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가 무언가를 무서워하기를 그칠 때, 편도체 뉴런들이 습득했던 흥분성을 잃는 게 아니다. 우리는 무언가가 무섭다는 사실을 수동적으로 잊는 게 아니다. 그것이 더는 무섭지 않다는 사실을 적극적으로 학습한다.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뉴
“ 편도체는 쾌락을 경험하는 쾌락에 관여하는 것이 아니다. 잠재적 쾌락에 대한 불확실하고 불안정한 갈망에 관여하는 것이고, 보상이 기대보다 적거나 아예 주어지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과 공포와 분노에 관여하는 것이다.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뉴
“ 편도체는 겉질이 감을 잡기도 전에 무언가 무서운 것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게다가 이 경로는 흥분성이 아주 높기 때문에, 너무 일시적이거나 희미해서 겉질이 눈치채지 못하는 자극에도 편도체가 반응한다. 더군다나 이 지름길 신경들은 감각 겉질에서 오는 신경들보다 바닥가쪽편도 뉴런들과 더 강하고 더 쉽게 흥분하는 시냅스를 맺는다. 정서적 각성은 이 경로를 거쳐서 공포 조건화를 강화한다.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되풀이해서 하는 말이지만, 통증이 공격성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공격성 성향을 증폭시킬 뿐이다. 요컨대 통증은 원래 공격적인 사람들을 더 공격적으로 만들고, 원래 공격적이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반대로 작용한다.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3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공포와 폭력성이 늘 일심동체인 것은 아니다. 하지만 자극에 의해 유발된 공격성이 반응적이고, 광란적이고, 침 튀기는 격분의 성격을 띨 때는 두 가지가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 편도체 뉴런들이 아무것도 두려워할 필요가 없고 대신 포도나무 그늘과 무화과나무 아래에서 쉴 수 있는 세계라면, 세상은 더 평화로운 장소가 될 가능성이 무척 높을 것이다.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58,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겁먹은 사람이 과잉반응으로 폭력적이 되기 쉽다고 두려울 게 없는 사람은 평화롭게 지낼 수 있다는.... 용산의 어느분이 겁쟁이라는 소문이 있던데..... 설명이 되는 부분입니다
흰벽
아하!!
오구오구
저는 이마엽앞 겉질(prefrontal cortex; PFC) 또는 전전두피질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늘 결정장애로 주변 사람을 괴롭히는데... 사느냐 마느냐, 나가느냐 마느냐.. 지금은 영화를 보러 가느냐 마느냐.. 를 고민하고 있거든요... "인지가 주로 이끄는 결정과 정서가 주로 이끄는 결정사이의 갈등"을 어려워 하는 1인이거든요.
프렐류드
저 읽다 말았는데, 참여하겠습니다
장맥주
환영합니다~~. 신년에 읽기 좋은 책인 거 같습니다. ^^
장맥주
“ 위험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그리고 나서면 불편을 치러야 하는 상황에서는 방관자 효과가 실제로 나타난다. 하지만 위험한 상황에서는, 모인 사람이 많을수록 자진하여 나서는 사람도 많아진다. 왜? 어쩌면 평판 때문일 수도 있다. 군중이 만다는 건 자신의 영웅적 행동의 목격자가 더 많다는 뜻이니까.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3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prefrontal cortex의 세부 구분, 70쪽 읽을때 같이 보면 좋을 그림이라 공유합니다
꽃의요정
인간은 나를 해치려는 다른 인간들의 위협에 늘 쫓기면서 사는 존재다.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서문,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이처럼 생각으로 정서 반응을 통제하는 것은 지극히 하양적인 과정이다. 전전긍긍하는 편도체를 이마엽 겉질이 달래는 것이니까. 하지만 이마앞엽 겉질/변연계 관계는 상향적일 수도 있다. 직감이 관여하는 결정일 때 그렇다.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78,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감정과 이성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때로는 이성이 감정을 통제하고, 때로는 감정이 이성적 판단을 이끈다...
오구오구
나의 비뚤어 지고 왜곡된 인지 및 정서상태를 비관적으로 생각했었는데... 그것이 "심술궂은 요정"이었고, 그것은 스트레스가 이마엽 겉질에 영향을 미쳐서 그럴 수 있다는.... 위로를 받았습니다.
오구오구
이마엽 겉질은 어떤 일이 좀더 어렵지만 옳은 일일 때 그 일을 하도록 만든다. ... 인간과 침팬지의 평균적인 뇌 전체 차이보다 개체간 변이가 더 크다.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58, 59,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82쪽, 기댐핵이란 말이 나오는데 낯서네요. nucleus accumbens 측좌핵 이부분 인걸까요?
dobedo
자동성의 신경생물학은 우리가 어려운 도덕적 행위를 하도록 만들어주고, 이마엽 겉질의 신경생물학은 우리가 그 주제에 대해서 열심히 기말 보고서를 쓰도록 만들어준다.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2장 1초 전,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dobedo
그래서 이마엽 겉질의 신경생물학적 문제가 있는 나는 마감 시간에 맞춰 보고서를 제출하는 게 그토록 어려웠나 보다...
[책증정]《내 삶에 찾아온 역사 속 한 문장 필사노트 독립운동가편》저자, 편집자와 合讀하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같이 연극 보고 원작 읽고
[그믐연뮤클럽] 7. 시대와 성별을 뛰어넘은 진정한 성장,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그믐연뮤클럽] 6. 우리 소중한 기억 속에 간직할 아름다운 청년, "태일"[그믐연뮤클럽] 5. 의심, 균열, 파국 x 추리소설과 연극무대가 함께 하는 "붉은 낙엽"[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
같이 그믐달 찾아요 🌜
자 다시 그믐달 사냥을 시작해 볼까? <오징어 게임> x <그믐달 사냥 게임> o <전생에 그믐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