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그 건물 메가박스 종종 이용했습니다. 근데 요즘은 어느 영화관이나 가면 사람이 없어서 그런 쓸쓸한 기분이 나네요. 영화를 보러 극장에 간다, 여러 사람이 극장에서 떠들썩하게 영화를 본다는 행위 자체가 이제 판소리 마당극마냥 옛 문화의 영역으로 들어가나 봅니다. 아쉬워요.
[📕수북탐독] 8. 쇼는 없다⭐수림문학상 수상작 함께 읽기(첫 시즌 마지막 모임!)
D-29

장맥주

Henry
많이 공감합니다. 공간만 커진 외로운 골방 같은 극장은 정말 많이 아쉽습니다. 조용히 영화에 집중하는 걸 선호하긴 하지만, 함께 환호하고 박수치던, 때론 한숨 내뱉으며 마음의 소리가 입 밖으로 쏟아져 나오던 그 시절의 영화관의 분위가 무척 그리운 요즘입니다.

새벽서가
신촌이 망했다구요?!

장맥주
21세기 들어 망한 서울 상권의 대명사로 꼽히는 지역이 됐습니다. 더 망한 곳은 이대 앞 정도뿐일 걸요...?

새벽서가
그랬군요… 2004년부터는 한국을 5-6년에 한 전씩 가고, 나가도 부산, 제주등 지방으로 여행을 다니니 친정집이 서울이어도 서울에서 가는 곳은 아이들이 원하는 고궁이나 전시회, 박물관, 서점정도여서 신촌이 그리 된 것도 몰랐네요… ㅠㅠ

장맥주
최근 기사 두 개 가져왔습니다. ^^ 책 얘기 해야 하는데... 근데 21세기 들어 망한 상권 이야기도 "쇼는 없다"와 다소 통하는 거 같네요.
https://www.chosun.com/national/weekend/2024/02/03/MHFGPZRZARHLLDUNGMLQZJW65A/
https://www.khan.co.kr/article/202405310600021

새벽서가
기사를 읽으니 더 슬프네요. ㅠㅠ

꽃의요정
압구정도 포함 아닌가요? 로데오 거리....헉...글자에서도 세월이 느껴지네요

장맥주
압구정로데오역이라는 지하철역명 들을 때마다 이보다 촌스러운 어감의 역도 없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

이릉
오늘 낮에 실제로 ‘압구정로데오역 7번 출구 앞 갤러리아백화점 명품관 WEST 지하 1층 고메494’ 다녀왔습니다. 한번에 쭉 말하기 버겁네요. 불과 몇시간 전 갔던 곳인데, 이름 다시 떠올리는 것도 쉽지 않고요.

장맥주
<쇼는 없다>는 각주 소설이고, 서울 지명도 점점 각주화하는 거 같네요. 기괴한 욕망의 맥락이 먼저 존재하고 거기에 각주 붙이듯 지명을 정하는... ^^

이릉
예전(90년대)엔 지금보다, 서울 내에서도, 동네별 특성이 뚜렷했던 거 같아요. 일종의 '클러스터'들이 형성돼 있었다고 할까요.
예를 들어 '컴퓨터와 게임은 용산 혹은 청계천 세운상가', '연극 혹은 대중 가요 및 재즈 공연은 대학로', '헌책은 청계천', '휴대폰은 강변 테크노마트', '20대 초반에 갈만한 나이트클럽은 강남역', '클럽은 홍대' 등...
지금도 성수 등 몇몇 자기만의 색깔이 뚜렷한 동네들이 있긴 하지만, 예전만큼 뭔가 특색이 세분화가 되진 않은 느낌... 아마 전자상거래(이것도 이제 옛날 표현 같은데...) 등이 일상화 되면서 그런 지역 특색들이 많이 옅어진 게 아닐까 싶네요.
그중 90년대의 이태원은 저에게 '힙합 패션'과 '햄버거'로 기억돼요.
90년대 초중반엔 이태원에 옷과 신발을 사러 많이 다녔어요.(지금은 아니지만 그땐 옷에 관심이 아주 조금은 있던 시기라.) 당시 유행했던 힙합 패션, 그 중에서도 미국 직수입의 '근본' 옷들이 이태원에 많았거든요.(이태원에서 게스, 폴로 등 '메이커'들의 짝퉁 옷도 많이 팔긴 했죠...)
또 이태원의 미국 느낌 강하게 나는 음식점들을 다니는 재미가 있었는데(90년대엔 내국인 손님을 좀 무시하는 가게들도 많았던 기억이...),
그 중 큰 길가에 있던 '내쉬빌 버거'라는 햄버거집이 기억에 남아요.(지금은 검색해도 그 집 관련된 오래전 기사나 자료들이 나오질 않네요. 2010년대 초반까지도 있었는데... 요즘 이태원에 있는 있는 '롸카두들 내쉬빌 핫치킨'과는 전혀 다른 가게에요.) 80~90년대에 미군들이 많이 가던 곳인데, 알음알음 알려지며 90년대부턴 한국인 손님도 꽤 생겼어요. 그 집 햄버거, 특히 소고기 패티의 퀄리티는 당시 한국에 존재했던 프랜차이즈, 여타 햄버거집들보다 한차원 높았다는 생각이 들어요. 90년대에 한 신문 인터뷰를 봤던 기억에 따르면, 당시 그 가게 사장님이 2~3년마다 미국 로키산맥인가 어딘가에서 화산암을 수입해 온다고 했어요. 거기다 패티를 굽는 게, 그 집 비법이라고.

