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피아님, 외로워마세요. 오늘 새벽에 11장 시작한 제가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만의 속도로 가면 어때요? 전 벽돌책 읽는 것보다 벽돌같은 댓글 따라가기가 더 버거운 1인입니다. ㅎㅎ
제가 재작년 벽돌책 시작하고부터 어떻게 활동했나 돌아보니 제 속도로 읽으면서 다른 분들의 댓글은 참고로 하고 있더라구요. 제게 벽돌책 모임은 참여보다 참고의 기능으로 사용되는거 같네요. ^^;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8. <행동>
D-29

새벽서가

새벽서가
그럼요. 주말에 이 악물고 다른 책들 내려놓고 이 책 읽었더니 저는 이제 얼추 진도 따라잡은거 같아요. 그러나 월요일이 시작되는 새벽이니 이번 주에 일하느라 바빠 또 뒤쳐질거 같아요

장맥주
“ 불평등이 만연한 공동체는 사회자본(신뢰와 효능감)이 적기 마련인데, 이것은 나쁜 건강의 가장 직접적인 원인이다. 이런 연구들을 전체적으로 고려하면,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르는 심리적 스트레스가 건강을 해친다고 해석할 수 있다.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2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앞서 말했듯, 옛 영장류학은 우습게도 높은 서열을 ‘지도자 지위’로 착각했다. 하지만 개코원숭이 알파 수컷은 지도자가 아니다. 그냥 뭐든지 제일 좋은 부분을 취하는 존재일 뿐이다. 그리고 개코원숭이들이 아침에 먹이를 찾아나설 때 물정을 아는 나이든 암컷을 따라가기는 해도, 잘 보면 그 암컷은 무리를 ‘이끄는’ 게 아니라 그냥 ‘간다.’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2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사회연결망이 큰 사람일수록 (이메일/문자를 주고 받는 관계의 수로 측정하곤한다) 배쪽안쪽이마앞엽 겉질; 눈확이마앞엽 겉질, 편도체가 더 크고, 마음 이론에 관련된 능력들이 더 뛰어나다 523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2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한편 동전의 뒷면에서, 똑같이 낮은 서열이라도 개체가 털 고르기 파트너가 많다면, 그리고/또는 그보다도 서열이 낮은 개체가 있어서 전위 공격성을 발휘할 수 있다면, 건강이 더 좋은 편이다.534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2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문제는 서열 자체가 아니다. 서열의 의미와 서열에 수반되는 상황이다. 535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2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보수주의자들이 침실에 청소도구를 더 많이 두는 현상은 그들의 정돈, 청결, 질서를 중시하는 가치관이 일상생활에서도 표현되는 것입니다. 즉, 정치적 성향은 단순한 정치적 견해를 넘어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더 깊은 가치체계의 표현이라는 것입니다. --> 침실에 청소도구가 있는 편인데... .. 540

오구오구
- 1950년대부터 연구들은 낮은 IQ와 보수적 성향, 특히 우파권위주의성향(위계질서 선호) 사이에 관련성이 있음이 나타남.
- 이는 우파권위주의가 복잡한 상황에 대해 단순한 답을 제공하기 때문에, 추상적 사고력이 낮은 사람들에게 더 매력적일 수 있다는 해석
@YG 이부분에 대해 동의하지 못하셨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ㅋ

오구오구
“ 더 익숙한 방식으로 표현하자면, 인지 부담이 늘어나면 사람들은 더 보수적인 견해를 갖게 될 것이다. 실제로 그렇다. 즉각적 판단에 따르는 시간 압박은 일종의 인지 부담 가중이다. 같은 맥락에서 사람들은 피곤 할때, 아플 때, 다른 인지 작업에 정신이 팔렸을 때, 혈중알코올농도가 높을 때 평소보다 더 보수적인 견해를 보인다. 544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2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정치적 성향과 관련된 뇌의 구조적 차이:
1. 진보주의자: 감정이입 관련 영역인 띠다발 겉질의 회색질이 더 큼
2. 보수주의자: 위협 인식 관련 영역인 편도체가 더 크고, 위험/혐오 자극에 더 강하게 반응함
이는 정치적 성향이 단순한 선택이 아닌, 신경생물학적 기반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

오구오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