라는 점에서요. @이릉 작가님도 앞으로 다양한 결의 소설 보여주시겠지요? ^^

이릉
제게 앞으로 몇 번의 기회가 주어질지 알 수 없으나, 일단 부지런히 써보려고요. 지금은 사실, 제가 이렇게 쓰겠다, 저렇게 쓰겠다, 어떤 스타일로 쓰겠다, 말하는 것 자체가 '설레발'일 듯합니다. 말이 아닌 작품으로, 더 입증해야 하는 단계라는 생각을 하곤 있습니다. 다만 장강명 작가님, 임성순 작가님처럼 스펙트럼이 넓으면 좋겠다는 바람은 있습니다. 요즘 고민의 초점도 그쪽에 맞춰져 있고요.

장맥주
응원합니다, 작가님! ^^

김하율
부지런히 쓴다, 가 가장 중요한거 같습니다. 저도 작가님의 다음 작품이 벌써부터 기대됩니다. 제일 먼저 구매해 볼거예요. 화이팅~^^
삼색볼펜
다음 작품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릉
감사합니다~ 힘이 됩니다~

장맥주
호불호가 좀 갈리지만, 유머 소설의 대표로 이 작품이 있습니다. 저는 막 데굴데굴 구르면서 웃지는 않았지만 중간중간 피식거리며 읽었어요.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 합본이 책은 코믹 SF 장르를 개척한 작품이자 최고작으로, 한마디로 말해 '범우주적인 거대한 농담'이다. 재기발랄하고 유쾌한 상상력, 별난 캐릭터들의 좌충우돌 행각, 블랙 코미디적인 유머감각과 경쾌한 풍자, 진지하고 심각한 주제를 아무렇지도 않게 말하기. 그야말로 우스운 상황과 대화들이 가득하다.
책장 바로가기

새벽서가
피식. 뭔지 알거 같아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