김하율
우와, 정성이 대단하네요. 록키산맥 화산암이라니! 같은 미국에서도 그렇게 못 할거 같은데. 저는 예전에 화장품 팔던 시절이 있었는데요. 어느날 매장에 알래스카 빙하수를 넣었다는 크림이 들어온거예요. 그래서 본사 직원한테 물어봤어요. 빙하수를 어떻게 넣었냐 얼마나 넣었냐 하니까 '엔젤 더스트' 라고 하며 웃더라고요. 천사가 뿌리는 금가루처럼 아련하게… ㅎㅎㅎ

이릉
'엔젤 더스트' 표현 재밌네요. 궁금해서 위키피디아까지 찾아봤어요~

장맥주
신종 마약 이름처럼 들리는데요...? ^^

꽃의요정
어렸을 땐 목동에 살았는데요. 저희 동네에서는 고등학생 때 소위 '날라리'들은 그 당시 유행하던 무크구두에 무크지갑을 들고 스톰인지 닉스인지 청바지 입고, 이대에 머리하러(그 당시 가격으로 파마인지 염색인지가 무려 5만원) 갔다오곤 했어요. 저같은 소심이들은 문제집 산다고 삥땅친 돈으로 신촌 현대백화점 가서 양말이나 샀고요. ㅎㅎ
대학생이 되고 나선 집에서 가까우니 신촌이나 홍대에서 자주 놀았는데, 가끔 대학로까지도 진출해서 놀았던 기억이 나요. 강남쪽 사는 애들은 맨날 뉴욕제과 앞에서 만나자고 했는데, 그 당시엔 9호선도 없고, 목동에서 가기엔 최악의 노선이라 강남역에서 보자고 하면 늬들끼리 놀라며 안 갔어요.
압구정에 도 가끔 가서 놀았는데, 가난뱅이 대학생인 저에게 90년대엔 정말 이상한 느낌의 동네였어요. 오렌지족은 구경도 못했지만요. (저희 대표님이 前오렌지족이셨다고 하는데, 증거는 없습니다. 압구정이 배밭일 때부터 사셨다는 말만 종종하세요.) 지금은 회사가 이쪽이라 어떠한 감흥도 느끼지 못하고 집과 회사를 왔다갔다 하고 있습니다.

김혜나
수지님!! 저도 목동 살아요! 물론 지금은 속초에 거주하지만, 본가는 아직도 목동이랍니다.
써주신 에피소드 모두 200% 공감가네요 ㅋㅋ 저는 지금도 서울 가면 합정 홍대 아니면 절대 안 갑니다 ㅋㅋ 30대까지는 광화문도 자주 갔는데 이제 다 멀어요. 강남은 어릴 때도 지금도 진짜 안 가고 싶은 곳이죠 ㅋㅋ 멀기도 하고 다 똑같고 재미도 없 어서요. 많은 사람들이 강남역 뉴욕제과랑 무슨 레코드사 앞에서 약속 잡던 거 기억은 나지만 저는 가본 적 없었어요. 그보다는 광화문 교보 앞이나, 신촌 그레이스백화점 앞, 홍대 KFC 앞 이런 데서 다 만났죠 저희는 ㅎㅎㅎ 옷도 꼭 이대앞에서 사고, 파마도 이대앞에서 하고, 떡볶이도 이대앞에서 먹었죠. 민주떡볶이 정말 좋아했는데 이제는 다 추억 속 이름이네요. 같은 추억 많아서 더 더 반갑습니다^^

꽃의요정
안 그래도 책에서 목동 사셨다면서 그 동네 분위기를 표현해 주셔서 저도 공감뿜뿜했어요.
제가 제일 애매한 곰달래길 목4동에 살았거든요.
길만 건너도 학군이 바뀌고 다른 세계에 사는 느낌이 가득한 동네였죠.
그 덕분에 눈치가 굉장히 는 거 같지만 어린아이들이 어른들의 사정으로 인해 눈치 보면서 사는 환경은 참 별로인 거 같아요.
제가 그렇게 자란 게 좀 맘에 안 들기도 하고요.
이제 일산 사는데 제가 눈치가 없는 건지 아님 정말 괜찮은 건지 굉장히 만족하며 살아요. ^^
가끔 목동이 그리워요~

김혜나
대박... 수지님 저도 곰달래길...목4동 794번지였어요! 지금은 거기 안 사니까 공개 ㅋㅋㅋ 암튼 이렇게 가까웠다니 소름이에요!! 친근한 느낌은 괜히 온 게 아니었어요!!

꽃의요정
허거덩 저희집이 약간 올라가서 좀 더 윗쪽 건너편이었어요. 이런 인연이! 주소는 기억이 하나도 안 나는데 대평슈퍼랑 대흥교회 사이 언덕에 있던 집에 살았어요.
목4동이 제일 분란의 장소였던거 같아요.
길 건너면 강서구, 이쪽은 양천구....그게 뭐라고 참...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