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bedo 님이 보여주신 용례처럼, 실제로 ‘진보’, ‘보수‘는 단순히 정치 지향만의 문제도 아닌데다가 정치 지향의 맥락에서도 상당히 가리키는 의미가 다층적인데, 다른 파트에 비해서 이 장이 유난히 모호하게 뭉개고 지나간 느낌이 있는 거 같아요. 전체주의 문화, 개인주의 문화 부분 서술과는 너무도 다르게요. 연구나 실험에 대한 설명도 다른 장에 비해 상당히 부족해서 더욱 의문점을 낳더라구요. 그런 점을 새폴스키 님도 분명 인지했을 텐데 그럼에도 기어코 쓰고 싶은 이유가 있었거나 혹은 언급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 건가.. 싶기는 합니다. (저는 잘 모르겠지만 말이죠ㅎㅎ) 그런 면에서는 @오도니안 님이 이런 연구의 가치가 무엇인가에 관해 생각을 풀어주신 것이 많이 참고가 되었습니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8. <행동>
D-29

흰벽

오구오구
“ 우리가 주로 직관에 근거하여 도덕적 결정을 내린다고 보고, 추론은 우리가 그다음에야 자신이 합리적이라는 것을 자기 자신을 비롯한 모두에게 설득시키기 위해서 동원하는 수단이라고 본다 583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3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인간의 도덕성이 영적으로 초월적인 특성 (무대 오른쪽에서 신이 입장한다)이 아니라 종 경계를 초월하는 특성이라는 것이다 591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3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정서와 사회적 직관은 도덕적 추론이라는 인간만의 장기를 망쳐버리는 원시적인 골칫거리가 아니다. 오히려,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의하는 소수의 도덕적 판단들 중 일부는 바로 그것들을 토대로 하여 형성된다. 592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3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배쪽안쪽이마앞엽 겉질 손상된 사람은 실용적이고 냉정한 도덕적 결정을 내렸음. 즉 도덕적 결정도 감정, 정서의 문제라는 의미...

오구오구
도덕의 맥락 의존성: 도덕적 판단은 직접성과 거리감에 따라 달라짐. 직접적일수록 엄격하고 간접적일수록 관 대해짐

오구오구
“ 자신을 너그럽게 봐주는 현상에는 한 가지 중요한 인지적 측면도 관여한다. 우리가 자신을 판단할 때는 내적 동기를 기준으로 삼지만 타인을 판단할때는 그들의 외적 행동을 기준으로 삼는다는 점이다 598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3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dobedo
이 문장 읽으면서 생각나는 속담들이 주루룩...인 걸 보니 역시 부정하기 힘든 사실인 것 같네요. 게다가 타인의 내적 동기를 어설프게 파악하는 경우도 있고, 심지어 자기자신의 내적 동기도 오해하고 잘못 판단하는 경우도 많은 것 같다는 생각도 들고요.

오구오구
문화적 맥락
도덕적 판단에 어떤 보편적 요소들이 있는가, 보편성과 차이점 중에서 어느쪽이 더 흥미롭고 중요한가..
결국 상호성에서 이해해야한다고 하니 역지사지가 진리라는 생각이 듭니다

오구오구
“ 다마지오의 신체표지 가설이 바로 이 이야기였다. 다마지오에 따르면, 우리는 어떤 결정을 내릴 때 사고 실험뿐 아니라 신체적 감정에 관한 실험도-만약 이 일이 실제로 벌어지면 어떤 느낌이 들까?-머릿속에서 실시해본다. 그리고 이 통합이야말로 도덕적 결정 과정이 추구해야 할 목표다 615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3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우리가 어떤 결정을 할 때는 두 가지를 함께 고려
1. 머리로 생각하기: '이게 논리적으로 맞 나?'
2. 몸으로 느끼기: '이렇게 하면 기분이 어떨까?'
예를 들어, 친구에게 거짓말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 머리로는 '이게 나한테 득이 될까?' 계산하면서
- 동시에 '거짓말하면 마음이 불편하고 가슴이 답답할 것 같은데...'라는 신체적 감정도 함께 떠올림
다마지오는 이렇게 '생각'과 '감정'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좋은 도덕적 결정을 내리는 방법이라고 함
... 오늘 아침, 샤워하며 법륜스님의 영상을 보았는데, 그 핵심 메시지 중 하나가 알아차림을 지속적으로 노력하라는 것이었어요. 노력하라고 하신 부분이 위의 내용과 일치하는거 같네요. 갑자기 불법의 이치가 진리로 다가옵니다 ㅎ

오구오구
도덕적 직관은 학습의 결과물이다. 615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3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올바른 일을 하기 위해서 애쓸 필요가 없었다. 그들은 그냥 거짓말을 하지 않는 것 뿐이었다. 630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3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진정한 선한 행동은 힘들게 고민해서 하는 것보다, 자연스럽게 몸에 배어 있을 때 더 강력하고 지속적이다.

borumis
그러게요. 자연스럽게 몸에 배기 위해 계속 그 알아차림을 지속적으로 노력해야겠네요.

오구오구
“ 타인이 고통스러워 한다는 사실을 알기만 하는 것보다 타인의 고통을 느끼는 것이 학습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 그렇다면 앞띠이랑 겉질은 근본적으로 자기이해를 추구하는 셈이고, 타인의 고통을 염려하는 마음은 거기에 부록으로 딸려오는 셈이다 644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 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부유한 피험자일수록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이 떨어졌고, 실험환경에서 더 탐욕스럽게 행동하는데다가 속임수나 도둑질도 더 많이 했다. 648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감정이입적 상태에서 '감정'과 '인지'를 나누는 것은 말짱 틀린 그분이다. 둘 다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둘 사이의 균형은 수시로 달라지고, 특히 첫눈에 나와 상대의 유사성보다 차이점이 더. ㅡ게 와닿는 상황에서는 인지적 측면이 힘든일을 도 맡아야 한다. 650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하버드대학교의 스티븐 핑커는 이렇게 결론했다. "거울뉴런은 사실 언어도, 감정이입도, 사회도 설명하지 못한다. 물론 세계평화도." 한마디로, 거울 뉴런이 이 장의 관심사와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 658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요컨대 우리가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았을 때는, 그것이 타인의 문제에 공명하느라 생긴 스트레스든 자기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든 자신을 먼저 챙기는 것이 최우선 순위가 되기 쉽다. 달리말해, 우리가 어느 정도 초연한 거리를 유지할 때 감정이입적 상태가 동정적 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661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