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도니안 @borumis @장맥주 전 세계의 그 많은 외로운 싱글 중에는 언감생심 연애에 대한 기대조차도 없는 이도 있지 않을까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8. <행동>
D-29

dobedo

장맥주
한때 초식남, 건어물녀 같은 말들이 유행하기도 했죠. 이제는 그 '신조어'들조차 낡게 들리네요.

dobedo
@장맥주 제 주변에도 많았죠. (옛날 사람 인증...)

장맥주
현재 제가 갱년기건어물초식남입니다. 반건조 아니고 완전건조... 신경 쓸 일 줄어서 참 좋습니다.

borumis
흠 어제 생물오징어를 손질하고 있는데 딸이 관찰하다 '이래서 못생기면 오징어라고 하는군요!' 하던데;;; 건어물은 더 못생겼나봅니다..;;;; ㅎㅎㅎ 그래도 호르몬에 푹 절여서 피클이 되느니 완전 건조가 차라리 편할 듯 하네요...

꽃의요정
원래 마른 장작이 잘 탄다는데요!? (29세 이하는 눈 가리세요~)
밥심
그런데 이런 명언을 왜 본문에 안 쓰고 주석으로 달았을까요. 벽돌책이라 읽을 양이 많아 가끔 주석은 안 읽고 넘어가기도 하거든요.

borumis
이분 너무 할 말이 넘쳐서.. 주석들도 읽어보면 정말 재미있더라구요. 리처드 도킨스의 책들도 보면 주석들이 진짜 재미있어요. 입담 좋은 사람들의 공통점인듯..

dobedo
@밥심 미주는 몰라도 각주는 꼭 읽으시기를. 저자의 통찰이나 유머가 반짝반짝 빛나요!
밥심
불과 며칠 전 에코의 <푸코의 진자>를 읽다가 어마어마한 각주의 공세를 이기지 못하고 3권짜리 소설의 2권 중간까지 읽다가 포기한 후 각주에 대한 트라우마가 생겼는지 <행동>에서도 각주가 나타나면 ‘이마거시기배어쩌구안저쩌구겉질‘ 부근에 있다는 납작한 복숭아씨 모양의 편도체가 흥분해서인지 불안감을 느낍니다. ‘각주 이놈들 때문에 벽돌을 못깨는거 아닐까?‘ 하는. 그러나 <행동>의 각주는 숨막히는 일상의 압박에서 잠시라도 벗어나게 도와주는 웃음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는 독자분들의 조언을 받들어 열심히 읽도록 하겠습니다.

dobedo
@밥심 보통 각주 읽다보면 흐름이 끊기는 느낌도 있는데 소설은 확실히 그럴 거 같아요. 게다가 세 권짜리라니... 휴

꽃의요정
오...<푸코의 진자>를 아파트 재활용품 수거장에서 주워 온지 5년이 넘었는데 아직 못 읽고 있어요. 언젠가 누군가 읽자고 하기를 기다리며....<행동>은 그믐에서 으쌰으쌰 하며 읽으니 다 읽지 않을까요?
밥심
재활용품 수거장에 두신 분은 과연 완독하셨을까 궁금해집니다. ㅎㅎ 본문과 주석에 나오는 그 수많은 지식들을 읽다보면 이걸 내가 다 알 필요가 있을까 하는 딜레마에 빠지고 말더라구요.

dobedo
@밥심 @siouxsie 재활용품 수거장이라니 읽다 지쳐서 지긋지긋해 하면서 던져 버려겠네, 하고 상상해 버렸어요. 열심히 읽었던 책은 정리하려고 하는데 받아주는 곳이 없어도 차마 폐지로 버리기는 힘들지 않나요? 저는 그렇던데...

장맥주
책 처음 버릴 때 무척 망설였는데... 요즘은 잘 버립니다. 네, 폐지로요. 안 그러면 집 무너질 거 같아요. 종이책 가급적 안 사고 전자책 위주로 읽는데도 얼마 전에 몇 박스 분량 버렸어요.
다른 분들은 책 어떻게 처분하시나요?

borumis
전 알라딘 중고에 팔지 못하는 건 당근 등으로 나눔하고 그래도 남는 책은 고이 재활용버릴때 폐지로 쌓아두는데요. 의외로 그 쌓아둔 책들도 가져가시는 분들이 가끔 있어요..;; 그래도 되도록 나눔으로 나눠주고 문제집 컬러링북 아무도 안 읽는 원서 등은 결국 폐지로;;;

연해
저는 전자책과 종이책을 골고루 읽는데, 종이책을 보관할 공간이 마땅치 않아서 주기적으로 기부하고 있어요. 집에 큰 책장 있는 분들 보면 멋있고, 대단하고, 그렇습니다.

장맥주
엇. 어디에 기부하시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약간 딴 얘기인데 저는 도서정가제 때문에 서점이나 출판사에서 멀쩡한 책들을 버리게 되는 건 아닌지 늘 신경이 쓰입니다.)

연해
엇, 그럼요. 작가님:)
지난번에도 말씀드렸지만, 질문 하기에 앞서 질문을 해도 되냐는 질문을 먼저 건네시는 사려 깊음에 늘 감동합니다. 그리고 질문 감사합니다. 근데 제 답변이 작가님이 말씀하시는 도서정가제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지 조심스럽네요. 저는 출판업에 대해 잘 모르고, 제 범위 안에서만 단순하게 생각하고 있어서요. 집 근처에 아름다운가게가 있어서 그곳에 주기적으로 기부를 합니다. 책 외에도 다양한 것들을요.
이 주제가 언급돼서 말인데요. 외람된 말씀이지만, 도서정가제에 대한 글도, 언젠가 한번 다뤄주셨으면 하는 소소한(?) 마음이 있어요. 이미 다뤄 주신 적이 있으시다면, 그 경로라도 살포시 알 수 있을... 까요?
가끔 어떠한 사안에 대해서 작가님의 의견이 궁금할 때가 있거든요. 사실 책뿐만 아니라, 다른 주제로도 좀 여러 개 있는데, 이건 차차 배워가도록 하겠습니다(이를테면 알라딘에서 연재하고 계신 '소설가라는 이상한 직업 2'를 읽으며 알아가는 부분이 많거든요). 물론 어디까지나 순수한 팬심입니다:)

장맥주
도서정가제에 대해서는 저도 효과에 대해 솔직히 잘 모르겠어서 적어도 이번 연재를 하는 동안에 글을 쓸 거 같지는 않네요. 죄송해요. 소비자후생을 떨어뜨리는 제도인 건 부인할 수 없고, 인터넷서점들의 중고서점이 제도 허점을 잘 이용해 성공한 거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합니다. 찬성 측 논리는 이해하겠고 작은 출판사나 동네 서점이 혜택을 누린 거 같기도 한데, 설득력 있는 실증 자료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에요. ^^;;;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