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맥주에는 거품의 수준을 통제하기 위해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와 같은 화학 작용제가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이는 동물에서 추출한 것일 수 있는데, 어떤 예외적인 경우에 그 유래가 확실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
『채식의 철학 - 동물권을 넘어서,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음식과 동물에 관한 윤리』 토니 밀리건 지음, 김성한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저는 여기까지 따지지는 않을래요.
미스와플
저도요. 나물 무칠 때 들어가는 미원이나 조미료에 미량의 육수 들어가는것으로 고민하면서 살지 않을래요.
꽃의요정
원래 미량 들어간 건 성분표시에 표시 안 해도 될걸요? 그러니 안 먹은 걸로...ㅎㅎㅎ
장맥주
안 먹은 걸로! ㅎㅎㅎ
저는 라면도 육식 아니라고 여 기려고요. 베지테리언 라면도 몇 번 먹었지만...
꽃의요정
저도 고기가 안 들어간 과자를 일하면서 많이 먹었어요~ 초콜릿과 탄수화물의 조합이란...훗
하느리
저도요👋
김치 담글 때 쓰는 액젓이 생선으로 만들어지는 걸 알지만... 한국인으로서 김치를 끊을 순 없기 때문에 그냥 넘어가겠습니다😅
하금
“ 이는 내가 동물의 권리를 부정하기 때문이 아니라, 오직 혹은 주로 권리에 호소할 경우 많은 것을 놓칠 수 있기 때문이다. 요컨대 우리는 해악, 잔혹함, 관심, 야만성, 권위, 고통과 복지 등 훨씬 풍부한 윤리적 개념을 활용할 수 있다. ”
『채식의 철학 - 동물권을 넘어서,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음식과 동물에 관한 윤리』 p.5 머리말 , 토니 밀리건 지음, 김성한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금
“ 권리, 결과, 선, 덕처럼 모든 도덕적 고찰을 관장하는 한 가지 개념을 숭상하려는 사람들이 있는데, 옳고 그름을 떠나 나는 이러한 시도를 일신론의 잔재로 여긴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모든 것을 관장하는 개념이 아니라 풍부한 윤리적 어휘들이다. ”
『채식의 철학 - 동물권을 넘어서,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음식과 동물에 관한 윤리』 p.6 머리말, 토니 밀리건 지음, 김성한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금
“ "우리는 대부분 '도덕적인 측면에서 고려해보았을 때 다른 종의 동물을 죽여서 먹을 수 있다'는 주장을 그저 명약관화하다고 생각한다. 나도 철학책을 읽기 전까지는 그랬다.하지만 지금에 와서는 고기를 먹는 나의 생활방식을 옹호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음을 느끼고 있다." ”
『채식의 철학 - 동물권을 넘어서,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음식과 동물에 관한 윤리』 p.17 (1장 뿌리 깊은 육식 관행), 토니 밀리건 지음, 김성한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금
명약관화-하다, 明若觀火-불을 보는 것처럼 분명하다.
하금
인간의 만족이 육식 자체가 아니라 산업화와 산업화된 음식 생산에 의해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보여주는 그림은 아마도 채식주의와 완전채식주의의 가장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채식의 철학 - 동물권을 넘어서,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음식과 동물에 관한 윤리』 p.33 (1장 뿌리 깊은 육식 관행), 토니 밀리건 지음, 김성한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식사와 관련한 이념을 추종하는 사람들로는 육식주의자, 채식주의자, 완전채식주의자와 슈퍼마켓에서 음식이 낭비되는 것을 극도로 싫어하는 프리건 등이 있으며, 오늘날에는 로커보어라는 집단의 사람들도 있다. 그들은 주변 지역에서 생산된 음식을 먹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다. ”
『채식의 철학 - 동물권을 넘어서,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음식과 동물에 관한 윤리』 4장, 토니 밀리건 지음, 김성한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사실 채식이나 완전채식이 가장 효과적인 친환경 식사가 될 것 같지는 않다. 효과적인 친환경 식사는 생태학적 재해를 극복한 사람들 혹은 외딴 섬에 표류한 사람들이 채택할 수밖에 없는 유형의 식단이 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식사는 채식 식단이 아닌, 목장에서 사육된 소수의 가축을 이용한 소규모 혼합 영농으로 생산된 재료를 사용한 식단일 것이다. ”
『채식의 철학 - 동물권을 넘어서,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음식과 동물에 관한 윤리』 4장, 토니 밀리건 지음, 김성한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물론 특정한 개인들의 입장에서는 여전히 채식주의자가 되어야 할 훌륭한 이유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그들의 채식은 타인들이 자신들의 손을 더럽히면서 육식주의자로 남아 그들의 사치를 뒷받침함으로써만 가능하다. (여기서 우리는 고기 없는 식사에 청교도적인 구석이 있다는 비판을 다시 만나게 된다.) ”
『채식의 철학 - 동물권을 넘어서,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음식과 동물에 관한 윤리』 4장, 토니 밀리건 지음, 김성한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온느
사회 생활로 인해 해산물은 종종 먹으나
제게 선택권이 있을 때는 채소위주의 식사를 해온 지
4년이 넘어가고 있네요. 제 채식 일상을 좀 더 깊이있게
사유하고싶어 신청합니다 :)
장맥주
환영합니다. 제가 지향하는 식생활을 하시네요. ^^
장맥주
“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곤경은 육식과 채식 간의 균형점의 이동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어느 쪽으로 기울건, 대대적인 변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런데 설령 그렇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개 인들이 채식주의를 채택할 경우 생태학적 이점이 있을 것임을 여전히 인정할 수 있으며, 심지어 다수가 채식주의를 채택하는 경우마저도 그와 같은 이점이 있음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
『채식의 철학 - 동물권을 넘어서,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음식과 동물에 관한 윤리』 4장, 토니 밀리건 지음, 김성한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금
“ 무엇을 창 조하거나 소유한 사람이 어떤 선호를 가질 수는 있다. 하지만 그 선호가 창조하거나 소유한 것을 없애거나, 생물의 경우에는 목숨을 앗아가는 것을 정당화할 충분한 이유는 아니다. ”
『채식의 철학 - 동물권을 넘어서,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음식과 동물에 관한 윤리』 p.62 (2장 채식과 동물의 이익), 토니 밀리건 지음, 김성한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