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팅이 곧 게시판이었군요. 자유롭게 읽는 내용이나 생각 나누도록 할께요! 고맙습니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8. <행동>
D-29

무지무지

장맥주
네! 의견 많이 남겨주세요~. ^^
이기린
28쪽 마지막 단락에 생전 처음 들어본 단어가 있어서 찾아봤습니다.
‘거멀못’ 나무 그릇 따위의 벌어질 염려가 있는 곳에 검쳐서 거멀장처럼 박는 못. 세간이나 나무그릇의 모퉁이에 걸쳐 대는 쇳조각을 ‘거멀장’이라고 하는데 이와 비슷하게 생긴 못이 바로 ‘거멀못’이다. 그리고 ‘거멀장하다’라고 하면 ‘물건 사이를 연결시켜 벌어지지 못하게 하다’는 뜻이다. ‘거멀장’이든 ‘거멀못’이든 ‘물건 사이를 연결시켜 벌어지지 않게 하는 데’ 쓰이는 것이다. ‘거멀’은 ‘ 거머쥐다’, ‘거머안다’, ‘거머잡다’ 따위의 접두어 ‘거머-’에서 비롯된 말이다. 따라서 ‘거멀못’은 ‘두 곳을 단단히 거머쥐는 구실을 하는 못’이다. 사람들의 모둠살이에서도 거멀못 구실을 하는 사람이 있다. 다투고 헤어진 두 친구를 다시 결합시키거나 갈라진 나라를 통일시키기 위해 애쓰는 사람들이 바로 사회의 ‘거멀못’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기 린
2장 들어갔는데 부록1 읽고오라네요? 근데 부록1이 서른페이지이고 내용은 신경과학입문이네요?? 새폴스키가 앞단락에서 미안하다고 사과하더라니…….

오구오구
부록1의 내용은 고딩 생2 정도에서 다룰내용을 쉽게 설명해 놓은거 같더라구요. 생각보다 잘 읽혔어요. ㅎ

연해
저는 처음에 부록 읽으면서 가볍게 읽고 돌아와야지 했는데, '마지막으로 하나 더 보자'는 말만 몇 번을 읽은 건지 모르겠어요. 끝날 듯 끝나지 않는 부록을 무사히 읽었지만, 생물을 다시 배우고 있는 느낌은 왜 때문이죠.
문과생은 서럽습니다...

오뉴
저도 2장 초입에 부록 읽고 왔냐며 확인까지 하기에 부록을 읽고 있습니다. 좀 생소하긴 하지만 흥미롭기도 하네요 ㅎ 2장 읽으면서 도움이 되기를...
이기린
부록 다 읽긴했는데 이해했는지는 모르겠어요 ㅋㅋㅋ 서러운 문과생2😅

새벽서가
서러운 문과를 넘어 서러운 예체능계 학생이라....읽고 또 읽고 대체 내가 뭘 읽고 있는거야? 라는 생각이....게다가 전 영어판으로 읽고 있어요! 🤪

오구오구
이마엽겉질이 frontal cortex를 말하는 건가봐요. frontal은 전두라는 말로 더 많이 사용되었던거 같은데.. 이마엽겉질이 낯설게 느껴지네요... 아, 바로 뒤에 설명이 있네요 ㅋ

새벽서가
헉! 전두엽 대신 다른 이름을 사용하는군요?

연해
“ 「가장 친절한 절개 The Kindest Cut」라는 기사로 보도한 적이 있다. 가족이나 친한 친구가 아니라 모르는 이에게 제 장기를 준 기증자들에 관한 기사였다. 이것은 순수한 이타성의 행위로 보인다. 하지만 사람들은 이 사마리아인들 때문에 혼란스러워했고, 의심과 회의를 품었다. 그는 자기 콩팥을 주고 은밀히 돈을 받기를 기대했을까? 관심에 목마른 종자인가? 수혜자의 인생에 끼어 들어서 결국 수혜자의 삶을 망치려고 할까? 그가 얻는 대가는 무엇일까? 기사는 이런 극진한 선행이 그 초연함과 무정함 때문에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든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장. 행동,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연해
“ 이 경우에 해당하는 희한하고 그로테스크한 사례로 '대리인에 의한 뮌하우젠 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